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찬항목:임민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종친부) |
(→왕실 문화 재현 모델 고증 자료) |
||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8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왕실 문화 재현 | + | ==시맨틱 그래프== |
+ | {{SemanticQuery | db=hanyang | project=임민혁| key=국장도감}} | ||
+ | |||
+ | ==왕실 문화 재현 조사 자료: 고문헌== | ||
===경복궁=== | ===경복궁=== | ||
6번째 줄: | 9번째 줄: | ||
! style="width:5%" | No || style="width:20%" |자료명 || style="width:10%" |간행시기 || style="width:40%" |내용 || style="width:15%" |비고 || style="width:10%" |소장처 | ! style="width:5%" | No || style="width:20%" |자료명 || style="width:10%" |간행시기 || style="width:40%" |내용 || style="width:15%" |비고 || style="width:10%" |소장처 | ||
|- | |- | ||
− | | 1 ||북궐도형(北闕圖形) || 19세기 말 || 경복궁의 평면 배치도. 대원군이 1865년 경복궁을 중건한 뒤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 || || 고궁박물관 | + | | 1 || [[북궐도형]](北闕圖形) || 19세기 말 || 경복궁의 평면 배치도. 대원군이 1865년 경복궁을 중건한 뒤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 || || 고궁박물관 |
+ | |- | ||
+ | | 2 || [[궁궐지]](宮闕志) || 17∼18세기(조선 숙종 연간), 19세기(조선 고종 연간) || 조선시대 궁궐의 각 전각의 명칭·위치·연혁을 기록한 사적기 || || 장서각, 규장각 | ||
+ | |- | ||
+ | | 3 || [[한경지략]](漢京識略) || 순조연간 || 조선 후기 서울의 역사와 구조를 유예본(추정)이 정리해놓은 책 || || | ||
+ | |- | ||
+ | | 4 || [[조선고적도보]](朝鮮古跡圖譜) || 1933년 || 조선총독부가 한국의 고적조사사업을 진행하고 그 성과를 사진과 도면으로 간행한 책. || || 국립문화재연구소 | ||
+ | |- | ||
+ | | 5 || [[경복궁지]](景福宮志) || 고종연간 || 경복궁의 연혁 || || 규장각 | ||
+ | |- | ||
+ | | 6 || [[어제경복궁]](御製景福宮) || 1775년(영조51) || 영조가 지은 시 || || 장서각 | ||
+ | |- | ||
+ | | 7 || [[어제강녕전고실록여침만억]](御製康寧殿考實錄予忱萬億) || 1770년(영조46) || 영조가 지은 시 || || 장서각 | ||
+ | |- | ||
+ | | 8 || [[경복궁창덕궁증건도감의궤]] || 1901년 || 경복궁과 창덕궁에 소재한 선원전의 제1실을 증건한 전말을 기록한 의궤 || 태조·숙종·영조·정조·순조·문조·헌종 등 7실에 어진 봉안 || 장서각 | ||
+ | |- | ||
+ | | 9 || [[명성황후국장도감의궤]] || 1905년 || 명성황후 시해 후 2개월 정도 지나 국장을 반포하고 빈전을 경복궁의 태원전, 혼전을 문경전으로 정하였다. 상장례의 진행 중에 아관파천 등으로 지연되다가 1896년 9월에 황후의 시신을 경운궁 경효전으로 옮겼으며 대한제국의 탄생으로 다시 늦추어지다가 1897년 11월에 발인하여 매장되었다. || 염습과 성복까지 진행되다가 후에 경복궁에서 경운궁으로 시신을 옮기기까지의 의례 || 규장각 | ||
+ | |- | ||
+ | | 10 || [[명성황후빈전혼전도감의궤]] || 1905년 || 1896년 9월에 황후의 시신을 경운궁 경효전으로 옮겼으며 대한제국의 탄생으로 다시 늦추어지다가 1897년 11월에 발인하여 매장되었다. || 경운궁으로 시신을 옮긴후 부묘 전까지의 의례 || 규장각 | ||
+ | |- | ||
+ | | 11 || [[명성황후산릉도감의궤]] || 1905년 ||1897년 11월에 발인하여 매장되기까지의 의례 || || 규장각 | ||
+ | |- | ||
+ | | 12 || [[명성황후발인반차도]] || 1905년 || 명성왕후의 상례 발인 반차도. 명성황후국장도감의궤에 실린 반차도와 내용은 같으나 크기가 한층 크다. || 등장인원 2천여 명 || 장서각 | ||
+ | |- | ||
+ | | 13 || [[보사공신녹훈도감의궤]] || 1680년(숙종6) || 허견 등이 복선군을 왕으로 추대하려다가 발각된 반역사건을 제압한 공신들의 녹훈 의궤. || 경복궁 북문 밖의 회맹단에서 회맹제를 지냄 || 국립중앙박물관 (외규장각 의궤) | ||
+ | |- | ||
+ | | 14 || [[의주등록-1800]] || || 경복궁 친림 과거시험, 육상궁 등의 전배 등에 관한 의주 기록 || || 장서각 | ||
+ | |- | ||
+ | | 15 || [[의화군가례등록]] ||1893년(고종30) || 고종의 아들 의화군(귀인장씨 소생) 이강의 관례와 혼례 || || 장서각 | ||
+ | |- | ||
+ | | 16 || [[이십일공신회맹록]] || 1728년(영조4) || 경복궁 신무문 앞에서 회맹 || || 장서각 | ||
+ | |- | ||
+ | | 17 || [[신정왕후국장도감의궤]] || 1892년(고종29) || 익종의 비인 신정왕후의 상례 의궤. 신정왕후가 1890년(고종27) 4월에 승하하자, 경복궁의 태원전을 진전, 문경전을 혼전으로 삼았다. || 발인·부묘반차도와 각종 채색도설이 다른 의궤에 비해 규모가 크다. || 장서각, 규장각 | ||
+ | |- | ||
+ | | 18 || [[신정왕후빈전혼전도감의궤]] || 1892년(고종29) || 익종의 비인 신정왕후의 상례 의궤. 신정왕후가 1890년(고종27) 4월에 승하하자, 경복궁의 태원전을 진전, 문경전을 혼전으로 삼았다. || 발인·부묘반차도와 각종 채색도설이 다른 의궤에 비해 규모가 크다. || 장서각, 규장각 | ||
+ | |- | ||
+ | | 19 || [[신정왕후산릉도감의궤]] || 1892년(고종29) || 익종의 비인 신정왕후의 상례 의궤. 신정왕후가 1890년(고종27) 4월에 승하하자, 경복궁의 태원전을 진전, 문경전을 혼전으로 삼았다. || 발인·부묘반차도와 각종 채색도설이 다른 의궤에 비해 규모가 크다. || 장서각, 규장각 | ||
+ | |- | ||
+ | | 20 || [[신정왕후상호도감의궤]] || 1892년(고종29) || 익종의 비인 신정왕후의 상례 의궤. 신정왕후가 1890년(고종27) 4월에 승하하자, 경복궁의 태원전을 진전, 문경전을 혼전으로 삼았다. || 발인·부묘반차도와 각종 채색도설이 다른 의궤에 비해 규모가 크다. || 장서각, 규장각 | ||
+ | |- | ||
+ | | 21 || [[신정왕후부묘도감의궤]] || 1892년(고종29) || 익종의 비인 신정왕후의 상례 의궤. 신정왕후가 1890년(고종27) 4월에 승하하자, 경복궁의 태원전을 진전, 문경전을 혼전으로 삼았다. || 발인·부묘반차도와 각종 채색도설이 다른 의궤에 비해 규모가 크다. || 장서각, 규장각 | ||
+ | |- | ||
+ | | 22 || [[자경전진작정례의궤]] || 1828년(순조28) || 원손의 탄생을 경하하여 국왕과 왕비에게 존호를 올리고 자경전에서 진작례를 거행한 사실을 기록한 의궤이다. || 연향 참석자, 기물 위치, 악기 배치, 음식재료와 양, 고임 높이, 조화(造花)의 종류와 수량 등 매우 상세한 시각자료 || 장서각 | ||
+ | |- | ||
+ | | 23 || [[정축진찬의궤]] || 1877년(고종14) || 신정왕후 칠순과 철인왕후의 망오에 진찬하는 의례 || 근정전과 통명전에서 거행 || 장서각 | ||
+ | |- | ||
+ | | 24 || [[정해진찬의궤]] || 1887년(고종24) || 신정왕후 80세를 맞아 진찬하는 의례 || 근정전과 만경전에서 거행 || 장서각 | ||
+ | |- | ||
+ | | 25 || [[임진진찬의궤]] || 1892년(고종29) || 고종 보령 41세, 등극 30년을 경축하기 위해 진찬하는 의례 || 근정전과 강녕전에서 거행 || 장서각 | ||
+ | |- | ||
+ | | 26 || [[진연의궤]] || 1902년 || 고종이 영조의 예에 따라 망육(望六)에 기로소에 입소한 것을 축하하기 위해 함녕전에서 설행한 외진연과 이후 이어진 내진연, 야진연, 황태자 회작(會酌)과 야연(夜讌) 등에 대한 기록이다. || 반차도, 정재도, 악기도, 의장도, 복식도 등이 자세하며, 찬품과 채화, 기용 등의 항목도 수록. || 규장각 | ||
+ | |- | ||
+ | | 27 || [[강녕전익일왕세자야연홀기]] || 1868년(고종5) || 신정왕후 회갑 익일의 야연 홀기 || || 장서각 | ||
+ | |- | ||
+ | | 28 || [[별고물종봉상]](別庫物種捧上) || 1875(고종12) || 고종2년에 중건된 의정부에 고종이 친림한 사실에 대한 기록 || || 규장각 | ||
+ | |- | ||
+ | | 29 || [[친림정부시의궤]] || 고종2년 || 고종2년에 중건된 의정부에 고종이 친림한 사실에 대한 기록 || || 규장각 | ||
+ | |- | ||
+ | | 30 || [[친잠의궤]] || 1767년(영조43) || 영조 43년에 정순왕후가 경복궁의 후원에서 선잠제와 친잠례를 거행한 사실을 기록하였다. || 제단도, 진설도, 채상단도, 각종 잠구(蠶具)의 도해, 제기도 등이 자세하다. || 장서각, 규장각 | ||
+ | |- | ||
+ | | 31 || [[태조원종이모도감의궤]] || 1872년(고종9) || 개국 8주갑 기념으로 태조와 원종의 어진을 모사하는 작업 거행 || 경복궁 태원전에서 이모 || 장서각, 규장각 | ||
+ | |- | ||
+ | | 32 || [[환어경복궁시중궁전출궁의]](還御景福宮時中宮殿出宮儀) || 미상 || 왕이 경복궁으로 돌아올 때 왕비가 나가서 맞이하는 의식을 정리한 책 || || 규장각 | ||
+ | |- | ||
+ | | 33 || [[현종영조상호도감의궤]] || 1772년(영조 48) || 현종, 영조에게 존호나 시호를 올리는 의례 || 기로소, 종친부에서 진찬 || 장서각, 규장각 | ||
+ | |- | ||
+ | | 34 || [[임진상호도감의궤]] || 1892년(고종 29) || 익종·신정왕후·효정왕후·철인왕후·고종·명성왕후 등에게 존호를 올리는 의례 || 경복궁 근정전에서 거행 || 장서각, 규장각 | ||
+ | |- | ||
+ | | 35 || [[숙종인경왕후인현왕후인원왕후상호도감의궤]] || 1890년(고종 27) || 숙종·인경왕후·인현왕후·인원왕후 등에게 존호나 시호를 올리는 의례 || 경복궁 근정전에서 거행 || 장서각, 규장각 | ||
+ | |- | ||
