"원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
이동: 둘러보기, 검색
(Definition)
3번째 줄: 3번째 줄:
  
 
조선시대 [[대비]], [[왕비]], [[왕세자빈]], [[내명부]], [[외명부]]와 대한제국 왕실의 [[황후]], [[황태자비]]가 국가 행사에 참여할 때 착용하거나 일반 백성들이 [[혼례]]에 착용하는 옷이다.<ref>任賢珠, 「朝鮮時代 圓衫의 由來와 變遷過程 硏究」, 경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8쪽.</ref>
 
조선시대 [[대비]], [[왕비]], [[왕세자빈]], [[내명부]], [[외명부]]와 대한제국 왕실의 [[황후]], [[황태자비]]가 국가 행사에 참여할 때 착용하거나 일반 백성들이 [[혼례]]에 착용하는 옷이다.<ref>任賢珠, 「朝鮮時代 圓衫의 由來와 變遷過程 硏究」, 경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8쪽.</ref>
깃이 서로 마주하는 대금형(對衿形)의 맞깃 혹은 배자깃으로 불리는 깃이 달려있어 앞자락이 겹치지 않는다. 길이는 뒷길이 앞길보다 긴 전단후장(前短後長)이 대부분이며, 바닥까지 이르는 긴 포의 형태이다. 겨드랑이 아래로 길게 트임이 있고 섶과 무가 없다. 두리소매 형태의 넓은 소매가 달렸고, 소매 끝에는 색동과 백색의 한삼(汗衫)을 연결한다. 여밈 방식은 고름이나 매듭단추가 달렸고, 길이가 매우 긴 별도의 [[|대(帶)]]를 둘러 착용한다. 여성이 착용한 [[단령|단령(團領)]]에서 맞깃형태로 변하였다. 조선 후기에 [[황후]]는 황원삼(黃圓衫), [[왕비]]는 홍원삼(紅圓衫), [[공주]]와 반가 여인들은 녹원삼(綠圓衫)으로 신분에 따라 색을 구별 하였다.  
+
깃이 서로 마주하는 대금형(對衿形)의 맞깃 혹은 배자깃으로 불리는 깃이 달려있어 앞자락이 겹치지 않는다. 길이는 뒷길이 앞길보다 긴 전단후장(前短後長)이 대부분이며, 바닥까지 이르는 긴 포의 형태이다. 겨드랑이 아래로 길게 트임이 있고 섶과 무가 없다. 두리소매 형태의 넓은 소매가 달렸고, 소매 끝에는 색동과 백색의 한삼(汗衫)을 연결한다. 여밈 방식은 고름이나 매듭단추가 달렸고, 길이가 매우 긴 별도의 [[홍대대|대(帶)]]를 둘러 착용한다. 여성이 착용한 [[단령]]에서 맞깃형태로 변하였다. 조선 후기에 [[황후]]는 황원삼(黃圓衫), [[왕비]]는 홍원삼(紅圓衫), [[공주]]와 반가 여인들은 녹원삼(綠圓衫)으로 신분에 따라 색을 구별 하였다.  
 
