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정여관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여관과 상점은 협찬회 소속 지정 여관, 상점이라는 제도가 있었다. 그러나 여기에 지정되기 위해서는 일정한 회비를 상납해야만 했다. 그...) |
(→Online Reference)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 __NOTOC__ | |
+ | ==Definition== | ||
+ | 1929년 [[조선박람회]] 개최를 앞두고 지방에서 올라오는 관람객들을 수용하기 위해 [[경성협찬회]]에서는 경성부의 여관에 [[지정여관제]]를 두고 운영하였다. [[협찬회]]에 소속된 지정 여관, 상점은 일정한 회비를 상납해야만 했다. 그럼에도 지정 여관이 손님 확보에 유리하리라는 판단에 많은 여관이 지정 여관에 가입했으며, 그외 일반 가정집도 돈을 들여 설비를 고쳐 여관으로 개업하기도 하였다.<ref>헨리, 토드 A. 지음, 김백영 외 3인 옮김 ,『서울, 권력 도시』, || 산처럼, 2020 </ref> | ||
+ | |||
+ | ==Semantic Data== | ||
+ | |||
+ | ===Node Description=== | ||
+ |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 |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 | |- | ||
+ | | [[지정여관제]] || Concept || 개념용어 || 조선박람회 || 지정여관제(指定旅館制)|| 지정여관제||指定旅館制 ||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지정여관제|| | ||
+ | |- | ||
+ | |} | ||
+ | |||
+ | ===Additional Attributes=== | ||
+ | |||
+ | * [[틀:개념정보]] | ||
+ |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 | ! propertyName || value | ||
+ | |- | ||
+ | |사진|| | ||
+ | |- | ||
+ | |사진출처|| | ||
+ | |- | ||
+ | |대표명칭||지정여관제 | ||
+ | |- | ||
+ | |한자표기||指定旅館制 | ||
+ | |- | ||
+ | |영문명칭|| | ||
+ | |- | ||
+ | |이칭|| | ||
+ | |- | ||
+ | |유형|| | ||
+ | |- | ||
+ | |관련개념|| | ||
+ | |- | ||
+ | |} | ||
+ | |||
+ | ===Contextual Relations=== | ||
+ |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 |- | ||
+ | | [[지정여관제]] ||[[경성협찬회]] || [[isRelatedTo]]|| | ||
+ | |- | ||
+ | | [[지정여관제]] || [[조선박람회]] || [[isRelatedTo]] ||temporal | ||
+ | |- | ||
+ | |} | ||
+ | |||
+ | ==Spatial Data== | ||
+ | |||
+ | ===Spactial Information Nodes=== | ||
+ |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 | ! gid || region || label || hanja || latitude || longitude || altitue || description | ||
+ | |- | ||
+ | |} | ||
+ | |||
+ | ===Spatial Relations=== | ||
+ |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Temporal Data== | ||
+ | |||
+ | ===Temporal Information Nodes=== | ||
+ |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 | ! tid || timeSpan || label || hanja || lunarDate || solarDate || indexDate || description | ||
+ | |- | ||
+ | | 조선박람회 || 1929 || 조선박람회|| 朝鮮博覽會 || || 1929년 9월 12일~10월 31일 || || | ||
+ | |- | ||
+ | |} | ||
+ | |||
+ | ===Temporal Relations=== | ||
+ | |||
+ |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 |- | ||
+ | | [[지정여관제]] || [[조선박람회]] || [[isRelatedTo]] ||temporal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Online Reference== | ||
+ |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 |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 | |- | ||
+ | |참고||우리역사넷, 국사편찬위원회, ||1. 경성의 숙박 시설과 관광 명소|| ||http://contents.history.go.kr/front/km/view.do?levelId=km_022_0050_0010 | ||
+ | |- | ||
+ | |참고||실록위키 || 철도여관(鐵道旅館)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철도여관(鐵道旅館) | ||
+ | |- | ||
+ | |} | ||
+ | |||
+ |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 ||
+ | |||
+ | ==Bibliography== | ||
+ |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 | ! author || title || publication || edition || URL | ||
+ | |- | ||
+ | | 이각규, || 『한국의 근대박람회』, || 커뮤니케이션북스, 2010 ||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6352095 | ||