+ | | 36 || [[고종신정왕후효정왕후명성황후상호도감의궤]] || 1890년(고종27) || 고종·신정왕후·효정왕후·명성왕후 등에게 존호를 올리는 의례 || 경복궁 근정전에서 거행 || 장서각, 규장각 | ||
+ | |- | ||
+ | | 37 || [[신정왕후효정왕후고종명성황후상호도감의궤]] || 1888년(고종 25) || 고종 즉위 25주년을 맞아 고종·신정왕후·효정왕후·명성왕후 등에게 존호를 올리는 의례 || 경복궁 근정전과 흥복전에서 거행 || 장서각, 규장각 | ||
+ | |- | ||
+ | | 38 || [[신정왕후상호도감의궤]] || 1888년(고종 25) || 신정왕후 81세를 맞아 신정왕후에게 존호를 올리는 의례 || 경복궁 근정전에서 거행 || 장서각, 규장각 | ||
+ | |- | ||
+ | | 39 || [[익종신정왕후상호도감의궤]] || 1875년(고종 12) || 익종 세실 지정을 경축하면서 익종·신정왕후에게 존호를 올리는 의례 || 경복궁 근정전과 종묘에서 거행 || 장서각, 규장각 | ||
+ | |- | ||
+ | | 40 || [[신정왕후효정왕후철인왕후고종명성황후상호도감의궤]] || 1872년(고종 9) || 고종의 9년간의 공적을 기려 존호를 올리는 의례 || 경복궁 근정전과 강녕전에서 거행 || 장서각, 규장각 | ||
+ | |- | ||
+ | | 41 || [[신정왕후가상존호옥책문-1883]](神貞王后加上尊號玉冊文) || 1883년(고종20) || 신정왕후 존호 옥책문의 탁본 || || 장서각 | ||
+ | |- | ||
+ | | 42 || [[신정왕후가상존호옥책문-1886]](神貞王后加上尊號玉冊文) || 1886년(고종23) || 신정왕후 존호 옥책문의 탁본 || || 장서각 | ||
+ | |- | ||
+ | | 43 || [[신정왕후가상존호옥책문-1888_1]](神貞王后加上尊號玉冊文) || 1888년(고종25) || 신정왕후 존호 옥책문의 탁본 || || 장서각 | ||
+ | |- | ||
+ | | 44 || [[신정왕후가상존호옥책문-1888_2]](神貞王后加上尊號玉冊文) || 1888년(고종25) || 신정왕후 존호 옥책문의 탁본 || || 장서각 | ||
+ | |- | ||
+ | | 45 || [[신정왕후가상존호옥책문-1890]](神貞王后加上尊號玉冊文) || 1890년(고종27) || 신정왕후 존호 옥책문의 탁본 || || 장서각 | ||
+ | |- | ||
+ | | 46 || [[신정왕후가상존호옥책문-1848]](神貞王后加上尊號玉冊文) || 1848년(헌종14) || 신정왕후 존호 옥책문의 탁본 || || 장서각 | ||
+ | |- | ||
+ | | 47 || [[신정왕후가상존호옥책문-1859]](神貞王后加上尊號玉冊文) || 1859년(철종10) || 신정왕후 존호 옥책문의 탁본 || || 장서각 | ||
+ | |- | ||
+ | | 48 || [[신정왕후가상존호옥책문-1853]](神貞王后加上尊號玉冊文) || 1853년(철종4) || 신정왕후 존호 옥책문의 탁본 || || 장서각 | ||
+ | |- | ||
+ | | 49 || [[신정왕후가상존호옥책문-1877]](神貞王后加上尊號玉冊文) || 1877년(고종14) || 신정왕후 존호 옥책문의 탁본 || || 장서각 | ||
+ | |- | ||
+ | | 50 || [[신정왕후가상존호옥책문-1863]](神貞王后加上尊號玉冊文) || 1863년(철종14) || 신정왕후 존호 옥책문의 탁본 || || 장서각 | ||
+ | |- | ||
+ | | 51 || [[신정왕후가상존호옥책문-1879_1]](神貞王后加上尊號玉冊文) || 1879년(고종16) || 신정왕후 존호 옥책문의 탁본 || || 장서각 | ||
+ | |- | ||
+ | | 52 || [[신정왕후가상존호옥책문-1879_2]](神貞王后加上尊號玉冊文) || 1879년(고종16) || 신정왕후 존호 옥책문의 탁본 || || 장서각 | ||
+ | |- | ||
+ | | 53 || [[신정왕후만장]](神貞王后輓章) || 1890년(고종27) || 신정왕후 국장 때 신하들이 지은 만장 필사본 || || 장서각 | ||
+ | |- | ||
+ | | 54 || [[신정왕후상시옥책문]](神貞王后上諡玉冊文) || 1890년(고종27) || 신정왕후 존호와 시호 옥책문의 탁본 || || 장서각 | ||
+ | |- | ||
+ | | 55 || [[신정왕후상존호옥책문]](神貞王后上尊號玉冊文) || 1837년(헌종3) || 신정왕후 존호 옥책문의 탁본 || || 장서각 | ||
|- | |- | ||
− | | | + | | 56 || [[신정왕후추상존호옥책문-1902]](神貞王后追上尊號玉冊文) || 1902년(광무6) || 신정왕후 존호와 시호 옥책문의 탁본 || || 장서각 |
|- | |- | ||
− | | | + | | 57 || [[신정왕후추상존호옥책문-1892]](神貞王后追上尊號玉冊文) || 1892년(고종29) || 신정왕후 존호와 시호 옥책문의 탁본 || || 장서각 |
|- | |- | ||
− | | | + | | 58 || [[신정왕후행장초]](神貞王后行狀草) || || 신정왕후 사후에 지은 일대기 || || 장서각 |
|- | |- | ||
− | | | + | | 59 X || [[계유진작의궤]]-김지영 선생님 작성 || 1872년(고종 9) || 고종과 왕비, 대비에게 존호를 올리고 진작하는 의례 || 경복궁 강녕전에서 거행 || 장서각, 규장각 |
|- | |- | ||
− | | | + | | 60 || [[영조묘호도감의궤]] || 1890년(고종 27) || 영조의 묘호를 개상하면서 영조와 그의 비에게 존호를 올리는 의례 || 경복궁 근정전에서 거행 || 장서각, 규장각 |
|- | |- | ||
− | | | + | | 61 || [[경복궁창덕궁내상량문]] || || 경복궁과 창덕궁 내 각 건물의 상량문 필사본 || || 국립중앙도서관 |
|- | |- | ||
− | | | + | | 62 || [[경복궁갱재첩]] || || 경복궁을 소재로 지은 시문첩 || || 국립중앙도서관 |
|- | |- | ||
− | | | + | | 63 || [[영건일감]](營建日鑑) || || 경복궁 영건 기록 || || 토지주택박물관 |
|- | |- | ||
− | | | + | | 64 || [[경복궁영건일기]](景福宮營建日記) || || 경복궁 영건 기록 || || 서울대중앙도서관 |
|- | |- | ||
− | | | + | | 65 || [[경복궁중건상량문]](景福宮重建上樑文) || || 경복궁 중건 때의 각 건물 상량문 필사본 || || 고려대학교도서관 |
|- | |- | ||
− | | | + | | 66 || [[경복궁영건개성부원납성책]](景福宮營建開城府願納成冊) || || 경복궁 중건 때 개성부의 원납전 모금 현황 기록 || || 성암고서박물관자료실 |
|- | |- | ||
− | | | + | | 67 || [[명성황후국휼등록]](明成皇后國恤謄錄) || || 명성황후의 상장례에 관한 사실을 예조에서 날짜순으로 정리해놓은 등록이다. || || 장서각 |
|- | |- | ||
− | | | + | | 68 || [[의주등록-1780]](儀註謄錄) || 정조2년(1778)~정조4년 || 사직, 종묘, 경모궁 등에서 행해진 국가의례 의주 기록 || || 장서각 |
|- | |- | ||
− | | | + | | 69 || [[의주등록속-1872]](儀註謄錄續) || || 1801년부터 1872년까지 국가에서 행한 국가의례를 예조에서 모아 정리한 등록 || || 장서각 |
|- | |- | ||
− | | | + | | 70 || [[의주등록속-1894]](儀註謄錄續) || || 1873년부터 1894년까지 국가에서 행한 국가의례를 예조에서 모아 정리한 등록 || || 장서각 |
|- | |- | ||
− | | | + | | 71 || [[의주등록-1910]](儀註謄錄) || || 1895년부터 1910년까지 국가에서 행한 의례 초록 || || 장서각 |
|- | |- | ||
− | | | + | | 72 || [[공사청일기]](公事廳日記) || 1894~1897년(광무1), 1901년(광무5) || 내시들이 소속되어 있던 공사청에서 편찬한 관청일기 || || 규장각 |
|- | |- | ||
− | | | + | | 73 || [[궁내부을미일록]](宮內府乙未日錄) || 1895년(고종32) || 1895년(고종 32) 1월 1일부터 7월 30일까지 경복궁에서의 임금과 신하들의 정무 기록 || || 규장각 |
|- | |- | ||
− | | | + | | 74 || [[궁내부일기]](宮內府日記) || 1894(고종31)~1895년 || 1894년(고종 31) 11월 1일부터 1895년(고종 32) 3월 30일까지 궁내부에서 고종의 일과 기록 || || 규장각 |
|- | |- | ||
− | | | + | | 75 || [[동궁일록]](東宮日錄) || 1874(고종12)~1907년(융희1) || 탄생부터 즉위까지 동궁으로 있던 순종과 관련된 모든 사항 기록 || || 규장각 |
+ | |- | ||
+ | | 76 || [[비서감일기]](秘書監日記) || 1895(고종32)~1907년 || 비서감에서 1895년 이후 대한제국시기까지 임금의 정무 및 일과 기록 || || 규장각 | ||
+ | |- | ||
+ | | 77 || [[비서원일기]](秘書院日記) || 1895(고종32)~1907년 || 비서원에서 1895년 이후 대한제국시기까지 임금의 정무 및 일과 기록 || || 규장각 | ||
+ | |- | ||
+ | | 78 || [[석운일기]](石雲日記) || 1872~1895년 || 고종 때의 문신 박기양(朴箕陽)이 관직에 진출하여 내직에 근무할 때의 일 등 기록 || || 규장각 | ||
+ | |- | ||
+ | | 79 || [[석운종환록]](石雲從宦錄) || 1883(고종20)~1894년(고종31) || 박기양이 내직에 근무하며 기록한 일기 || || 규장각 | ||
+ | |- | ||
+ | | 80 || [[선전관청일기]](宣傳官廳日記) || 1864(고종원)~1893년(고종30) || 고종년간인 1864년에서 1983년까지 선전관청에서 작성한 관청일기 || || 규장각 | ||
+ | |- | ||
+ | | 81 || [[장례원일기]](掌禮院日記) || 1895(고종32)~1906년 || 장례원에서 작성한 대한제국기 황실의례 관련 일기 || || 규장각 | ||
+ | |- | ||
+ | | 82 || [[지구관청일기]](知彀官廳日記) || 1874(고종11)~1882년(고종19) || 조선 말기 궁궐수호 관청인 무위소(武衛所)에서 업무를 기록한 일기 || || 규장각 | ||
+ | |- | ||
+ | | 83 || [[축문급두사일기]](祝文及頭辭日記) || 1880(고종17)~1911년 || 1880년(고종 17)부터 1911년까지 제사의 축문과 제문의 두사와 있었던 일 기록 || || 규장각 | ||
+ | |- | ||
+ | | 84 || [[춘방일기]](春坊日記) ||1874(고종11)~1906년 ||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에서 세자(순종)의 30년간의 교육 과정과 동정 기록 || || 규장각 | ||
+ | |- | ||
+ | | 85 || [[춘추일기]](春秋日記) || 1868(고종6)~1902년 || 고종년간(1850~1863) 내의원(內醫院, 약방)에서 업무내용 기록 || || 규장각 | ||
