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종-명성황후의 가례-친영 내인복장"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emantic Network Graph) |
(→Bibliography)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3번째 줄: | 3번째 줄: | ||
1866년(고종 3) 3월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3939 고종(高宗 1852~1919)]과 [[명성황후|명성황후(明成皇后 1851~1895)]]의 가례에서 친영시 말을 타고 참여한 내인(內人)의 복장이다.<br/> | 1866년(고종 3) 3월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3939 고종(高宗 1852~1919)]과 [[명성황후|명성황후(明成皇后 1851~1895)]]의 가례에서 친영시 말을 타고 참여한 내인(內人)의 복장이다.<br/> | ||
− | 『고종명성후가례도감의궤』에서 기행내인(騎行內人)의 복식 물목으로는 홍저포장삼(紅苧布長衫), 황저포장삼(黃苧布長衫), 초록주겹저고리[草綠紬裌赤古里], 남주솜치마[藍紬襦赤亇], 아청주치마[雅青紬赤亇], 백정주말군(白鼎紬袜裙), 백정주삼아(白鼎紬衫兒), 남사대(藍紗带), 청상립(青箱笠), 흑주너울(黑紬羅兀), 양이엄(凉耳掩), 흑웅피온혜(黑熊皮温鞋)라고 되어 있다.<ref>"[https://kyudb.snu.ac.kr/book/view.do?book_cd=GK13153_00 『高宗明成后嘉禮都監儀軌』(奎13153)]", <html><online style="color:purple">『규장각 원문검색서비스』<sup>online</sup></online></html>,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 + | 『고종명성후가례도감의궤』에서 기행내인(騎行內人)의 복식 물목으로는 홍저포장삼(紅苧布長衫), 황저포장삼(黃苧布長衫), 초록주겹저고리[草綠紬裌赤古里], 남주솜치마[藍紬襦赤亇], 아청주치마[雅青紬赤亇], 백정주말군(白鼎紬袜裙), 백정주삼아(白鼎紬衫兒), 남사대(藍紗带), 청상립(青箱笠), 흑주너울(黑紬羅兀), 양이엄(凉耳掩), 흑웅피온혜(黑熊皮温鞋)라고 되어 있으며, 반차도에는 소매가 넓은 녹색 상의를 착용한 것으로 그려져 있다.<ref>"[https://kyudb.snu.ac.kr/book/view.do?book_cd=GK13153_00 『高宗明成后嘉禮都監儀軌』(奎13153)]", <html><online style="color:purple">『규장각 원문검색서비스』<sup>online</sup></online></html>, 규장각 한국학연구원.</ref> |
==Semantic Data== | ==Semantic Data== | ||
13번째 줄: | 13번째 줄: | ||
|- | |- | ||
| [[고종-명성황후의_가례-친영_내인복장]] || Clothing || 복장 || 궁녀 || 내인복장(內人服) || 내인복장 || 內人服 || ||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고종-명성황후의_가례-친영_내인복장 || | | [[고종-명성황후의_가례-친영_내인복장]] || Clothing || 복장 || 궁녀 || 내인복장(內人服) || 내인복장 || 內人服 || ||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고종-명성황후의_가례-친영_내인복장 || | ||
− | <html><img width="120" src=""/></html> | + | <html><img width="120" src="http://dh.aks.ac.kr/~hanyang/icon/복식/고종명성후가례-내인.png"/></html> |
|- | |- | ||
|} | |} | ||
50번째 줄: | 50번째 줄: | ||
|- | |- | ||
| [[고종-명성황후의_가례-친영_내인복장]] || [[이엄]] || [[hasPart]] || | | [[고종-명성황후의_가례-친영_내인복장]] || [[이엄]] || [[hasPart]] || | ||
+ | |- | ||
+ | | [[고종-명성황후의_가례-친영_내인복장]] || [[홍장삼]] || [[hasPart]] || | ||
+ | |- | ||
+ | | [[고종-명성황후의_가례-친영_내인복장]] || [[황장삼]] || [[hasPart]] || | ||
|- | |- | ||
| [[고종-명성황후의_가례-친영_내인복장]] || [[녹원삼]] || [[hasPart]] || | | [[고종-명성황후의_가례-친영_내인복장]] || [[녹원삼]] || [[hasPart]] || | ||
55번째 줄: | 59번째 줄: | ||
| [[고종-명성황후의_가례-친영_내인복장]] || [[남대대]] || [[hasPart]] || | | [[고종-명성황후의_가례-친영_내인복장]] || [[남대대]] || [[hasPart]] || | ||
|- | |- | ||
− | | [[고종-명성황후의_가례-친영_내인복장]] || [[ | + | | [[고종-명성황후의_가례-친영_내인복장]] || [[초록당의]] || [[hasPart]] || |