<br>
 
<br>
15~16세기 유물에서 보면, 단령형 원삼(여성 단령)은 품이 대체로 넉넉하거나 크게 제작했다. 남성 [[단령]]의 품이 대부분 50~70cm인 반면, 이 시기의 [[원삼]]은 여자의 옷임에도 불구하고 80~102cm까지 품이 매우 넓다. 한삼이 달렸거나 달았던 흔적이 발견되고, 이시기 출토 유물의 절반 가량에 [[흉배]]가 부착되어 있고, [[봉대]]가 함께 출토되었다. 17세기 초중반은 [[단령]] 형태의 [[원삼]](여성 단령)이 [[원삼]]으로 변하는 과정중에 있던 시기로, [[단령]]과 [[원삼]]의 특징을 동시에 지닌 형태가 나타나기도 한다. 소매모양에 변화가 생겨 소매 끝에 색동이 처음 등장했고, 홑옷이며, 깃이 둥근 [[단령]] 깃에서 점점 마주보는 깃으로 변화되었다. [[봉대]]가 함께 출토되었고, [[흉배]]가 부착된 형태는 감소하였다.<ref>任賢珠, 「朝鮮時代 圓衫의 由來와 變遷過程 硏究」, 경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51~99쪽.</ref>
+
15~16세기 유물에서 보면, 단령형 원삼(여성 단령)은 품이 대체로 넉넉하거나 크게 제작했다. 남성 [[단령]]의 품이 대부분 50~70cm인 반면, 이 시기의 [[원삼]]은 여자의 옷임에도 불구하고 80~102cm까지 품이 매우 넓다. 한삼이 달렸거나 달았던 흔적이 발견되고, 이시기 출토 유물의 절반 가량에 [[흉배]]가 부착되어 있고, [[홍대대|봉대]]가 함께 출토되었다. 17세기 초중반은 [[단령]] 형태의 [[원삼]](여성 단령)이 [[원삼]]으로 변하는 과정중에 있던 시기로, [[단령]]과 [[원삼]]의 특징을 동시에 지닌 형태가 나타나기도 한다. 소매모양에 변화가 생겨 소매 끝에 색동이 처음 등장했고, 홑옷이며, 깃이 둥근 [[단령]] 깃에서 점점 마주보는 깃으로 변화되었다. [[봉대]]가 함께 출토되었고, [[흉배]]가 부착된 형태는 감소하였다.<ref>任賢珠, 「朝鮮時代 圓衫의 由來와 變遷過程 硏究」, 경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51~99쪽.</ref>
 
<br>
 
<br>
 
17세기 후반~19세기 깃 모양이 마주보는 대금형의 [[원삼]] 깃으로 변화하였다. 두 줄 색동과 한삼이 달리고, 밑단이 [[당의]]의 곡선과 같은 형태로 변화면서, 앞이 짧고 뒤가 긴 전단후장이 대부분이다. 19~20세기의 [[원삼]]은 [[왕비의 대례복]]이자 반가 및 서민들의 [[혼례]]에 착용한 복식으로 나뉜다. [[왕세자빈]]이나 [[공주]], [[외명부]]와 같은 높은 신분에서는 녹색 [[원삼]]을 입고 의례에 참석했다. 1897년 [[대한제국]] 선포 후에는 [[왕비]]가 [[황후]]가 되면서 황색 [[원삼]]을 입도록 하고, [[황태자비]]는 홍색 [[원삼]]을, 그 이하의 신분에서는 녹색 [[원삼]]을 입도록 하였다. 일반 백성의 혼례용 [[원삼]]은 왕실 복식에 기원을 두고 있지만 금장식이 없이 소매에 색동의 수가 많으며 직선미가 돋보이는 단순한 형태가 되었다. 궁중 [[원삼]]은 앞이 짧고 뒤가 긴 형태로 길이가 매우 긴 특징을 보이며, 민가의 [[원삼]]은 길이가 짧은 편이다.  궁중 [[원삼]]은 소매가 매우 넓고 길며 두 줄의 색동과 한삼이 달리는 반면, 민가의 [[원삼]]은 색동의 수가 정해진 양식이 없이 많이 부착 되었다. [[원삼]]의 옆선과 도련의 형태가 점차 직선형으로 변화하였다. 겹원삼이 정착, 흑색 원삼만 홑으로 구성되었다. 민가 원삼의 특징으로 길과는 다른 색의 깃과 고름을 달았다.<ref>任賢珠, 「朝鮮時代 圓衫의 由來와 變遷過程 硏究」, 경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99~160쪽.</ref>
 