+ | |- | ||
+ | | 86 || [[효모전일기]](孝慕殿日記) || 1892년(고종29) || 신정왕후 국장 과정을 날짜별로 기록한 혼전일기 || || 규장각 | ||
+ | |- | ||
+ | | 87 || [[의주등록속]](儀註謄錄續) || || 계유년 12월부터 임오년 3월까지 행해진 국가의례를 예조에서 정리한 의주 초록 || || 장서각 | ||
+ | |- | ||
+ | | 88 || [[의주등록-1772]](儀註謄錄) || 1740(영조16)~1772년(영조48) || 육상궁 등에서 행해진 각종 국가의례를 예조에서 정리한 의주 초록 || || 장서각 | ||
+ | |- | ||
+ | | 89 || [[의주등록-1897]](儀註謄錄) || 1895(고종32)~1897년(광무1) || 명성황후 국장 관련 의주 초록 || || 장서각 | ||
+ | |- | ||
+ | | 90 ||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 || || || | ||
+ | |- | ||
+ | | 91 ||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 || || || | ||
+ | |- | ||
+ | | 92 || [[비변사등록]](備邊司謄錄) || || || || | ||
+ | |- | ||
+ | | 93 || [[일성록]](日省錄) || || || || | ||
+ | |- | ||
+ | |||
|} | |} | ||
54번째 줄: | 203번째 줄: | ||
! style="width:5%" | No || style="width:20%" |자료명 || style="width:10%" |간행시기 || style="width:40%" |내용 || style="width:15%" |비고 || style="width:10%" |소장처 | ! style="width:5%" | No || style="width:20%" |자료명 || style="width:10%" |간행시기 || style="width:40%" |내용 || style="width:15%" |비고 || style="width:10%" |소장처 | ||
|- | |- | ||
− | | 1 ||공방등록 || 1869년~ || 1869년(고종6) 이후의 | + | | 1 || [[공방등록]] ||1869년~ || 1869년(고종6) 이후의 사복시의 업무 관련 기록 || || 장서각 |
+ | |- | ||
+ | | 2 || [[수부등록]] || 1854년~1867년 || 1854년부터 1867년까지 공조와 그 속아문의 업무 기록 || || 장서각 | ||
+ | |- | ||
+ | | 3 || [[입조록]] || 저술: 1849~1885 || 이재원의 관원생활 일기. 저자는 대원군의 조카로 고종조에 6조의 판서를 역임. 궁중에서 일어난 잡다한 일들을 비롯하여, 관원들의 체직·보임 상황에 이르기까지 그때그때의 사실을 동시대 관원의 안목으로 세밀하게 기록.|| || 장서각 | ||
+ | |- | ||
+ | | 4 || [[이재난고]] || 저술: 1738~1791 || 황윤석이 육조거리 소재 사복시에서의 관직생활 일기 수록 || 사복시 || 장서각 | ||
+ | |- | ||
+ | | 5 || [[숙종기해진연의궤]] || 1719년(숙종45) || 숙종이 59세 되는 해를 기념하여 기로소에 입소한 것을 축하하면서 베푼 진연에 관한 기록 || 기로소 || 규장각 | ||
+ | |- | ||
+ | | 6 || [[갑자진연의궤]] || 1744년(영조20) || 영조가 51세 된 해로서 기로소에 입소한 것을 축하하는 진연을 거행하고 그 전말을 기록한 의궤 || 기로소 || 규장각 | ||
+ | |- | ||
+ | | 7 || [[육전조례]] || 1867년(고종4) || 육조의 각 관아에서 시행하던 규정을 재정비하여 편성 || || 장서각, 규장각 | ||
+ | |- | ||
+ | | 8 || [[의정부등록]] || 1649년(인조27)~1858년(철종9) || 의정부의 소관 업무 기록 || 의정부 || 규장각 | ||
+ | |- | ||
+ | | 9 || [[의조별등록]] || 1695년(숙종21)~1728년(영조4) || 예조의 소관 업무 수행 사실과 관원 동정 기록 || || 규장각 | ||
+ | |- | ||
+ | | 10 || [[별등록]] || 1699년(숙종25)~1753년(영조29) || 예조 전객사의 소관 업무 수행 사실과 관원 동정 기록 || || 규장각 | ||
+ | |- | ||
+ | | 11 || [[의정부고문관용빙계약]] || 1906년(광무10) || 미국인 스티븐스를 고문관으로 초빙하기 위한 조약 || 의정부 || 규장각 | ||
+ | |- | ||
+ | | 12 || [[의정부관원록]] || 1863~1907년 || 조선초 이래 의정부 관원의 인사기록 || 의정부 || 규장각 | ||
+ | |- | ||
+ | | 13 || [[의정부관첩등록]] || 1874(고종11)~1881년(고종18) || 의정부와 의주부 사이에 왕복한 관첩 서류철 || 의정부 || 규장각 | ||
+ | |- | ||
+ | | 14 || [[의정부낭청선생안]] || 1883~1894년 || 의정부 낭청 37명의 명부 || 의정부 || 규장각 | ||
+ | |- | ||
+ | | 15 || [[의정부내거문]] || 1896(건양원)~1905년(광무9) || 외부와 의정부 사이의 왕래 문서철 || 외부 || 규장각 | ||
+ | |- | ||
+ | | 16 || [[의정부내거안]] || 1895(고종32)~1905년(광무9) || 탁지부와 의정부 사이의 왕래 문서철 || 탁지부 사세국 || 규장각 | ||
+ | |- | ||
+ | | 17 || [[의정부당참절목]] || 1866년(고종3) || 당참채 복구 절목 || 의정부 || 규장각 | ||
+ | |- | ||
+ | | 18 || [[의정부령]] || 1894년(고종31) || 의정부령 제1호와 제2호 || 의정부 || 규장각 | ||
+ | |- | ||
+ | | 19 || [[의정부별등록]] || 1649(인조27)~1863년(철종14) || 의정부 소관 업무 중 의례에 관한 사실 중심의 기록 || 의정부 || 규장각 | ||
+ | |- | ||
+ | | 20 || [[의정부봉상상하대회계책]] || 1830년(순조30) || 의정부의 봉상, 상하 내역을 밝힌 회계책 || 의정부 || 규장각 | ||
|- | |- | ||
− | | | + | | 21 || [[의정부약방식례]] || 미상 || 의정부에서 약방의 재정변통을 위해 마련한 식례 || 의정부 || 규장각 |
|- | |- | ||
− | | | + | | 22 || [[의정부일기]] || 1894~1907년 || 의정부 소속 관원의 출근상황과 주요행사, 처리안건 등에 관한 기록 || 의정부 || 규장각 |
|- | |- | ||
− | | | + | | 23 || [[의정부포폄등록]] || 1787(정조11)~1881년(고종18) || 참상관 이하 관원의 근무성적을 평가한 기록 || 의정부 || 규장각 |
|- | |- | ||
− | | | + | | 24 || [[의정부회의안]] || 1905년(광무9) || 각부 인사 청원서와 의결사항을 적은 문서철 || 의정부 || 규장각 |
+ | |- | ||
+ | | 25 || [[의정부회의표제]] || 1896(건양1)~1899년(광무3) || 회의 안건 제목과 각부 의견에 대한 일지 || 의정부 || 규장각 | ||
+ | |- | ||
+ | | 26 || [[의정부윤첩내안]] || 1897~1905년 || 의정부에서 외부에 보낸 윤첩철 || 외부 || 규장각 | ||
+ | |- | ||
+ | | 27 || [[의정부통첩철]] || 1902년(광무6) || 의정부 주사가 각부에 보낸 통첩과 그에 관련된 주본 등을 모아놓은 서류철 || 의정부 || 규장각 | ||
+ | |- | ||
+ | | 28 || [[의정부신축공사관계서류]] || 1907~1910년 || 의정부 관사 신축 관계서류 || 의정부 || 규장각 | ||
|- | |- | ||
− | |||
|} | |} | ||
72번째 줄: | 266번째 줄: | ||
! style="width:5%" | No || style="width:20%" |자료명 || style="width:10%" |간행시기 || style="width:40%" |내용 || style="width:15%" |비고 || style="width:10%" |소장처 | ! style="width:5%" | No || style="width:20%" |자료명 || style="width:10%" |간행시기 || style="width:40%" |내용 || style="width:15%" |비고 || style="width:10%" |소장처 | ||
|- | |- | ||
− | | 1 ||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紀略) | + | | 1 || [[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紀略) || 1679년~1908년 || 왕의 직계 족보인 『선원록』, 왕의 종친들의 족보인 『종친록』, 종친의 여자와 서자들까지 포함한 족보인 『유부록』을 종합하여 왕의 내외 후손 모두 동일하게 6대까지 조사하여 기록한 족보이다. 숙종대인 1679년부터 1908년까지 230년에 걸쳐 작성되었다. || || 장서각 |
|- | |- | ||
− | | 2 ||선원록(璿源錄) || || 조선시대에 왕의 일정한 범위 안에 있는 자손을 수록한 왕실 보첩(譜牒) | + | | 2 || [[선원록]](璿源錄) || || 조선시대에 왕의 일정한 범위 안에 있는 자손을 수록한 왕실 보첩(譜牒) || || 장서각 |
|- | |- | ||
− | | 3 ||종친록(宗親錄) || || 왕의 종친들의 족보 || || 장서각 | + | | 3 || [[종친록]](宗親錄) || || 왕의 종친들의 족보 || || 장서각 |
|- | |- | ||
− | | 4 ||유부록(類附錄) || || 종친의 딸과 서자들의 자손을 기록한 족보 || || 장서각 | + | | 4 || [[유부록]](類附錄) || || 종친의 딸과 서자들의 자손을 기록한 족보 || || 장서각 |
|- | |- | ||
− | | 5 ||종친부조례 || 1870년(고종7) || 종친부의 건치, 고사 등 조례를 모아놓은 책 || || 규장각 | + | | 5 || [[종친부조례]] || 1870년(고종7) || 종친부의 건치, 고사 등 조례를 모아놓은 책 || || 규장각 |
|- | |- | ||
− | | 6 ||종친부예목책(宗親府禮木冊) || 1867년(高宗 4) || 의정부에서 | + | | 6 || [[종친부예목책]](宗親府禮木冊) || 1867년(高宗 4) || 의정부에서 작성한 전국의 지방관이 왕실사무를 관장하는 종친부에 바쳐야하는 禮木을 규정한 책 || || 규장각 |
|- | |- | ||
− | | 7 ||종친부종회절목 || 미상 || 宗會 | + | | 7 || [[종친부종회절목]] || 미상 || 宗會 개최에 필요한 의례절차, 宗會構成 등 제반 儀典에 관한 사항을 마련한 節目 || || 규장각 |
