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명-形名"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efinition) |
(→형명의 정의)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9번째 줄: | 9번째 줄: | ||
형명은 중국의 예와 고구려나 신라의 군대 이름에 깃발을 뜻하는 ‘당(幢)’이 쓰였던 사실 등으로 미루어보아, 고려는 물론 삼국시대에도 군대에서 중요한 수단으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생각되나 자세한 내용은 알 수 없다. 조선 전기에는 오위체제(五衛體制)에 의하여 편성된 단위 부대별로 형명이 배정되어 사용되었다. | 형명은 중국의 예와 고구려나 신라의 군대 이름에 깃발을 뜻하는 ‘당(幢)’이 쓰였던 사실 등으로 미루어보아, 고려는 물론 삼국시대에도 군대에서 중요한 수단으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생각되나 자세한 내용은 알 수 없다. 조선 전기에는 오위체제(五衛體制)에 의하여 편성된 단위 부대별로 형명이 배정되어 사용되었다. | ||
형에는 천으로 된 기(旗), 기에 술이 달린 휘(麾), 길게 술이 늘어져 ‘치우(蚩尤)의 머리같이 생겼다.’는 둑(纛) 등이 있었다. 대장(大將)을 예로 들면, 왕의 명령에 응하는 대표기(大標旗), 위장(衛將)에게 명령을 내리는 대휘(大麾), 위장을 소집하는 데 쓰는 대초요기(大招搖旗) 등 단위 부대 지휘관마다 깃발로 명령을 내리고 받았다. 이밖에 복병에 사용하는 대사기(大蛇旗), 척후에 쓰는 후기기(候騎旗) 등이 있었다. 둑은 단위부대마다 출정할 때 제사지내는 것으로서 부대를 상징한다. | 형에는 천으로 된 기(旗), 기에 술이 달린 휘(麾), 길게 술이 늘어져 ‘치우(蚩尤)의 머리같이 생겼다.’는 둑(纛) 등이 있었다. 대장(大將)을 예로 들면, 왕의 명령에 응하는 대표기(大標旗), 위장(衛將)에게 명령을 내리는 대휘(大麾), 위장을 소집하는 데 쓰는 대초요기(大招搖旗) 등 단위 부대 지휘관마다 깃발로 명령을 내리고 받았다. 이밖에 복병에 사용하는 대사기(大蛇旗), 척후에 쓰는 후기기(候騎旗) 등이 있었다. 둑은 단위부대마다 출정할 때 제사지내는 것으로서 부대를 상징한다. | ||
− | 명에는 대각(大角)과 소각(小角 | + | 명에는 대각(大角)과 소각(小角), 북과 도(鼗), 징·방울 등이 사용되었다. 대장·위장·유군장(遊軍將)·부장(部將)에게 대각·소각이 1, 2개씩 배정되고, 나머지는 단위부대마다 1개씩 배정되었다. 명은 고려말 이성계(李成桂)로부터 쓰기 시작한 소각을 제외하면, 모두 유래가 오랜 것으로 생각된다. |
대체로, 형은 어떤 형태의 진(陣)을 갖추고 어느 방향으로 움직이는가를 알리는데 쓰이며, 명은 진격과 퇴각을 알리는 데 쓰는 등 약간의 차이가 있다. 형은 ‘깃발을 휘두르고[揮], 조금 뉘었다 세우고[點], 땅에 대었다 세우고[指]’하는 여러 동작에 따라 명령과 정보를 전달하였다. | 대체로, 형은 어떤 형태의 진(陣)을 갖추고 어느 방향으로 움직이는가를 알리는데 쓰이며, 명은 진격과 퇴각을 알리는 데 쓰는 등 약간의 차이가 있다. 형은 ‘깃발을 휘두르고[揮], 조금 뉘었다 세우고[點], 땅에 대었다 세우고[指]’하는 여러 동작에 따라 명령과 정보를 전달하였다. | ||
명은 종류에 따라 용도가 달라 소각을 불어 진퇴를 알리고 북과 소각을 함께 사용하여 독전하였다. 크게 고함지르며 적을 몰아칠 때는 도를 울리고, 후퇴할 때에는 징이나 방울을 썼다. | 명은 종류에 따라 용도가 달라 소각을 불어 진퇴를 알리고 북과 소각을 함께 사용하여 독전하였다. 크게 고함지르며 적을 몰아칠 때는 도를 울리고, 후퇴할 때에는 징이나 방울을 썼다. | ||
− | 깃발로 명령을 내리기 전에는 늘 먼저 대각을 불어 군사들의 주의를 환기시키며, 진의 형태를 바꾸거나 할 때도 명과 형을 아울러 사용했다. 이러한 형명이 있음으로써 평시에 진법(陣法)을 훈련하고, 전쟁 때 일사불란하게 군대를 지휘할 수 있었다.<ref | + | 깃발로 명령을 내리기 전에는 늘 먼저 대각을 불어 군사들의 주의를 환기시키며, 진의 형태를 바꾸거나 할 때도 명과 형을 아울러 사용했다. 이러한 형명이 있음으로써 평시에 진법(陣法)을 훈련하고, 전쟁 때 일사불란하게 군대를 지휘할 수 있었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ED%98%95%EB%AA%85&ridx=0&tot=5 형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f> |