17세기 후반~19세기 깃 모양이 마주보는 대금형의 [[원삼]] 깃으로 변화하였다. 두 줄 색동과 한삼이 달리고, 밑단이 [[당의]]의 곡선과 같은 형태로 변화면서, 앞이 짧고 뒤가 긴 전단후장이 대부분이다. 19~20세기의 [[원삼]]은 [[왕비의 대례복]]이자 반가 및 서민들의 [[혼례]]에 착용한 복식으로 나뉜다. [[왕세자빈]]이나 [[공주]], [[외명부]]와 같은 높은 신분에서는 녹색 [[원삼]]을 입고 의례에 참석했다. 1897년 [[대한제국]] 선포 후에는 [[왕비]]가 [[황후]]가 되면서 황색 [[원삼]]을 입도록 하고, [[황태자비]]는 홍색 [[원삼]]을, 그 이하의 신분에서는 녹색 [[원삼]]을 입도록 하였다. 일반 백성의 혼례용 [[원삼]]은 왕실 복식에 기원을 두고 있지만 금장식이 없이 소매에 색동의 수가 많으며 직선미가 돋보이는 단순한 형태가 되었다. 궁중 [[원삼]]은 앞이 짧고 뒤가 긴 형태로 길이가 매우 긴 특징을 보이며, 민가의 [[원삼]]은 길이가 짧은 편이다.  궁중 [[원삼]]은 소매가 매우 넓고 길며 두 줄의 색동과 한삼이 달리는 반면, 민가의 [[원삼]]은 색동의 수가 정해진 양식이 없이 많이 부착 되었다. [[원삼]]의 옆선과 도련의 형태가 점차 직선형으로 변화하였다. 겹원삼이 정착, 흑색 원삼만 홑으로 구성되었다. 민가 원삼의 특징으로 길과는 다른 색의 깃과 고름을 달았다.<ref>任賢珠, 「朝鮮時代 圓衫의 由來와 變遷過程 硏究」, 경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99~160쪽.</ref>

2020년 11월 9일 (월) 23:35 판

Definition

조선시대 대비, 왕비, 왕세자빈, 내명부, 외명부와 대한제국 왕실의 황후, 황태자비가 국가 행사에 참여할 때 착용하거나 일반 백성들이 혼례에 착용하는 옷이다.[1] 깃이 서로 마주하는 대금형(對衿形)의 맞깃 혹은 배자깃으로 불리는 깃이 달려있어 앞자락이 겹치지 않는다. 길이는 뒷길이 앞길보다 긴 전단후장(前短後長)이 대부분이며, 바닥까지 이르는 긴 포의 형태이다. 겨드랑이 아래로 길게 트임이 있고 섶과 무가 없다. 두리소매 형태의 넓은 소매가 달렸고, 소매 끝에는 색동과 백색의 한삼(汗衫)을 연결한다. 여밈 방식은 고름이나 매듭단추가 달렸고, 길이가 매우 긴 별도의 대(帶)를 둘러 착용한다. 여성이 착용한 단령에서 맞깃형태로 변하였다. 조선 후기에 황후는 황원삼(黃圓衫), 왕비는 홍원삼(紅圓衫), 공주와 반가 여인들은 녹원삼(綠圓衫)으로 신분에 따라 색을 구별 하였다.
15~16세기 유물에서 보면, 단령형 원삼(여성 단령)은 품이 대체로 넉넉하거나 크게 제작했다. 남성 단령의 품이 대부분 50~70cm인 반면, 이 시기의 원삼은 여자의 옷임에도 불구하고 80~102cm까지 품이 매우 넓다. 한삼이 달렸거나 달았던 흔적이 발견되고, 이시기 출토 유물의 절반 가량에 흉배가 부착되어 있고, 봉대가 함께 출토되었다. 17세기 초중반은 단령 형태의 원삼(여성 단령)이 원삼으로 변하는 과정중에 있던 시기로, 단령원삼의 특징을 동시에 지닌 형태가 나타나기도 한다. 소매모양에 변화가 생겨 소매 끝에 색동이 처음 등장했고, 홑옷이며, 깃이 둥근 단령 깃에서 점점 마주보는 깃으로 변화되었다. 봉대가 함께 출토되었고, 흉배가 부착된 형태는 감소하였다.[2]
17세기 후반~19세기 깃 모양이 마주보는 대금형의 원삼 깃으로 변화하였다. 두 줄 색동과 한삼이 달리고, 밑단이 당의의 곡선과 같은 형태로 변화면서, 앞이 짧고 뒤가 긴 전단후장이 대부분이다. 19~20세기의 원삼왕비의 대례복이자 반가 및 서민들의 혼례에 착용한 복식으로 나뉜다. 왕세자빈이나 공주, 외명부와 같은 높은 신분에서는 녹색 원삼을 입고 의례에 참석했다. 1897년 대한제국 선포 후에는 왕비황후가 되면서 황색 원삼을 입도록 하고, 황태자비는 홍색 원삼을, 그 이하의 신분에서는 녹색 원삼을 입도록 하였다. 일반 백성의 혼례용 원삼은 왕실 복식에 기원을 두고 있지만 금장식이 없이 소매에 색동의 수가 많으며 직선미가 돋보이는 단순한 형태가 되었다. 궁중 원삼은 앞이 짧고 뒤가 긴 형태로 길이가 매우 긴 특징을 보이며, 민가의 원삼은 길이가 짧은 편이다. 궁중 원삼은 소매가 매우 넓고 길며 두 줄의 색동과 한삼이 달리는 반면, 민가의 원삼은 색동의 수가 정해진 양식이 없이 많이 부착 되었다. 원삼의 옆선과 도련의 형태가 점차 직선형으로 변화하였다. 겹원삼이 정착, 흑색 원삼만 홑으로 구성되었다. 민가 원삼의 특징으로 길과는 다른 색의 깃과 고름을 달았다.[3]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원삼 Clothing 복식 원삼(圓衫) 원삼 圓衫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원삼