|- | |- | ||
− | | 8 ||종친부파보청등록 || 1864년(고종1) || 선원보를 | + | | 8 || [[종친부파보청등록]] || 1864년(고종1) || 선원보를 수정하면서 各派의 수록대상자가 거주한 각 부목군현에 보낸, 파보단자와 비용을 上送하라는 關文들을 모은 책 || || 규장각 |
|- | |- | ||
− | | 9 ||종친부등록 || 1894년(고종31) || 1756년(英祖 32)부터 1909년(隆熙 3)까지 | + | | 9 || [[종친부등록]] || 1894년(고종31) || 1756년(英祖 32)부터 1909년(隆熙 3)까지 宗親府에 관계되는 모든 사실을 적은 謄錄 || || 규장각 |
|- | |- | ||
− | | 10 || 무진진찬의궤 || 1869년(고종6) || 익종과 | + | | 10 || [[무진진찬의궤]] ||1869년(고종6) || 익종과 신정왕후 조씨의 회갑잔치 || 진찬소를 종친부에 설치 || 규장각 |
|- | |- | ||
− | | 11 ||보인소의궤 || 1877년(고종14) || 고종 10년과 13년 경복궁의 대화재로 소실된 보인(寶印)의 제작 | + | | 11 || [[보인소의궤]] ||1877년(고종14) || 고종 10년과 13년 경복궁의 대화재로 소실된 보인(寶印)의 제작 내용 수록 || || 장서각, 규장각 |
|} | |} | ||
98번째 줄: | 292번째 줄: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 | ! style="width: | + | ! style="width:5%" | No || style="width:20%" |자료명 || style="width:10%" |간행시기 || style="width:40%" |내용 || style="width:15%" |비고 || style="width:10%" |소장처 |
|- | |- | ||
− | | 1 ||상방정례(尙方定例) || 1750년(영조 26) | + | | 1 || [[상방정례]](尙方定例) || 1750년(영조 26) || 상의원에서 국왕을 비롯한 왕실 각 전·궁에 연례로 진배하는 법복과 그 밖의 의대, 장신구 등의 물종을 이정해 놓은 정례서 || || 장서각 |
|- | |- | ||
− | | 2 ||어의대목록(御衣對目錄) || 1933년 || 왕실 의복을 새롭게 제작한 내역을 기록한 목록 || || 장서각 | + | | 2 || [[어의대목록]](御衣對目錄) || 1933년 || 왕실 의복을 새롭게 제작한 내역을 기록한 목록 || || 장서각 |
|- | |- | ||
− | | 3 ||어의대차청구서(御衣襨次請求書) || 1933년 || 이왕직 주전과에서 작성한 御衣襨의 청구서 || || 장서각 | + | | 3 || [[어의대차청구서]](御衣襨次請求書) || 1933년 || 이왕직 주전과에서 작성한 御衣襨의 청구서 || || 장서각 |
|- | |- | ||
− | | 4 ||대전 의복 발기(1893年 大殿 衣服件記) || 1893년 | + | | 4 || [[대전 의복 발기]](1893年 大殿 衣服件記) || 1893년 || 의례 때 착용한 물품(복식 요소)의 목록 || || 장서각 |
|- | |- | ||
− | | 5 ||대전 의복 발기(大殿 衣服件記) || || 1893년 | + | | 5 || [[대전 의복 발기]](大殿 衣服件記) || || 1893년 || 의례 때 착용한 물품(복식 요소)의 목록 || 장서각 |
|- | |- | ||
− | | 6 ||단오 의복 발기(1894年 端午 衣服件記) || 1894년 단오 의복 발기(端午 衣服件記) || 1894년 | + | | 6 || [[단오 의복 발기]](1894年 端午 衣服件記) || 1894년 단오 의복 발기(端午 衣服件記) || 1894년 || 의례 때 착용한 물품(복식 요소)의 목록 || 장서각 |
|- | |- | ||
− | | 7 ||정조 의복 발기(正朝 衣服件記) || 1894년 | + | | 7 || [[정조 의복 발기]](正朝 衣服件記) || 1894년 || 의례 때 착용한 물품(복식 요소)의 목록 || || 장서각 |
|- | |- | ||
− | | 8 ||정조 의대의복 발기(正朝 衣襨衣服件記) || 1904년 | + | | 8 || [[정조 의대의복 발기]](正朝 衣襨衣服件記) || 1904년 || 의례 때 착용한 물품(복식 요소)의 목록 || || 장서각 |
|- | |- | ||
− | | 9 ||대전 의대차 발기(大殿 衣襨次件記) || 1906년 | + | | 9 || [[대전 의대차 발기]](大殿 衣襨次件記) || 1906년 || 의례 때 착용한 물품(복식 요소)의 목록 || || 장서각 |
|- | |- | ||
− | | 10 || 동지 영친왕의복 발기(冬至 英親王衣服件記) || 1906년 | + | | 10 || [[동지 영친왕의복 발기]](冬至 英親王衣服件記) || 1906년 || 의례 때 착용한 물품(복식 요소)의 목록 || || 장서각 |
|} | |} | ||
124번째 줄: | 318번째 줄: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 | ! style="width: | + | ! style="width:5%" | No || style="width:20%" |자료명 || style="width:10%" |간행시기 || style="width:40%" |내용 || style="width:15%" |비고 || style="width:10%" |소장처 |
+ | |- | ||
+ | | 1 || [[사직서의궤]] ||1783(정조7) || 사직단의 시설과 각종 의식의 식례(式例)·의절(儀節) 및 사실(史實) 등을 기록한 의궤. 정조의 명으로 사직단의 운영을 관장하던 사직서에서 편찬. || || 규장각 | ||
+ | |- | ||
+ | | 2 || [[사직서의궤]] || 1842(헌종8) || 정조 때 의궤를 바탕으로 헌종 7년까지 사직서에 관한 전반적인 내용을 수록 || 8종 || 규장각 | ||
+ | |- | ||
+ | | 3 || [[사직종묘문묘제기도감의궤]] || 1605(선조38) || 1604年(宣祖 37) 10月부터 다음해 3月에 걸쳐서 사직, 종묘, 영녕전, 문묘 등의 제기(祭器)를 만든 과정을 기록한 의궤 || || 규장각 | ||
|- | |- | ||
− | | | + | | 4 || [[사직서등록-1718]] || 1661년(현종2)~숙종44년(1718) || 사직제의 설행과 운영 전반에 관한 기록 || || 장서각, 규장각 |
|- | |- | ||
− | | | + | | 5 || [[사직서 등록-1759]] || 1720년(숙종46)~1759년(영조35) || 사직제의 설행과 운영 전반에 관한 기록 || || 장서각, 규장각 |
|- | |- | ||
− | | | + | | 6 || [[사직서 등록-1819]] || 1787년(정조11)~1819년(순조19) || 사직제의 설행과 운영 전반에 관한 기록 || || 장서각, 규장각 |
|- | |- | ||
− | | | + | | 7 || [[제물 등록]] || || 사직단 등에서 올리는 제향의 제물에 대한 기록 || || |
|- | |- | ||
− | | | + | | 8 || [[기우제 등록]] || || 각종 재난 때 행한 제사의 제문 || || |
|- | |- | ||
− | | | + | | 9 || [[위안제문등록]] || || 사직단 등 전궁묘 등에서 변고가 발행했을 때 올리는 제향의 축문 모음집 || || |
|} | |} | ||
− | + | ==왕실 문화 재현 모델 고증 자료== | |
− | ==왕실 문화 재현 고증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left; width:100%; background:white;"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left; width:100%; background:white;" | ||
378번째 줄: | 577번째 줄: | ||
|- | |- | ||
| 23 || [[지]] || Actor || 인물 || 비 || 인성왕후 || 仁聖王后 || 인종 비 || | | 23 || [[지]] || Actor || 인물 || 비 || 인성왕후 || 仁聖王后 || 인종 비 || | ||
+ | |- | ||
+ | | || [[정1품 품계석]] || || || || || || || | ||
+ | |- | ||
+ | | || [[정3품 품계석]] || || || || || || || | ||
+ | |- | ||
+ | | || [[정9품 품계석]] || || || || || || || | ||
+ | |- | ||
+ | | || [[4방신-좌 청룡 석상]] || || || || || || || | ||
+ | |- | ||
+ | | || [[4방신-우 백호 석상]] || || || || || || || | ||
+ | |- | ||
+ | | || [[4방신-남 주작 석상]] || || || || || || || | ||
+ | |- | ||
+ | | || [[4방신-북 현무 석상]] || || || || || || || | ||
+ | |- | ||
+ | | || [[12지신-쥐 석상]] || || || || || || || | ||
+ | |- | ||
+ | | || [[12지신-소 석상]] || || || || || || || | ||
+ | |- | ||
+ | | || [[12지신-호랑이 석상]] || || || || || || || | ||
+ | |- | ||
+ | | || [[12지신-토끼 석상]] || || || || || || || | ||
+ | |- | ||
+ | | || [[12지신-뱀 석상]] || || || || || || || | ||
+ | |- | ||
+ | | || [[12지신-말 석상]] || || || || || || || | ||
+ | |- | ||
+ | | || [[12지신-양 석상]] || || || || || || || | ||
+ | |- | ||
+ | | || [[12지신-원숭이 석상]] || || || || || || || | ||
+ | |- | ||
+ | | || [[12지신-닭 석상]] || || || || || || || | ||
+ | |- | ||
+ | | || [[일월오봉도]] || || || || || || || | ||
+ | |- | ||
+ | | || [[함원전-물확]] || || || || || || || | ||
+ | |- | ||
+ | | || [[국새-조선왕보]] || || || || || || || | ||
+ | |- | ||
+ | | || [[국새-조선국왕지인1]] || || || || || || || | ||
+ | |- | ||
+ | | || [[국새-조선국왕지인2]] || || || || || || || | ||
+ | |- | ||
+ | | || [[국새-조선국왕비지인]] || || || || || || || | ||
+ | |- | ||
+ | | || [[국새-위정이덕]] || || || || || || || | ||
+ | |- | ||
+ | | || [[국새-소신지보]] || || || || || || || | ||
+ | |- | ||
+ | | || [[국새-시명지보]] || || || || || || || | ||