==조선 후기의 형명 운영== | ==조선 후기의 형명 운영== | ||
18번째 줄: | 18번째 줄: | ||
형의 경우 조선 전기에는 왕명을 내리는 깃발로 교룡기(蛟龍旗)뿐이었으나, 조선 후기에는 다섯 가지로 늘었다. 중앙군은 국왕을 호위하는 무예청(武藝廳)·용호영(龍虎營)·별초(別抄)·난후별대(攔後別隊) 등을 지휘하기 위한 깃발이 각각 2∼8종씩 있었다. 5군영 또한 군영마다 대장에서 중군(中軍) 이하 각급 지휘관이 용도에 따라 인기(認旗)·수기(手旗)·영기(令旗) 등을 사용하였다. | 형의 경우 조선 전기에는 왕명을 내리는 깃발로 교룡기(蛟龍旗)뿐이었으나, 조선 후기에는 다섯 가지로 늘었다. 중앙군은 국왕을 호위하는 무예청(武藝廳)·용호영(龍虎營)·별초(別抄)·난후별대(攔後別隊) 등을 지휘하기 위한 깃발이 각각 2∼8종씩 있었다. 5군영 또한 군영마다 대장에서 중군(中軍) 이하 각급 지휘관이 용도에 따라 인기(認旗)·수기(手旗)·영기(令旗) 등을 사용하였다. | ||
한편, 과학기술의 발달로 화포가 전보다 중요한 구실을 하게 되어 명에 화포가 들어가게 된 것이 조선 전기와는 크게 다른 점이다. 특히, 호포(號砲)가 각종 명령을 내리고 정보를 알리는 데 광범하게 사용되었다. | 한편, 과학기술의 발달로 화포가 전보다 중요한 구실을 하게 되어 명에 화포가 들어가게 된 것이 조선 전기와는 크게 다른 점이다. 특히, 호포(號砲)가 각종 명령을 내리고 정보를 알리는 데 광범하게 사용되었다. | ||
− | 이와 함께 세종 때 전래된 나팔(喇叭)주 02)이 명에 포함되어 큰 구실을 하면서 상대적으로 대각과 북의 구실이 많이 줄어들었다. 이 시기 취타(吹打)를 위한 악기들이 추가된 것도 두드러진 변화이다.<ref | + | 이와 함께 세종 때 전래된 나팔(喇叭)주 02)이 명에 포함되어 큰 구실을 하면서 상대적으로 대각과 북의 구실이 많이 줄어들었다. 이 시기 취타(吹打)를 위한 악기들이 추가된 것도 두드러진 변화이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ED%98%95%EB%AA%85&ridx=0&tot=5 형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f> |
==Semantic Data== | ==Semantic Data== | ||
137번째 줄: | 137번째 줄: | ||
! author || title || publication || edition || URL | ! author || title || publication || edition || URL | ||
|- | |- | ||
− | | | + | | 백영자, || 『황제를 수호하는 자들-궁중의장기의 부활』, || 경춘사, 2010. || || |
|- | |- | ||
− | | 김지영,|| | + | | 김지영, || 「조선 후기 국왕 행차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5. || || |
|- | |- | ||
− | | | + | | 백영자, || 『조선시대의 어가행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1997. || || |
|- | |- | ||
− | | | + | | 김정진, 백영자, || 「조선시대 嘉禮都監儀軌의 班次圖에 나타난 服飾 연구」,|| 『한국의류학회지』14-2, 1990. || || |
|- | |- | ||
− | | | + | | 백영자, || 「조선왕조 鹵簿(어가행렬) 儀禮에 관한 硏究 : 형식구조의 파악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13-2, 1989. || || |
+ | |- | ||
+ | | 백영자, || 「朝鮮王朝 儀仗旗에 관한 硏究(Ⅰ)」,|| 『한국의류학회지』5-1, 1981. || || | ||
+ | |- | ||
+ | | 국립고궁박물관, || 『왕실문화도감 의장』, || 국립고궁박물관, 2018. || || | ||
+ | |- | ||
+ | | 국립고궁박물관, || 『조선 왕실 군사력의 상징, 군사의례』 || 국립고궁박물관, 2020 || || | ||
+ | |- | ||
+ | | 국방부전사편찬위원회, || 『진법역주(陣法譯註)』,|| 1983 || || | ||
+ | |- | ||