국립고궁박물관(http://www.gogung.go.kr/) 소장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value
id 원삼
대표명칭 원삼
한자표기 圓衫
이칭별칭 단삼(團衫)
구분
착용신분 황후, 황태자비, 대비, 왕비, 왕세자빈, 왕녀, 후궁, 외명부
착용성별 여성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황후 원삼 wears
황태자비 원삼 wears
왕비 원삼 wears
왕세자빈 원삼 wears
후궁 원삼 wears
왕녀 원삼 wears
부대부인 원삼 wears
부인 원삼 wears
황후의_소례복-원삼 원삼 hasPart
황태자비의_소례복-원삼 원삼 hasPart
왕비의_소례복-원삼 원삼 hasPart
왕세자빈의_소례복-원삼 원삼 hasPart
원삼 초록부금원삼 type
원삼 녹원삼 type
원삼 흑원삼 type
원삼 전행웃치마 goesWith
원삼 스란치마 goesWith
원삼 대란치마 goesWith
원삼 홍대대 goesWith
원삼 남대대 goesWith

Online Referen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AKS Encyves 원삼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원삼
해설 한국민속대백과사전 원삼(圓衫) https://folkency.nfm.go.kr/kr/topic/detail/7132
해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원삼(圓衫) https://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원삼&ridx=0&tot=10
해설 조선왕조실록사전 원삼(圓衫)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dataType=20&searchWord=%EC%9B%90%EC%82%BC&match=false&callFunc=goSearch%28%2720%27%2C+%271%27%2C+%27n%27%2C+%27%EC%9B%90%EC%82%BC%27%29%3B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title publication edition URL
국립고궁박물관, 『영친왕일가복식』, 국립고궁박물관, 2013.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2.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박가영, 『조선시대 궁중 패션』, 민속원, 2017.
황의숙 외3인, 『아름다운 한국복식』, 수학사, 2010.
홍나영ㆍ신혜성ㆍ이은진, 『동아시아 복식의 역사』, 교문사, 2011.
김아람, 「복식 고증을 통한 복온공주 혼례 친영반차도 구현」,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유송옥, 『조선왕조 궁중의궤 복식』, 수학사, 1991.
황진영, 「조선시대 궁녀복식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Notes

  1. 任賢珠, 「朝鮮時代 圓衫의 由來와 變遷過程 硏究」, 경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8쪽.
  2. 任賢珠, 「朝鮮時代 圓衫의 由來와 變遷過程 硏究」, 경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51~99쪽.
  3. 任賢珠, 「朝鮮時代 圓衫의 由來와 變遷過程 硏究」, 경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99~160쪽.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