+ | |- | ||
+ | | || [[국새-규장지보]] || || || || || || || | ||
+ | |- | ||
+ | | || [[국새-준철지보]] || || || || || || || | ||
+ | |- | ||
+ | | || [[국새-유서지보]] || || || || || || || | ||
+ | |- | ||
+ | | || [[국새-과거지보]] || || || || || || || | ||
+ | |- | ||
+ | | || [[국새-선사지기]] || || || || || || || | ||
+ | |- | ||
+ | | || [[국새-선황단보]] || || || || || || || | ||
+ | |- | ||
+ | | || [[국새-대조선국보1]] || || || || || || || | ||
+ | |- | ||
+ | | || [[국새-대조선국주상지보]] || || || || || || || | ||
+ | |- | ||
+ | | || [[국새-대조선국대군주보]] || || || || || || || | ||
+ | |- | ||
+ | | || [[국새-대조선대군주보]] || || || || || || || | ||
+ | |- | ||
+ | | || [[국새-대군주보]] || || || || || || || | ||
+ | |- | ||
+ | | || [[국새-대조선국보2]] || || || || || || || | ||
+ | |- | ||
+ | | || [[국새-준명지보]] || || || || || || || | ||
+ | |- | ||
+ | | || [[국새-동문지보]] || || || || || || || | ||
+ | |- | ||
+ | | || [[국새-흠문지보]] || || || || || || || | ||
+ | |- | ||
+ | | || [[국새-명덕지보]] || || || || || || || | ||
+ | |- | ||
+ | | || [[국새-광운지보]] || || || || || || || | ||
+ | |- | ||
+ | | || [[국새-수훈지보]] || || || || || || || | ||
+ | |- | ||
+ | | || [[국새-대한국새]] || || || || || || || | ||
+ | |- | ||
+ | | || [[국새-황제지새]] || || || || || || || | ||
+ | |- | ||
+ | | || [[국새-황제지보]] || || || || || || || | ||
+ | |- | ||
+ | | || [[국새-제고지보]] || || || || || || || | ||
+ | |- | ||
+ | | || [[국새-칙명지보]] || || || || || || || | ||
+ | |- | ||
+ | | || [[국새-흠문지새]] || || || || || || || | ||
+ | |- | ||
+ | | || [[국새-대원수보]] || || || || || || || | ||
+ | |- | ||
+ | | || [[국새-황제어새]] || || || || || || || | ||
|- | |- | ||
|} | |} | ||
− | |||
− |
2020년 12월 23일 (수) 13:38 기준 최신판
목차
시맨틱 그래프
왕실 문화 재현 조사 자료: 고문헌
경복궁
No | 자료명 | 간행시기 | 내용 | 비고 | 소장처 |
---|---|---|---|---|---|
1 | 북궐도형(北闕圖形) | 19세기 말 | 경복궁의 평면 배치도. 대원군이 1865년 경복궁을 중건한 뒤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 | 고궁박물관 | |
2 | 궁궐지(宮闕志) | 17∼18세기(조선 숙종 연간), 19세기(조선 고종 연간) | 조선시대 궁궐의 각 전각의 명칭·위치·연혁을 기록한 사적기 | 장서각, 규장각 | |
3 | 한경지략(漢京識略) | 순조연간 | 조선 후기 서울의 역사와 구조를 유예본(추정)이 정리해놓은 책 | ||
4 | 조선고적도보(朝鮮古跡圖譜) | 1933년 | 조선총독부가 한국의 고적조사사업을 진행하고 그 성과를 사진과 도면으로 간행한 책. | 국립문화재연구소 | |
5 | 경복궁지(景福宮志) | 고종연간 | 경복궁의 연혁 | 규장각 | |
6 | 어제경복궁(御製景福宮) | 1775년(영조51) | 영조가 지은 시 | 장서각 | |
7 | 어제강녕전고실록여침만억(御製康寧殿考實錄予忱萬億) | 1770년(영조46) | 영조가 지은 시 | 장서각 | |
8 | 경복궁창덕궁증건도감의궤 | 1901년 | 경복궁과 창덕궁에 소재한 선원전의 제1실을 증건한 전말을 기록한 의궤 | 태조·숙종·영조·정조·순조·문조·헌종 등 7실에 어진 봉안 | 장서각 |
9 | 명성황후국장도감의궤 | 1905년 | 명성황후 시해 후 2개월 정도 지나 국장을 반포하고 빈전을 경복궁의 태원전, 혼전을 문경전으로 정하였다. 상장례의 진행 중에 아관파천 등으로 지연되다가 1896년 9월에 황후의 시신을 경운궁 경효전으로 옮겼으며 대한제국의 탄생으로 다시 늦추어지다가 1897년 11월에 발인하여 매장되었다. | 염습과 성복까지 진행되다가 후에 경복궁에서 경운궁으로 시신을 옮기기까지의 의례 | 규장각 |
10 | 명성황후빈전혼전도감의궤 | 1905년 | 1896년 9월에 황후의 시신을 경운궁 경효전으로 옮겼으며 대한제국의 탄생으로 다시 늦추어지다가 1897년 11월에 발인하여 매장되었다. | 경운궁으로 시신을 옮긴후 부묘 전까지의 의례 | 규장각 |
11 | 명성황후산릉도감의궤 | 1905년 | 1897년 11월에 발인하여 매장되기까지의 의례 | 규장각 | |
12 | 명성황후발인반차도 | 1905년 | 명성왕후의 상례 발인 반차도. 명성황후국장도감의궤에 실린 반차도와 내용은 같으나 크기가 한층 크다. | 등장인원 2천여 명 | 장서각 |
13 | 보사공신녹훈도감의궤 | 1680년(숙종6) | 허견 등이 복선군을 왕으로 추대하려다가 발각된 반역사건을 제압한 공신들의 녹훈 의궤. | 경복궁 북문 밖의 회맹단에서 회맹제를 지냄 | 국립중앙박물관 (외규장각 의궤) |
14 | 의주등록-1800 | 경복궁 친림 과거시험, 육상궁 등의 전배 등에 관한 의주 기록 | 장서각 | ||
15 | 의화군가례등록 | 1893년(고종30) | 고종의 아들 의화군(귀인장씨 소생) 이강의 관례와 혼례 | 장서각 | |
16 | 이십일공신회맹록 | 1728년(영조4) | 경복궁 신무문 앞에서 회맹 | 장서각 | |
17 | 신정왕후국장도감의궤 | 1892년(고종29) | 익종의 비인 신정왕후의 상례 의궤. 신정왕후가 1890년(고종27) 4월에 승하하자, 경복궁의 태원전을 진전, 문경전을 혼전으로 삼았다. | 발인·부묘반차도와 각종 채색도설이 다른 의궤에 비해 규모가 크다. | 장서각, 규장각 |
18 | 신정왕후빈전혼전도감의궤 | 1892년(고종29) | 익종의 비인 신정왕후의 상례 의궤. 신정왕후가 1890년(고종27) 4월에 승하하자, 경복궁의 태원전을 진전, 문경전을 혼전으로 삼았다. | 발인·부묘반차도와 각종 채색도설이 다른 의궤에 비해 규모가 크다. | 장서각, 규장각 |
19 | 신정왕후산릉도감의궤 | 1892년(고종29) | 익종의 비인 신정왕후의 상례 의궤. 신정왕후가 1890년(고종27) 4월에 승하하자, 경복궁의 태원전을 진전, 문경전을 혼전으로 삼았다. | 발인·부묘반차도와 각종 채색도설이 다른 의궤에 비해 규모가 크다. | 장서각, 규장각 |
20 | 신정왕후상호도감의궤 | 1892년(고종29) | 익종의 비인 신정왕후의 상례 의궤. 신정왕후가 1890년(고종27) 4월에 승하하자, 경복궁의 태원전을 진전, 문경전을 혼전으로 삼았다. | 발인·부묘반차도와 각종 채색도설이 다른 의궤에 비해 규모가 크다. | 장서각, 규장각 |
21 | 신정왕후부묘도감의궤 | 1892년(고종29) | 익종의 비인 신정왕후의 상례 의궤. 신정왕후가 1890년(고종27) 4월에 승하하자, 경복궁의 태원전을 진전, 문경전을 혼전으로 삼았다. | 발인·부묘반차도와 각종 채색도설이 다른 의궤에 비해 규모가 크다. | 장서각, 규장각 |
22 | 자경전진작정례의궤 | 1828년(순조28) | 원손의 탄생을 경하하여 국왕과 왕비에게 존호를 올리고 자경전에서 진작례를 거행한 사실을 기록한 의궤이다. | 연향 참석자, 기물 위치, 악기 배치, 음식재료와 양, 고임 높이, 조화(造花)의 종류와 수량 등 매우 상세한 시각자료 | 장서각 |
23 | 정축진찬의궤 | 1877년(고종14) | 신정왕후 칠순과 철인왕후의 망오에 진찬하는 의례 | 근정전과 통명전에서 거행 | 장서각 |
24 | 정해진찬의궤 | 1887년(고종24) | 신정왕후 80세를 맞아 진찬하는 의례 | 근정전과 만경전에서 거행 | 장서각 |
25 | 임진진찬의궤 | 1892년(고종29) | 고종 보령 41세, 등극 30년을 경축하기 위해 진찬하는 의례 | 근정전과 강녕전에서 거행 | 장서각 |
26 | 진연의궤 | 1902년 | 고종이 영조의 예에 따라 망육(望六)에 기로소에 입소한 것을 축하하기 위해 함녕전에서 설행한 외진연과 이후 이어진 내진연, 야진연, 황태자 회작(會酌)과 야연(夜讌) 등에 대한 기록이다. | 반차도, 정재도, 악기도, 의장도, 복식도 등이 자세하며, 찬품과 채화, 기용 등의 항목도 수록. | 규장각 |
27 | 강녕전익일왕세자야연홀기 | 1868년(고종5) | 신정왕후 회갑 익일의 야연 홀기 | 장서각 | |
28 | 별고물종봉상(別庫物種捧上) | 1875(고종12) | 고종2년에 중건된 의정부에 고종이 친림한 사실에 대한 기록 | 규장각 | |
29 | 친림정부시의궤 | 고종2년 | 고종2년에 중건된 의정부에 고종이 친림한 사실에 대한 기록 | 규장각 | |
30 | 친잠의궤 | 1767년(영조43) | 영조 43년에 정순왕후가 경복궁의 후원에서 선잠제와 친잠례를 거행한 사실을 기록하였다. | 제단도, 진설도, 채상단도, 각종 잠구(蠶具)의 도해, 제기도 등이 자세하다. | 장서각, 규장각 |
31 | 태조원종이모도감의궤 | 1872년(고종9) | 개국 8주갑 기념으로 태조와 원종의 어진을 모사하는 작업 거행 | 경복궁 태원전에서 이모 | 장서각, 규장각 |
32 | 환어경복궁시중궁전출궁의(還御景福宮時中宮殿出宮儀) | 미상 | 왕이 경복궁으로 돌아올 때 왕비가 나가서 맞이하는 의식을 정리한 책 | 규장각 | |
33 | 현종영조상호도감의궤 | 1772년(영조 48) | 현종, 영조에게 존호나 시호를 올리는 의례 | 기로소, 종친부에서 진찬 | 장서각, 규장각 |
34 | 임진상호도감의궤 | 1892년(고종 29) | 익종·신정왕후·효정왕후·철인왕후·고종·명성왕후 등에게 존호를 올리는 의례 | 경복궁 근정전에서 거행 | 장서각, 규장각 |
35 | 숙종인경왕후인현왕후인원왕후상호도감의궤 | 1890년(고종 27) | 숙종·인경왕후·인현왕후·인원왕후 등에게 존호나 시호를 올리는 의례 | 경복궁 근정전에서 거행 | 장서각, 규장각 |
36 | 고종신정왕후효정왕후명성황후상호도감의궤 | 1890년(고종27) | 고종·신정왕후·효정왕후·명성왕후 등에게 존호를 올리는 의례 | 경복궁 근정전에서 거행 | 장서각, 규장각 |
37 | 신정왕후효정왕후고종명성황후상호도감의궤 | 1888년(고종 25) | 고종 즉위 25주년을 맞아 고종·신정왕후·효정왕후·명성왕후 등에게 존호를 올리는 의례 | 경복궁 근정전과 흥복전에서 거행 | 장서각, 규장각 |