+ | |- | ||
+ | | [[고종-명성황후의_가례-친영_내인복장]] || [[옥색저고리]] || [[hasPart]] || | ||
+ | |- | ||
+ | | [[고종-명성황후의_가례-친영_내인복장]] || [[남색웃치마]] || [[hasPart]] || | ||
|- | |- | ||
| [[고종-명성황후의_가례-친영_내인복장]] || [[남색치마]] || [[hasPart]] || | | [[고종-명성황후의_가례-친영_내인복장]] || [[남색치마]] || [[hasPart]] || | ||
|- | |- | ||
− | | [[고종-명성황후의_가례-친영_내인복장]] || [[ | + | | [[고종-명성황후의_가례-친영_내인복장]] || [[삼아]] || [[hasPart]] || |
|- | |- | ||
| [[고종-명성황후의_가례-친영_내인복장]] || [[말군]] || [[hasPart]] || | | [[고종-명성황후의_가례-친영_내인복장]] || [[말군]] || [[hasPart]] || | ||
86번째 줄: | 94번째 줄: | ||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 | |- | ||
− | | | + | | 해설 || 디지털 장서각 || [고종명성황후]가례도감의궤([高宗明成皇后]嘉禮都監儀軌) || 청구기호 K2-2599 || http://jsg.aks.ac.kr/dir/view?catePath=&dataId=JSG_K2-2599 |
+ | |- | ||
+ | | 해설 ||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 [高宗明成后]嘉禮都監儀軌 [고종명성후]가례도감의궤 || 청구기호 奎13153-v.1-2 || http://kyudb.snu.ac.kr/book/view.do?book_cd=GK13153_00 | ||
+ | |- | ||
+ | | 해설 || 국립고궁박물관 || [고종·명성황후]가례도감의궤 [高宗·明成皇后]嘉禮都監儀軌 || 유물번호 고궁2704 || https://www.gogung.go.kr/joseonRecordsHeritageView.do?bbsSeq=6032 | ||
+ | |- | ||
+ | | 도해 || 디지털 장서각 || [고종명성황후]가례도감의궤([高宗明成皇后]嘉禮都監儀軌) || 청구기호 K2-2599 || http://jsgimage.aks.ac.kr/jsgimage?qCond=bookId&q=K2-2599 | ||
+ | |- | ||
+ | | 텍스트 ||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 [高宗明成后]嘉禮都監儀軌 [고종명성후]가례도감의궤 || 청구기호 奎13153-v.1-2 || http://kyudb.snu.ac.kr/book/text.do?book_cd=GK13153_00 | ||
|- | |- | ||
|} | |} | ||
96번째 줄: | 112번째 줄: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 author || title || publication || edition || URL | ! author || title || publication || edition || URL | ||
+ | |- | ||
+ | | || 『尙方定例』 || || || | ||
+ | |- | ||
+ | | || 『國婚定例』 || || || | ||
|- | |- | ||
| || 『高宗明成后嘉禮都監儀軌』 || || || | | || 『高宗明成后嘉禮都監儀軌』 || || || | ||
+ | |- | ||
+ | | 국립문화재연구소, || 『국역 국혼정례』, || 국학자료원, 2007. || || | ||
+ | |- | ||
+ | | 권혜진, || 『활옷, 그 아름다움의 비밀』, || 혜안, 2012. || || | ||
+ | |- | ||
+ | | 김소현, || 「조선시대 궁녀의 직무와 복식에 관한 연구」, 『服飾』 제61권 10호, || 한국복식학회, 2011. || || | ||
|- | |- | ||
| 김아람, || 「복식 고증을 통한 복온공주 혼례 친영반차도 구현」, ||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 | | 김아람, || 「복식 고증을 통한 복온공주 혼례 친영반차도 구현」, ||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 | ||
+ | |- | ||
+ | | 유송옥, || 『조선왕조 궁중의궤복식』, || 수학사, 1992. || || | ||
+ | |- | ||
+ | | 이성미, || 『가례도감의궤와 미술사』, || 소와당, 2008. || || | ||
+ | |- | ||
+ | | 황진영, || 「조선후기 궁녀복식에 관한 고찰」, 『韓國服飾』 제40호,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18. || || | ||
|- | |- | ||
|} | |} |
2021년 3월 14일 (일) 17:44 기준 최신판
Definition
1866년(고종 3) 3월 고종(高宗 1852~1919)과 명성황후(明成皇后 1851~1895)의 가례에서 친영시 말을 타고 참여한 내인(內人)의 복장이다.