+ | |- | ||
+ | | 건국대학교 아시아콘텐츠연구소,|| 『1929년, 조선을 박람하다 조선박람회기념사진첩』, ||소명출판, 2018 ||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4009827 | ||
+ | |- | ||
+ | | 최병택, || 『욕망의 전시장』, || 서해문집, 2020 ||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6374834 | ||
+ | |- | ||
+ | | 헨리, 토드 A. 지음, 김백영 외 3인 옮김 || 『서울, 권력 도시』, || 산처럼, 2020 ||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6120632 | ||
+ | |- | ||
+ | |} | ||
+ | |||
+ | ==Notes== | ||
+ | |||
+ | *동아일보 1929년 10월 6일자 | ||
+ | *경성일보 1929년 9월 13일자 | ||
+ | *경성일보 1929년 9월 30일자 | ||
+ | *경성일보 9월 22일자 | ||
+ | *경성협찬회는 조선인 여관 주인들을 협회에 가입시켜 협회비를 납부하게 하면서 자신들을 대신해 업무까지 맡도록 동원했다. 하지만 종로상인들과 마찬가지로 여관업자들도 박람회 투자로 수익을 내지 못했고, 결국 많은 조선인들은 빚을 갚으려 애쓰다가 서비스 산업을 떠나고 말았다.<ref>토드 a 헨리, 231쪽</ref> | ||
+ | <references/> | ||
+ | |||
+ | ==Semantic Network Graph== | ||
+ | |||
+ |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분류:Concept]] [[분류:Concept-개념용어]] [[분류:이수민]] |
2020년 10월 5일 (월) 17:57 기준 최신판
Definition
1929년 조선박람회 개최를 앞두고 지방에서 올라오는 관람객들을 수용하기 위해 경성협찬회에서는 경성부의 여관에 지정여관제를 두고 운영하였다. 협찬회에 소속된 지정 여관, 상점은 일정한 회비를 상납해야만 했다. 그럼에도 지정 여관이 손님 확보에 유리하리라는 판단에 많은 여관이 지정 여관에 가입했으며, 그외 일반 가정집도 돈을 들여 설비를 고쳐 여관으로 개업하기도 하였다.[1]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지정여관제 | Concept | 개념용어 | 조선박람회 | 지정여관제(指定旅館制) | 지정여관제 | 指定旅館制 |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지정여관제 |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 value |
---|---|
사진 | |
사진출처 | |
대표명칭 | 지정여관제 |
한자표기 | 指定旅館制 |
영문명칭 | |
이칭 | |
유형 | |
관련개념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지정여관제 | 경성협찬회 | isRelatedTo | |
지정여관제 | 조선박람회 | isRelatedTo | temporal |
Spatial Data
Spactial Information Nodes
gid | region | label | hanja | latitude | longitude | altitue | description |
---|
Spati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Temporal Data
Temporal Information Nodes
tid | timeSpan | label | hanja | lunarDate | solarDate | indexDate | description |
---|---|---|---|---|---|---|---|
조선박람회 | 1929 | 조선박람회 | 朝鮮博覽會 | 1929년 9월 12일~10월 31일 |
Tempor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지정여관제 | 조선박람회 | isRelatedTo | temporal |
Online Referen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참고 | 우리역사넷, 국사편찬위원회, | 1. 경성의 숙박 시설과 관광 명소 | http://contents.history.go.kr/front/km/view.do?levelId=km_022_0050_0010 | |
참고 | 실록위키 | 철도여관(鐵道旅館)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철도여관(鐵道旅館) |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 title | publication | edition | URL |
---|---|---|---|---|
이각규, | 『한국의 근대박람회』, | 커뮤니케이션북스, 2010 |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6352095 | |
건국대학교 아시아콘텐츠연구소, | 『1929년, 조선을 박람하다 조선박람회기념사진첩』, | 소명출판, 2018 |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4009827 | |
최병택, | 『욕망의 전시장』, | 서해문집, 2020 |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6374834 | |
헨리, 토드 A. 지음, 김백영 외 3인 옮김 | 『서울, 권력 도시』, | 산처럼, 2020 |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6120632 |
Notes
- 동아일보 1929년 10월 6일자
- 경성일보 1929년 9월 13일자
- 경성일보 1929년 9월 30일자
- 경성일보 9월 22일자
- 경성협찬회는 조선인 여관 주인들을 협회에 가입시켜 협회비를 납부하게 하면서 자신들을 대신해 업무까지 맡도록 동원했다. 하지만 종로상인들과 마찬가지로 여관업자들도 박람회 투자로 수익을 내지 못했고, 결국 많은 조선인들은 빚을 갚으려 애쓰다가 서비스 산업을 떠나고 말았다.[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