38 | 신정왕후상호도감의궤 | 1888년(고종 25) | 신정왕후 81세를 맞아 신정왕후에게 존호를 올리는 의례 | 경복궁 근정전에서 거행 | 장서각, 규장각 |
39 | 익종신정왕후상호도감의궤 | 1875년(고종 12) | 익종 세실 지정을 경축하면서 익종·신정왕후에게 존호를 올리는 의례 | 경복궁 근정전과 종묘에서 거행 | 장서각, 규장각 |
40 | 신정왕후효정왕후철인왕후고종명성황후상호도감의궤 | 1872년(고종 9) | 고종의 9년간의 공적을 기려 존호를 올리는 의례 | 경복궁 근정전과 강녕전에서 거행 | 장서각, 규장각 |
41 | 신정왕후가상존호옥책문-1883(神貞王后加上尊號玉冊文) | 1883년(고종20) | 신정왕후 존호 옥책문의 탁본 | 장서각 | |
42 | 신정왕후가상존호옥책문-1886(神貞王后加上尊號玉冊文) | 1886년(고종23) | 신정왕후 존호 옥책문의 탁본 | 장서각 | |
43 | 신정왕후가상존호옥책문-1888_1(神貞王后加上尊號玉冊文) | 1888년(고종25) | 신정왕후 존호 옥책문의 탁본 | 장서각 | |
44 | 신정왕후가상존호옥책문-1888_2(神貞王后加上尊號玉冊文) | 1888년(고종25) | 신정왕후 존호 옥책문의 탁본 | 장서각 | |
45 | 신정왕후가상존호옥책문-1890(神貞王后加上尊號玉冊文) | 1890년(고종27) | 신정왕후 존호 옥책문의 탁본 | 장서각 | |
46 | 신정왕후가상존호옥책문-1848(神貞王后加上尊號玉冊文) | 1848년(헌종14) | 신정왕후 존호 옥책문의 탁본 | 장서각 | |
47 | 신정왕후가상존호옥책문-1859(神貞王后加上尊號玉冊文) | 1859년(철종10) | 신정왕후 존호 옥책문의 탁본 | 장서각 | |
48 | 신정왕후가상존호옥책문-1853(神貞王后加上尊號玉冊文) | 1853년(철종4) | 신정왕후 존호 옥책문의 탁본 | 장서각 | |
49 | 신정왕후가상존호옥책문-1877(神貞王后加上尊號玉冊文) | 1877년(고종14) | 신정왕후 존호 옥책문의 탁본 | 장서각 | |
50 | 신정왕후가상존호옥책문-1863(神貞王后加上尊號玉冊文) | 1863년(철종14) | 신정왕후 존호 옥책문의 탁본 | 장서각 | |
51 | 신정왕후가상존호옥책문-1879_1(神貞王后加上尊號玉冊文) | 1879년(고종16) | 신정왕후 존호 옥책문의 탁본 | 장서각 | |
52 | 신정왕후가상존호옥책문-1879_2(神貞王后加上尊號玉冊文) | 1879년(고종16) | 신정왕후 존호 옥책문의 탁본 | 장서각 | |
53 | 신정왕후만장(神貞王后輓章) | 1890년(고종27) | 신정왕후 국장 때 신하들이 지은 만장 필사본 | 장서각 | |
54 | 신정왕후상시옥책문(神貞王后上諡玉冊文) | 1890년(고종27) | 신정왕후 존호와 시호 옥책문의 탁본 | 장서각 | |
55 | 신정왕후상존호옥책문(神貞王后上尊號玉冊文) | 1837년(헌종3) | 신정왕후 존호 옥책문의 탁본 | 장서각 | |
56 | 신정왕후추상존호옥책문-1902(神貞王后追上尊號玉冊文) | 1902년(광무6) | 신정왕후 존호와 시호 옥책문의 탁본 | 장서각 | |
57 | 신정왕후추상존호옥책문-1892(神貞王后追上尊號玉冊文) | 1892년(고종29) | 신정왕후 존호와 시호 옥책문의 탁본 | 장서각 | |
58 | 신정왕후행장초(神貞王后行狀草) | 신정왕후 사후에 지은 일대기 | 장서각 | ||
59 X | 계유진작의궤-김지영 선생님 작성 | 1872년(고종 9) | 고종과 왕비, 대비에게 존호를 올리고 진작하는 의례 | 경복궁 강녕전에서 거행 | 장서각, 규장각 |
60 | 영조묘호도감의궤 | 1890년(고종 27) | 영조의 묘호를 개상하면서 영조와 그의 비에게 존호를 올리는 의례 | 경복궁 근정전에서 거행 | 장서각, 규장각 |
61 | 경복궁창덕궁내상량문 | 경복궁과 창덕궁 내 각 건물의 상량문 필사본 | 국립중앙도서관 | ||
62 | 경복궁갱재첩 | 경복궁을 소재로 지은 시문첩 | 국립중앙도서관 | ||
63 | 영건일감(營建日鑑) | 경복궁 영건 기록 | 토지주택박물관 | ||
64 | 경복궁영건일기(景福宮營建日記) | 경복궁 영건 기록 | 서울대중앙도서관 | ||
65 | 경복궁중건상량문(景福宮重建上樑文) | 경복궁 중건 때의 각 건물 상량문 필사본 | 고려대학교도서관 | ||
66 | 경복궁영건개성부원납성책(景福宮營建開城府願納成冊) | 경복궁 중건 때 개성부의 원납전 모금 현황 기록 | 성암고서박물관자료실 | ||
67 | 명성황후국휼등록(明成皇后國恤謄錄) | 명성황후의 상장례에 관한 사실을 예조에서 날짜순으로 정리해놓은 등록이다. | 장서각 | ||
68 | 의주등록-1780(儀註謄錄) | 정조2년(1778)~정조4년 | 사직, 종묘, 경모궁 등에서 행해진 국가의례 의주 기록 | 장서각 | |
69 | 의주등록속-1872(儀註謄錄續) | 1801년부터 1872년까지 국가에서 행한 국가의례를 예조에서 모아 정리한 등록 | 장서각 | ||
70 | 의주등록속-1894(儀註謄錄續) | 1873년부터 1894년까지 국가에서 행한 국가의례를 예조에서 모아 정리한 등록 | 장서각 | ||
71 | 의주등록-1910(儀註謄錄) | 1895년부터 1910년까지 국가에서 행한 의례 초록 | 장서각 | ||
72 | 공사청일기(公事廳日記) | 1894~1897년(광무1), 1901년(광무5) | 내시들이 소속되어 있던 공사청에서 편찬한 관청일기 | 규장각 | |
73 | 궁내부을미일록(宮內府乙未日錄) | 1895년(고종32) | 1895년(고종 32) 1월 1일부터 7월 30일까지 경복궁에서의 임금과 신하들의 정무 기록 | 규장각 | |
74 | 궁내부일기(宮內府日記) | 1894(고종31)~1895년 | 1894년(고종 31) 11월 1일부터 1895년(고종 32) 3월 30일까지 궁내부에서 고종의 일과 기록 | 규장각 | |
75 | 동궁일록(東宮日錄) | 1874(고종12)~1907년(융희1) | 탄생부터 즉위까지 동궁으로 있던 순종과 관련된 모든 사항 기록 | 규장각 | |
76 | 비서감일기(秘書監日記) | 1895(고종32)~1907년 | 비서감에서 1895년 이후 대한제국시기까지 임금의 정무 및 일과 기록 | 규장각 | |
77 | 비서원일기(秘書院日記) | 1895(고종32)~1907년 | 비서원에서 1895년 이후 대한제국시기까지 임금의 정무 및 일과 기록 | 규장각 | |
78 | 석운일기(石雲日記) | 1872~1895년 | 고종 때의 문신 박기양(朴箕陽)이 관직에 진출하여 내직에 근무할 때의 일 등 기록 | 규장각 | |
79 | 석운종환록(石雲從宦錄) | 1883(고종20)~1894년(고종31) | 박기양이 내직에 근무하며 기록한 일기 | 규장각 | |
80 | 선전관청일기(宣傳官廳日記) | 1864(고종원)~1893년(고종30) | 고종년간인 1864년에서 1983년까지 선전관청에서 작성한 관청일기 | 규장각 | |
81 | 장례원일기(掌禮院日記) | 1895(고종32)~1906년 | 장례원에서 작성한 대한제국기 황실의례 관련 일기 | 규장각 | |
82 | 지구관청일기(知彀官廳日記) | 1874(고종11)~1882년(고종19) | 조선 말기 궁궐수호 관청인 무위소(武衛所)에서 업무를 기록한 일기 | 규장각 | |
83 | 축문급두사일기(祝文及頭辭日記) | 1880(고종17)~1911년 | 1880년(고종 17)부터 1911년까지 제사의 축문과 제문의 두사와 있었던 일 기록 | 규장각 | |
84 | 춘방일기(春坊日記) | 1874(고종11)~1906년 |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에서 세자(순종)의 30년간의 교육 과정과 동정 기록 | 규장각 | |
85 | 춘추일기(春秋日記) | 1868(고종6)~1902년 | 고종년간(1850~1863) 내의원(內醫院, 약방)에서 업무내용 기록 | 규장각 | |
86 | 효모전일기(孝慕殿日記) | 1892년(고종29) | 신정왕후 국장 과정을 날짜별로 기록한 혼전일기 | 규장각 | |
87 | 의주등록속(儀註謄錄續) | 계유년 12월부터 임오년 3월까지 행해진 국가의례를 예조에서 정리한 의주 초록 | 장서각 | ||
88 | 의주등록-1772(儀註謄錄) | 1740(영조16)~1772년(영조48) | 육상궁 등에서 행해진 각종 국가의례를 예조에서 정리한 의주 초록 | 장서각 | |
89 | 의주등록-1897(儀註謄錄) | 1895(고종32)~1897년(광무1) | 명성황후 국장 관련 의주 초록 | 장서각 | |
90 |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 ||||
91 |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 ||||
92 | 비변사등록(備邊司謄錄) | ||||
93 | 일성록(日省錄) |
육조거리
No | 자료명 | 간행시기 | 내용 | 비고 | 소장처 |
---|---|---|---|---|---|
1 | 공방등록 | 1869년~ | 1869년(고종6) 이후의 사복시의 업무 관련 기록 | 장서각 | |
2 | 수부등록 | 1854년~1867년 | 1854년부터 1867년까지 공조와 그 속아문의 업무 기록 | 장서각 | |
3 | 입조록 | 저술: 1849~1885 | 이재원의 관원생활 일기. 저자는 대원군의 조카로 고종조에 6조의 판서를 역임. 궁중에서 일어난 잡다한 일들을 비롯하여, 관원들의 체직·보임 상황에 이르기까지 그때그때의 사실을 동시대 관원의 안목으로 세밀하게 기록. | 장서각 | |
4 | 이재난고 | 저술: 1738~1791 | 황윤석이 육조거리 소재 사복시에서의 관직생활 일기 수록 | 사복시 | 장서각 |
5 | 숙종기해진연의궤 | 1719년(숙종45) | 숙종이 59세 되는 해를 기념하여 기로소에 입소한 것을 축하하면서 베푼 진연에 관한 기록 | 기로소 | 규장각 |
6 | 갑자진연의궤 | 1744년(영조20) | 영조가 51세 된 해로서 기로소에 입소한 것을 축하하는 진연을 거행하고 그 전말을 기록한 의궤 | 기로소 | 규장각 |
7 | 육전조례 | 1867년(고종4) | 육조의 각 관아에서 시행하던 규정을 재정비하여 편성 | 장서각, 규장각 | |
8 | 의정부등록 | 1649년(인조27)~1858년(철종9) | 의정부의 소관 업무 기록 | 의정부 | 규장각 |
9 | 의조별등록 | 1695년(숙종21)~1728년(영조4) | 예조의 소관 업무 수행 사실과 관원 동정 기록 | 규장각 | |
10 | 별등록 | 1699년(숙종25)~1753년(영조29) | 예조 전객사의 소관 업무 수행 사실과 관원 동정 기록 | 규장각 | |
11 | 의정부고문관용빙계약 | 1906년(광무10) | 미국인 스티븐스를 고문관으로 초빙하기 위한 조약 | 의정부 | 규장각 |
12 | 의정부관원록 | 1863~1907년 | 조선초 이래 의정부 관원의 인사기록 | 의정부 | 규장각 |
13 | 의정부관첩등록 | 1874(고종11)~1881년(고종18) | 의정부와 의주부 사이에 왕복한 관첩 서류철 | 의정부 | 규장각 |
14 | 의정부낭청선생안 | 1883~1894년 | 의정부 낭청 37명의 명부 | 의정부 | 규장각 |
15 | 의정부내거문 | 1896(건양원)~1905년(광무9) | 외부와 의정부 사이의 왕래 문서철 | 외부 | 규장각 |
16 | 의정부내거안 | 1895(고종32)~1905년(광무9) | 탁지부와 의정부 사이의 왕래 문서철 | 탁지부 사세국 | 규장각 |