+ | | 조관빈(趙觀彬) 등 봉교편집(奉敎編輯), || 『속병장도설』, || 규장각, 1749. || || http://jsg.aks.ac.kr/dir/view?dataId=JSG_K3-288 | ||
+ | |- | ||
+ | | 서영보(徐榮輔) 등 봉교편집(奉敎編輯), || 『만기요람』권11, || 서울대학교 도서관, 1808. || 집옥재본(集玉齋本) || http://db.itkc.or.kr/inLink?DCI=ITKC_BT_1367A_0070_050_0010_2002_002_XML | ||
+ | |- | ||
+ | | 민승기, || 『조선의 무기와 갑옷』, || 가람기획, 2004 || || | ||
|- | |- | ||
|} | |} |
2021년 2월 1일 (월) 00:13 기준 최신판
Definition
개요
군대를 지휘하고 통신하기 위한 도구[形名]에서 유래한 의장물로 둑[纛], 교룡기交龍旗 , 고자기 鼓字旗 , 금자기 金字旗 , 영자기令字旗 , 금金 , 고鼓의 7종이 있다. 둑 [纛] , 교룡기交龍旗 조선 후기부터 의장에 포함되었다. 왕이 가지는 군 지휘권을 통해 절대적인 권위를 나타내는 의장물이며 왕의 의장(대가, 법가, 소가)에서 가장 선두에 배치되었다. 금과 고는 군의 진퇴를 명령하는 도구였으며, 금자기와 고자기의 이러한 기능을 깃발로 표현한 것이다. 왕의 의장에는 7종의 의장물이 모두 사용되었으며 왕세자의장에는 금, 고, 영자기 3종이 사용되었다. 여성 의장에는 사용되지 않았다.[1]
형명의 정의
형(形)은 각종 깃발을, 명(名)은 징·북 따위를 말한다. 곧, 군대에서 명령이나 정보를 시각과 청각을 통하여 전달하는 수단이다. 형명은 중국의 예와 고구려나 신라의 군대 이름에 깃발을 뜻하는 ‘당(幢)’이 쓰였던 사실 등으로 미루어보아, 고려는 물론 삼국시대에도 군대에서 중요한 수단으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생각되나 자세한 내용은 알 수 없다. 조선 전기에는 오위체제(五衛體制)에 의하여 편성된 단위 부대별로 형명이 배정되어 사용되었다. 형에는 천으로 된 기(旗), 기에 술이 달린 휘(麾), 길게 술이 늘어져 ‘치우(蚩尤)의 머리같이 생겼다.’는 둑(纛) 등이 있었다. 대장(大將)을 예로 들면, 왕의 명령에 응하는 대표기(大標旗), 위장(衛將)에게 명령을 내리는 대휘(大麾), 위장을 소집하는 데 쓰는 대초요기(大招搖旗) 등 단위 부대 지휘관마다 깃발로 명령을 내리고 받았다. 이밖에 복병에 사용하는 대사기(大蛇旗), 척후에 쓰는 후기기(候騎旗) 등이 있었다. 둑은 단위부대마다 출정할 때 제사지내는 것으로서 부대를 상징한다. 명에는 대각(大角)과 소각(小角), 북과 도(鼗), 징·방울 등이 사용되었다. 대장·위장·유군장(遊軍將)·부장(部將)에게 대각·소각이 1, 2개씩 배정되고, 나머지는 단위부대마다 1개씩 배정되었다. 명은 고려말 이성계(李成桂)로부터 쓰기 시작한 소각을 제외하면, 모두 유래가 오랜 것으로 생각된다. 대체로, 형은 어떤 형태의 진(陣)을 갖추고 어느 방향으로 움직이는가를 알리는데 쓰이며, 명은 진격과 퇴각을 알리는 데 쓰는 등 약간의 차이가 있다. 형은 ‘깃발을 휘두르고[揮], 조금 뉘었다 세우고[點], 땅에 대었다 세우고[指]’하는 여러 동작에 따라 명령과 정보를 전달하였다. 명은 종류에 따라 용도가 달라 소각을 불어 진퇴를 알리고 북과 소각을 함께 사용하여 독전하였다. 크게 고함지르며 적을 몰아칠 때는 도를 울리고, 후퇴할 때에는 징이나 방울을 썼다. 깃발로 명령을 내리기 전에는 늘 먼저 대각을 불어 군사들의 주의를 환기시키며, 진의 형태를 바꾸거나 할 때도 명과 형을 아울러 사용했다. 이러한 형명이 있음으로써 평시에 진법(陣法)을 훈련하고, 전쟁 때 일사불란하게 군대를 지휘할 수 있었다.[2]
조선 후기의 형명 운영
조선 후기에는 속오법(束伍法)에 의하여 소부대 단위로 군사 편제가 이루어지고 형명의 용도가 세분되어 종류가 많아졌다. 그러나 진법의 내용이 조선 전기와 크게 달라지지 않아 형명의 기본 짜임새는 대체로 같다. 형의 경우 조선 전기에는 왕명을 내리는 깃발로 교룡기(蛟龍旗)뿐이었으나, 조선 후기에는 다섯 가지로 늘었다. 중앙군은 국왕을 호위하는 무예청(武藝廳)·용호영(龍虎營)·별초(別抄)·난후별대(攔後別隊) 등을 지휘하기 위한 깃발이 각각 2∼8종씩 있었다. 5군영 또한 군영마다 대장에서 중군(中軍) 이하 각급 지휘관이 용도에 따라 인기(認旗)·수기(手旗)·영기(令旗) 등을 사용하였다. 한편, 과학기술의 발달로 화포가 전보다 중요한 구실을 하게 되어 명에 화포가 들어가게 된 것이 조선 전기와는 크게 다른 점이다. 특히, 호포(號砲)가 각종 명령을 내리고 정보를 알리는 데 광범하게 사용되었다. 이와 함께 세종 때 전래된 나팔(喇叭)주 02)이 명에 포함되어 큰 구실을 하면서 상대적으로 대각과 북의 구실이 많이 줄어들었다. 이 시기 취타(吹打)를 위한 악기들이 추가된 것도 두드러진 변화이다.[3]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형명 | Concept | 개념용어 | 형명(形名) | 형명 | 形名 |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형명-形名 |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 value |