『고종명성후가례도감의궤』에서 기행내인(騎行內人)의 복식 물목으로는 홍저포장삼(紅苧布長衫), 황저포장삼(黃苧布長衫), 초록주겹저고리[草綠紬裌赤古里], 남주솜치마[藍紬襦赤亇], 아청주치마[雅青紬赤亇], 백정주말군(白鼎紬袜裙), 백정주삼아(白鼎紬衫兒), 남사대(藍紗带), 청상립(青箱笠), 흑주너울(黑紬羅兀), 양이엄(凉耳掩), 흑웅피온혜(黑熊皮温鞋)라고 되어 있으며, 반차도에는 소매가 넓은 녹색 상의를 착용한 것으로 그려져 있다.[1]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고종-명성황후의_가례-친영_내인복장 | Clothing | 복장 | 궁녀 | 내인복장(內人服) | 내인복장 | 內人服 |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고종-명성황후의_가례-친영_내인복장 |
|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 value |
---|---|
id | 고종-명성황후의_가례-친영_내인복장 |
대표명칭 | 고종명성후 가례 친영 내인복장 |
한자표기 | 高宗明成后 嘉禮 親迎 內人服 |
이칭별칭 | 내인복식 |
분류 | 예복 |
착용신분 | 궁녀 |
착용성별 | 여성 |
Contextual Relations
Online Referen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해설 | 디지털 장서각 | [고종명성황후]가례도감의궤([高宗明成皇后]嘉禮都監儀軌) | 청구기호 K2-2599 | http://jsg.aks.ac.kr/dir/view?catePath=&dataId=JSG_K2-2599 |
해설 |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 [高宗明成后]嘉禮都監儀軌 [고종명성후]가례도감의궤 | 청구기호 奎13153-v.1-2 | http://kyudb.snu.ac.kr/book/view.do?book_cd=GK13153_00 |
해설 | 국립고궁박물관 | [고종·명성황후]가례도감의궤 [高宗·明成皇后]嘉禮都監儀軌 | 유물번호 고궁2704 | https://www.gogung.go.kr/joseonRecordsHeritageView.do?bbsSeq=6032 |
도해 | 디지털 장서각 | [고종명성황후]가례도감의궤([高宗明成皇后]嘉禮都監儀軌) | 청구기호 K2-2599 | http://jsgimage.aks.ac.kr/jsgimage?qCond=bookId&q=K2-2599 |
텍스트 |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 [高宗明成后]嘉禮都監儀軌 [고종명성후]가례도감의궤 | 청구기호 奎13153-v.1-2 | http://kyudb.snu.ac.kr/book/text.do?book_cd=GK13153_00 |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 title | publication | edition | URL |
---|---|---|---|---|
『尙方定例』 | ||||
『國婚定例』 | ||||
『高宗明成后嘉禮都監儀軌』 | ||||
국립문화재연구소, | 『국역 국혼정례』, | 국학자료원, 2007. | ||
권혜진, | 『활옷, 그 아름다움의 비밀』, | 혜안, 2012. | ||
김소현, | 「조선시대 궁녀의 직무와 복식에 관한 연구」, 『服飾』 제61권 10호, | 한국복식학회, 2011. | ||
김아람, | 「복식 고증을 통한 복온공주 혼례 친영반차도 구현」, |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
유송옥, | 『조선왕조 궁중의궤복식』, | 수학사, 1992. | ||
이성미, | 『가례도감의궤와 미술사』, | 소와당, 2008. | ||
황진영, | 「조선후기 궁녀복식에 관한 고찰」, 『韓國服飾』 제40호,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18. |
Notes
- ↑ "『高宗明成后嘉禮都監儀軌』(奎13153)",
『규장각 원문검색서비스』online ,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