17 | 의정부당참절목 | 1866년(고종3) | 당참채 복구 절목 | 의정부 | 규장각 |
18 | 의정부령 | 1894년(고종31) | 의정부령 제1호와 제2호 | 의정부 | 규장각 |
19 | 의정부별등록 | 1649(인조27)~1863년(철종14) | 의정부 소관 업무 중 의례에 관한 사실 중심의 기록 | 의정부 | 규장각 |
20 | 의정부봉상상하대회계책 | 1830년(순조30) | 의정부의 봉상, 상하 내역을 밝힌 회계책 | 의정부 | 규장각 |
21 | 의정부약방식례 | 미상 | 의정부에서 약방의 재정변통을 위해 마련한 식례 | 의정부 | 규장각 |
22 | 의정부일기 | 1894~1907년 | 의정부 소속 관원의 출근상황과 주요행사, 처리안건 등에 관한 기록 | 의정부 | 규장각 |
23 | 의정부포폄등록 | 1787(정조11)~1881년(고종18) | 참상관 이하 관원의 근무성적을 평가한 기록 | 의정부 | 규장각 |
24 | 의정부회의안 | 1905년(광무9) | 각부 인사 청원서와 의결사항을 적은 문서철 | 의정부 | 규장각 |
25 | 의정부회의표제 | 1896(건양1)~1899년(광무3) | 회의 안건 제목과 각부 의견에 대한 일지 | 의정부 | 규장각 |
26 | 의정부윤첩내안 | 1897~1905년 | 의정부에서 외부에 보낸 윤첩철 | 외부 | 규장각 |
27 | 의정부통첩철 | 1902년(광무6) | 의정부 주사가 각부에 보낸 통첩과 그에 관련된 주본 등을 모아놓은 서류철 | 의정부 | 규장각 |
28 | 의정부신축공사관계서류 | 1907~1910년 | 의정부 관사 신축 관계서류 | 의정부 | 규장각 |
종친부
No | 자료명 | 간행시기 | 내용 | 비고 | 소장처 |
---|---|---|---|---|---|
1 | 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紀略) | 1679년~1908년 | 왕의 직계 족보인 『선원록』, 왕의 종친들의 족보인 『종친록』, 종친의 여자와 서자들까지 포함한 족보인 『유부록』을 종합하여 왕의 내외 후손 모두 동일하게 6대까지 조사하여 기록한 족보이다. 숙종대인 1679년부터 1908년까지 230년에 걸쳐 작성되었다. | 장서각 | |
2 | 선원록(璿源錄) | 조선시대에 왕의 일정한 범위 안에 있는 자손을 수록한 왕실 보첩(譜牒) | 장서각 | ||
3 | 종친록(宗親錄) | 왕의 종친들의 족보 | 장서각 | ||
4 | 유부록(類附錄) | 종친의 딸과 서자들의 자손을 기록한 족보 | 장서각 | ||
5 | 종친부조례 | 1870년(고종7) | 종친부의 건치, 고사 등 조례를 모아놓은 책 | 규장각 | |
6 | 종친부예목책(宗親府禮木冊) | 1867년(高宗 4) | 의정부에서 작성한 전국의 지방관이 왕실사무를 관장하는 종친부에 바쳐야하는 禮木을 규정한 책 | 규장각 | |
7 | 종친부종회절목 | 미상 | 宗會 개최에 필요한 의례절차, 宗會構成 등 제반 儀典에 관한 사항을 마련한 節目 | 규장각 | |
8 | 종친부파보청등록 | 1864년(고종1) | 선원보를 수정하면서 各派의 수록대상자가 거주한 각 부목군현에 보낸, 파보단자와 비용을 上送하라는 關文들을 모은 책 | 규장각 | |
9 | 종친부등록 | 1894년(고종31) | 1756년(英祖 32)부터 1909년(隆熙 3)까지 宗親府에 관계되는 모든 사실을 적은 謄錄 | 규장각 | |
10 | 무진진찬의궤 | 1869년(고종6) | 익종과 신정왕후 조씨의 회갑잔치 | 진찬소를 종친부에 설치 | 규장각 |
11 | 보인소의궤 | 1877년(고종14) | 고종 10년과 13년 경복궁의 대화재로 소실된 보인(寶印)의 제작 내용 수록 | 장서각, 규장각 |
종친부: 왕과 왕비의 의복 관련 자료
No | 자료명 | 간행시기 | 내용 | 비고 | 소장처 |
---|---|---|---|---|---|
1 | 상방정례(尙方定例) | 1750년(영조 26) | 상의원에서 국왕을 비롯한 왕실 각 전·궁에 연례로 진배하는 법복과 그 밖의 의대, 장신구 등의 물종을 이정해 놓은 정례서 | 장서각 | |
2 | 어의대목록(御衣對目錄) | 1933년 | 왕실 의복을 새롭게 제작한 내역을 기록한 목록 | 장서각 | |
3 | 어의대차청구서(御衣襨次請求書) | 1933년 | 이왕직 주전과에서 작성한 御衣襨의 청구서 | 장서각 | |
4 | 대전 의복 발기(1893年 大殿 衣服件記) | 1893년 | 의례 때 착용한 물품(복식 요소)의 목록 | 장서각 | |
5 | 대전 의복 발기(大殿 衣服件記) | 1893년 | 의례 때 착용한 물품(복식 요소)의 목록 | 장서각 | |
6 | 단오 의복 발기(1894年 端午 衣服件記) | 1894년 단오 의복 발기(端午 衣服件記) | 1894년 | 의례 때 착용한 물품(복식 요소)의 목록 | 장서각 |
7 | 정조 의복 발기(正朝 衣服件記) | 1894년 | 의례 때 착용한 물품(복식 요소)의 목록 | 장서각 | |
8 | 정조 의대의복 발기(正朝 衣襨衣服件記) | 1904년 | 의례 때 착용한 물품(복식 요소)의 목록 | 장서각 | |
9 | 대전 의대차 발기(大殿 衣襨次件記) | 1906년 | 의례 때 착용한 물품(복식 요소)의 목록 | 장서각 | |
10 | 동지 영친왕의복 발기(冬至 英親王衣服件記) | 1906년 | 의례 때 착용한 물품(복식 요소)의 목록 | 장서각 |
사직단
No | 자료명 | 간행시기 | 내용 | 비고 | 소장처 |
---|---|---|---|---|---|
1 | 사직서의궤 | 1783(정조7) | 사직단의 시설과 각종 의식의 식례(式例)·의절(儀節) 및 사실(史實) 등을 기록한 의궤. 정조의 명으로 사직단의 운영을 관장하던 사직서에서 편찬. | 규장각 | |
2 | 사직서의궤 | 1842(헌종8) | 정조 때 의궤를 바탕으로 헌종 7년까지 사직서에 관한 전반적인 내용을 수록 | 8종 | 규장각 |
3 | 사직종묘문묘제기도감의궤 | 1605(선조38) | 1604年(宣祖 37) 10月부터 다음해 3月에 걸쳐서 사직, 종묘, 영녕전, 문묘 등의 제기(祭器)를 만든 과정을 기록한 의궤 | 규장각 | |
4 | 사직서등록-1718 | 1661년(현종2)~숙종44년(1718) | 사직제의 설행과 운영 전반에 관한 기록 | 장서각, 규장각 | |
5 | 사직서 등록-1759 | 1720년(숙종46)~1759년(영조35) | 사직제의 설행과 운영 전반에 관한 기록 | 장서각, 규장각 | |
6 | 사직서 등록-1819 | 1787년(정조11)~1819년(순조19) | 사직제의 설행과 운영 전반에 관한 기록 | 장서각, 규장각 | |
7 | 제물 등록 | 사직단 등에서 올리는 제향의 제물에 대한 기록 | |||
8 | 기우제 등록 | 각종 재난 때 행한 제사의 제문 | |||
9 | 위안제문등록 | 사직단 등 전궁묘 등에서 변고가 발행했을 때 올리는 제향의 축문 모음집 |
왕실 문화 재현 모델 고증 자료
no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ja | note | progress |
---|---|---|---|---|---|---|---|---|
1 | 왕세자관례 | 행사 | 의례 | 관례 | 왕세자관례 | 王世子冠禮 | 성인식 | |
2 | 임헌명빈찬도 | 행사 | 의례 | 관례 | 임헌명빈찬도 | 臨軒命賓贊圖 | 성인식 1 | |
3 | 세자수궁관급집사배도 | 행사 | 의례 | 관례 | 세자수궁관급집사배도 | 世子受宮官及執事拜圖 | 성인식 2 | |
4 | 세자여이품이상배례도 | 행사 | 의례 | 관례 | 세자여이품이상배례도 | 世子與二品以上拜禮圖 | 성인식 3 | |
5 | 세자수삼품이하배도 | 행사 | 의례 | 관례 | 세자수삼품이하배도 | 世子受三品以下拜圖 | 성인식 4 | |
6 | 세자강계배사부빈객답배도 | 행사 | 의례 | 관례 | 세자강계배사부빈객답배도 | 世子降階拜師傅賓客答拜圖 | 성인식 5 | |
7 | 세자여주인배례도 | 행사 | 의례 | 관례 | 세자여주인배례도 | 世子與主人拜禮圖 | 성인식 6 | |
8 | 세자수교도 | 행사 | 의례 | 관례 | 세자수교도 | 世子受敎圖 | 성인식 7 | |
9 | 세자승계입동서도 | 행사 | 의례 | 관례 | 세자승계입동서도 | 世子升階入東序圖 | 성인식 8 | |
10 | 삼가도 | 행사 | 의례 | 관례 | 삼가도 | 三加圖 | 성인식 9 | |
11 | 세자예례도 | 행사 | 의례 | 관례 | 세자예례도 | 世子醴禮圖 | 성인식 10 | |
12 | 빈자지도 | 행사 | 의례 | 관례 | 빈자지도 | 賓字之圖 | 성인식 11 | |
13 | 조알의도 | 행사 | 의례 | 관례 | 조알의도 | 朝謁儀圖 | 성인식 12 | |
14 | 회빈객의도 | 행사 | 의례 | 관례 | 회빈객의도 | 會賓客儀圖 | 성인식 13 | |
15 | 세자성균관입학례 | 행사 | 의례 | 성균관입학 | 세자성균관입학례 | 世子成均館入學禮 | 학교입학식 | |
16 | 출궁도 | 행사 | 의례 | 성균관입학 | 출궁도 | 出宮圖 | 학교입학식 1 | |
17 | 작헌도 | 행사 | 의례 | 성균관입학 | 작헌도 | 酌獻圖 | 학교입학식 2 | |
18 | 왕복도 | 행사 | 의례 | 성균관입학 | 왕복도 | 往復圖 | 학교입학식 3 | |
19 | 수폐도 | 행사 | 의례 | 성균관입학 | 수폐도 | 脩幣圖 | 학교입학식 4 | |
20 | 입학도 | 행사 | 의례 | 성균관입학 | 입학도 | 入學圖 | 학교입학식 5 | |
21 | 수하도 | 행사 | 의례 | 성균관입학 | 수하도 | 受賀圖 | 학교입학식 6 | |
22 | 광화문의 종과 북 | Actor | 인물 | 비 | 문정왕후 | 文定王后 | 중종 비 3 | |
23 | 자격루 | Actor | 인물 | 비 | 인성왕후 | 仁聖王后 | 인종 비 | |
24 | 일성정시의 | Actor | 인물 | 비 | 인순왕후 | 仁順王后 | 명종 비 | |
25 | 왕세자부신 | Actor | 인물 | 비 | 의인왕후 | 懿仁王后 | 선조 비 1 | |
26 | 통부 | Actor | 인물 | 비 | 인목왕후 | 仁穆王后 | 선조 비 2 | |
27 | 세손이 쓴 암구호 | Actor | 인물 | 비 | 광해군 처 문화 유씨 | 文化柳氏 | 광해군 비 | |
28 | 물금첩 | Actor | 인물 | 추존비 | 인헌왕후 | 仁獻王后 | 원종 비 | |
29 | 광화문의 코끼리 | Actor | 인물 | 비 | 인렬왕후 | 仁烈王后 | 인조 비 1 | |
30 | 세종이 탄 로 | Actor | 인물 | 비 | 장렬왕후 | 莊烈王后 | 인조 비 2 | |
31 | 광화문 앞 해태상 | Actor | 인물 | 비 | 인선왕후 | 仁宣王后 | 효종 비 | |
32 | 해태상에 올라 노는 아이들 | Actor | 인물 | 비 | 명성왕후 | 明聖王后 | 현종 비 | |
33 | 광화문 월대 | Actor | 인물 | 비 | 인경왕후 | 仁敬王后 | 숙종 비 1 | |
34 | 국왕의 탈 것 | Actor | 인물 | 비 | 인현왕후 | 仁顯王后 | 숙종 비 2 | |
35 | 연 | Actor | 인물 | 비 | 인원왕후 | 仁元王后 | 숙종 비 3 | |
36 | 여 | Actor | 인물 | 비 | 단의왕후 | 端懿王后 | 경종 비 1 | |
37 | 영추문 앞에 대기해 있는 탈 것들 | Actor | 인물 | 비 | 선의왕후 | 宣懿王后 | 경종 비 2 | |
23 | 초헌 | Actor | 인물 | 비 | 인성왕후 | 仁聖王后 | 인종 비 | |