---|---|
대표명칭 | 형명 |
한자표기 | 形名 |
영문명칭 | |
이칭 | |
유형 | 개념 |
관련개념 | 길례, 가례, 흉례, 의장, 노부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Spatial Data
Spatial Information Nodes
gid | region | label | hanja | latitude | longitude | altitude | description |
---|---|---|---|---|---|---|---|
Spati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Temporal Data
Temporal Information Nodes
tid | timeSpan | label | hanja | lunarDate | solarDate | indexDate | description |
---|---|---|---|---|---|---|---|
Tempor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Online Referen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형명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ED%98%95%EB%AA%85&ridx=0&tot=5 | |
참고 | 위키실록사전 | 형명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ED%98%95%EB%AA%85(%E5%BD%A2%E5%90%8D) |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 title | publication | edition | URL |
---|---|---|---|---|
백영자, | 『황제를 수호하는 자들-궁중의장기의 부활』, | 경춘사, 2010. | ||
김지영, | 「조선 후기 국왕 행차에 대한 연구」, |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5. | ||
백영자, | 『조선시대의 어가행렬』,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1997. | ||
김정진, 백영자, | 「조선시대 嘉禮都監儀軌의 班次圖에 나타난 服飾 연구」, | 『한국의류학회지』14-2, 1990. | ||
백영자, | 「조선왕조 鹵簿(어가행렬) 儀禮에 관한 硏究 : 형식구조의 파악을 중심으로」, | 『한국의류학회지』13-2, 1989. | ||
백영자, | 「朝鮮王朝 儀仗旗에 관한 硏究(Ⅰ)」, | 『한국의류학회지』5-1, 1981. | ||
국립고궁박물관, | 『왕실문화도감 의장』, | 국립고궁박물관, 2018. | ||
국립고궁박물관, | 『조선 왕실 군사력의 상징, 군사의례』 | 국립고궁박물관, 2020 | ||
국방부전사편찬위원회, | 『진법역주(陣法譯註)』, | 1983 | ||
조관빈(趙觀彬) 등 봉교편집(奉敎編輯), | 『속병장도설』, | 규장각, 1749. | http://jsg.aks.ac.kr/dir/view?dataId=JSG_K3-288 | |
서영보(徐榮輔) 등 봉교편집(奉敎編輯), | 『만기요람』권11, | 서울대학교 도서관, 1808. | 집옥재본(集玉齋本) | http://db.itkc.or.kr/inLink?DCI=ITKC_BT_1367A_0070_050_0010_2002_002_XML |
민승기, | 『조선의 무기와 갑옷』, | 가람기획, 2004 |
Notes
- ↑ 국립고궁박물관,『왕실문화도감, 의장』, 2018, 208쪽
- ↑ 형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 형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