23 | 轎子 | Actor | 인물 | 비 | 인성왕후 | 仁聖王后 | 인종 비 | |
38 | 관원들의 교통수단 | Actor | 인물 | 비 | 정성왕후 | 貞聖王后 | 영조 비 1 | |
39 | 궁궐 지붕의 조형물 | Actor | 인물 | 비 | 정순왕후 | 貞純王后 | 영조 비 2 | |
40 | 추녀마루의 잡상 | Actor | 인물 | 추존비 | 효순왕후 | 孝純王后 | 진종 비 | |
41 | 용마루의 용두, 치미 | Actor | 인물 | 추존비 | 헌경왕후 | 獻敬王后 | 장조 비, 혜경궁 홍씨,혜빈 | |
42 | 내림마루의 취두 | Actor | 인물 | 비 | 효의왕후 | 孝懿王后 | 정조 비 | |
43 | 궁궐의 지붕형태 | Actor | 인물 | 비 | 순원왕후 | 純元王后 | 순조 비 | |
44 | 궁궐의 기와들 | Actor | 인물 | 추존비 | 신정왕후 | 神貞王后 | 익종 비 | |
45 | 아미산 | Actor | 인물 | 비 | 효현왕후 | 孝顯王后 | 헌종 비 1 | |
46 | 아미산 굴뚝 | Actor | 인물 | 비 | 효정왕후 | 孝定王后 | 헌종 비 2 | |
47 | 자경전과 교태전 담장 장식 | Actor | 인물 | 비 | 철인왕후 | 哲仁王后 | 철종 비 | |
48 | 자경전 십장생 굴뚝 | Actor | 인물 | 비 | 명성황후 | 明成皇后 | 고종 비 | |
49 | 근정전 월대의 동물상 | Actor | 인물 | 비 | 순명효황후 | 純明孝皇后 | 순종 비 1 | |
50 | 근정전 월대의 답도 | Actor | 인물 | 비 | 순정효황후 | 純貞孝皇后 | 순종 비 2 | |
51 | 경복궁 친림 과거시험 | 행사 | 의례 | 관례 | 왕세자관례 | 王世子冠禮 | 성인식 | |
52 | 무과시험 | 행사 | 의례 | 관례 | 임헌명빈찬도 | 臨軒命賓贊圖 | 성인식 1 | |
53 | 단종 가례 때의 삼간택 | 행사 | 의례 | 관례 | 세자수궁관급집사배도 | 世子受宮官及執事拜圖 | 성인식 2 | |
54 | 숙종과 영조 기로소 입소 | 행사 | 의례 | 관례 | 세자여이품이상배례도 | 世子與二品以上拜禮圖 | 성인식 3 | |
54 | 기로소 연회 | 행사 | 의례 | 관례 | 세자여이품이상배례도 | 世子與二品以上拜禮圖 | 성인식 3 | |
55 | 국왕의 궤장 | 행사 | 의례 | 관례 | 세자수삼품이하배도 | 世子受三品以下拜圖 | 성인식 4 | |
56 | 신하의 궤장 | 행사 | 의례 | 관례 | 세자강계배사부빈객답배도 | 世子降階拜師傅賓客答拜圖 | 성인식 5 | |
57 | 경복궁 선잠제 | 행사 | 의례 | 관례 | 세자여주인배례도 | 世子與主人拜禮圖 | 성인식 6 | |
58 | 경복궁 친잠제 | 행사 | 의례 | 관례 | 세자수교도 | 世子受敎圖 | 성인식 7 | |
59 | 명성황후 국휼 | 행사 | 의례 | 관례 | 세자승계입동서도 | 世子升階入東序圖 | 성인식 8 | |
60 | 빈전과 혼전으로 사용된 태원전 | 행사 | 의례 | 관례 | 삼가도 | 三加圖 | 성인식 9 | |
61 | 혼전으로 사용된 문정전 | 행사 | 의례 | 관례 | 세자예례도 | 世子醴禮圖 | 성인식 10 | |
62 | 근정전에서의 상호의례 | 행사 | 의례 | 관례 | 빈자지도 | 賓字之圖 | 성인식 11 | |
13 | 국왕의 어보 | 행사 | 의례 | 관례 | 조알의도 | 朝謁儀圖 | 성인식 12 | |
14 | 왕비의 어보 | 행사 | 의례 | 관례 | 회빈객의도 | 會賓客儀圖 | 성인식 13 | |
15 | 왕세자의 어보 | 행사 | 의례 | 성균관입학 | 세자성균관입학례 | 世子成均館入學禮 | 학교입학식 | |
16 | 왕세자빈의 어보 | 행사 | 의례 | 성균관입학 | 출궁도 | 出宮圖 | 학교입학식 1 | |
17 | 국왕의 옥책 | 행사 | 의례 | 성균관입학 | 작헌도 | 酌獻圖 | 학교입학식 2 | |
18 | 왕비의 옥책 | 행사 | 의례 | 성균관입학 | 왕복도 | 往復圖 | 학교입학식 3 | |
19 | 왕세자의 죽책 | 행사 | 의례 | 성균관입학 | 수폐도 | 脩幣圖 | 학교입학식 4 | |
20 | 왕세자빈의 죽책 | 행사 | 의례 | 성균관입학 | 입학도 | 入學圖 | 학교입학식 5 | |
21 | 경복궁 선원전 | 행사 | 의례 | 성균관입학 | 수하도 | 受賀圖 | 학교입학식 6 | |
22 | 어진 | Actor | 인물 | 비 | 문정왕후 | 文定王后 | 중종 비 3 | |
23 | 어진 봉안의례 | Actor | 인물 | 비 | 인성왕후 | 仁聖王后 | 인종 비 | |
24 | 경복궁 신무문 회맹의 | Actor | 인물 | 비 | 인순왕후 | 仁順王后 | 명종 비 | |
25 | 공신 화상 | Actor | 인물 | 비 | 의인왕후 | 懿仁王后 | 선조 비 1 | |
26 | 왕자의 삼간택 | Actor | 인물 | 비 | 인목왕후 | 仁穆王后 | 선조 비 2 | |
27 | 간택 처녀들의 입궐 모습 | Actor | 인물 | 비 | 광해군 처 문화 유씨 | 文化柳氏 | 광해군 비 | |
28 | 간택 처녀들의 옷차림과 장식 | Actor | 인물 | 추존비 | 인헌왕후 | 仁獻王后 | 원종 비 | |
29 | 간택 처녀들의 음식상 | Actor | 인물 | 비 | 인렬왕후 | 仁烈王后 | 인조 비 1 | |
30 | 간택 처녀의 선보기 | Actor | 인물 | 비 | 장렬왕후 | 莊烈王后 | 인조 비 2 | |
31 | 선온례 | Actor | 인물 | 비 | 인선왕후 | 仁宣王后 | 효종 비 | |
32 | 납채의 | Actor | 인물 | 비 | 명성왕후 | 明聖王后 | 현종 비 | |
33 | 수납채의 | Actor | 인물 | 비 | 인경왕후 | 仁敬王后 | 숙종 비 1 | |
34 | 동뢰연 | Actor | 인물 | 비 | 인현왕후 | 仁顯王后 | 숙종 비 2 | |
35 | 경회루 활쏘기 | Actor | 인물 | 비 | 인원왕후 | 仁元王后 | 숙종 비 3 | |
36 | 경회루 석척기우제 | Actor | 인물 | 비 | 단의왕후 | 端懿王后 | 경종 비 1 | |
37 | 경연 | Actor | 인물 | 비 | 선의왕후 | 宣懿王后 | 경종 비 2 | |
38 | 서연 | Actor | 인물 | 비 | 정성왕후 | 貞聖王后 | 영조 비 1 | |
39 | 국왕의 궐내 행차 | Actor | 인물 | 비 | 정순왕후 | 貞純王后 | 영조 비 2 | |
40 | 근정전 어좌 | Actor | 인물 | 추존비 | 효순왕후 | 孝純王后 | 진종 비 | |
41 | 근정전 일월오봉도 | Actor | 인물 | 추존비 | 헌경왕후 | 獻敬王后 | 장조 비, 혜경궁 홍씨,혜빈 | |
42 | 정아조회지도 | Actor | 인물 | 비 | 효의왕후 | 孝懿王后 | 정조 비 | |
43 | 국왕의 궁시와 통개 | Actor | 인물 | 비 | 순원왕후 | 純元王后 | 순조 비 | |
44 | 고종의 군복 | Actor | 인물 | 추존비 | 신정왕후 | 神貞王后 | 익종 비 | |
45 | 의장 | Actor | 인물 | 비 | 효현왕후 | 孝顯王后 | 헌종 비 1 | |
46 | 상참례 | Actor | 인물 | 비 | 효정왕후 | 孝定王后 | 헌종 비 2 | |
47 | 경복궁 영제교 | Actor | 인물 | 비 | 철인왕후 | 哲仁王后 | 철종 비 | |
48 | 영제교의 석수 | Actor | 인물 | 비 | 명성황후 | 明成皇后 | 고종 비 | |
49 | 근정전의 품계석 | Actor | 인물 | 비 | 순명효황후 | 純明孝皇后 | 순종 비 1 | |
50 | 경회루의 사신다례 | Actor | 인물 | 비 | 순정효황후 | 純貞孝皇后 | 순종 비 2 | |
23 | 경복궁 후원의 융문당 | Actor | 인물 | 비 | 인성왕후 | 仁聖王后 | 인종 비 | |
23 | 경복궁 후원의 융무당 | Actor | 인물 | 비 | 인성왕후 | 仁聖王后 | 인종 비 | |
23 | 경복궁 계무문 | Actor | 인물 | 비 | 인성왕후 | 仁聖王后 | 인종 비 | |
23 | 경복궁 광무문 | Actor | 인물 | 비 | 인성왕후 | 仁聖王后 | 인종 비 | |
23 | 근정전 회랑의 향실 | Actor | 인물 | 비 | 인성왕후 | 仁聖王后 | 인종 비 | |
23 | 근정전 회랑의 관광청 | Actor | 인물 | 비 | 인성왕후 | 仁聖王后 | 인종 비 | |
23 | 근정전 회랑 주련 | Actor | 인물 | 비 | 인성왕후 | 仁聖王后 | 인종 비 | |
23 | 함원전 우물 | Actor | 인물 | 비 | 인성왕후 | 仁聖王后 | 인종 비 | |
23 | 흠경각 우물 | Actor | 인물 | 비 | 인성왕후 | 仁聖王后 | 인종 비 | |
23 | 태원전 우물 | Actor | 인물 | 비 | 인성왕후 | 仁聖王后 | 인종 비 | |
23 | 교태전 물확 | Actor | 인물 | 비 | 인성왕후 | 仁聖王后 | 인종 비 | |
23 | 함화당 물확(荷池) | Actor | 인물 | 비 | 인성왕후 | 仁聖王后 | 인종 비 | |
23 | 함원전 물확 | Actor | 인물 | 비 | 인성왕후 | 仁聖王后 | 인종 비 | |
23 | 지 | Actor | 인물 | 비 | 인성왕후 | 仁聖王后 | 인종 비 | |
정1품 품계석 | ||||||||
정3품 품계석 | ||||||||
정9품 품계석 | ||||||||
4방신-좌 청룡 석상 | ||||||||
4방신-우 백호 석상 | ||||||||
4방신-남 주작 석상 | ||||||||
4방신-북 현무 석상 | ||||||||
12지신-쥐 석상 | ||||||||
12지신-소 석상 | ||||||||
12지신-호랑이 석상 | ||||||||
12지신-토끼 석상 | ||||||||
12지신-뱀 석상 | ||||||||
12지신-말 석상 | ||||||||
12지신-양 석상 | ||||||||
12지신-원숭이 석상 | ||||||||
12지신-닭 석상 | ||||||||
일월오봉도 | ||||||||
함원전-물확 | ||||||||
국새-조선왕보 | ||||||||
국새-조선국왕지인1 | ||||||||
국새-조선국왕지인2 | ||||||||
국새-조선국왕비지인 | ||||||||
국새-위정이덕 | ||||||||
국새-소신지보 | ||||||||
국새-시명지보 | ||||||||
국새-규장지보 | ||||||||
국새-준철지보 | ||||||||
국새-유서지보 | ||||||||
국새-과거지보 | ||||||||
국새-선사지기 | ||||||||
국새-선황단보 | ||||||||
국새-대조선국보1 | ||||||||
국새-대조선국주상지보 | ||||||||
국새-대조선국대군주보 | ||||||||
국새-대조선대군주보 | ||||||||
국새-대군주보 | ||||||||
국새-대조선국보2 | ||||||||
국새-준명지보 | ||||||||
국새-동문지보 | ||||||||
국새-흠문지보 | ||||||||
국새-명덕지보 | ||||||||
국새-광운지보 | ||||||||
국새-수훈지보 | ||||||||
국새-대한국새 | ||||||||
국새-황제지새 | ||||||||
국새-황제지보 | ||||||||
국새-제고지보 | ||||||||
국새-칙명지보 | ||||||||
국새-흠문지새 | ||||||||
국새-대원수보 | ||||||||
국새-황제어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