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비의 대례복"의 두 판 사이의 차이
(→Node Description) |
(→Online Reference) |
||
74번째 줄: | 74번째 줄: | ||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 | |- | ||
− | | 해설 || AKS Encyves || | + | | 해설 || AKS Encyves || 왕비의_대례복 || ||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왕비의_대례복 |
− | |||
− | |||
− | |||
− | |||
|- | |- | ||
|} | |} |
2020년 11월 16일 (월) 16:59 판
Definition
조선의 왕비가 국가의 큰 제례에 참여하거나 가례를 올릴 때 또는 책례를 받을 때 대수(大首)와 함께 착용하는 복식 일습이다.[1] 조선시대 적의 제도는 명에서 사여받은 것으로 대홍색 대삼에 수원적(繡圓翟)을 붙인 적의이고, 대한제국시대의 적의는 『대명회전(大明會典)』에 근거하여 새로 마련한 심청색 적의이다.[2] 적의는 꿩무늬[翟紋]가 직조된 직물로 만든 옷이라 하여 붙여진 명칭이다. 대한제국시대의 적의 제도는 착용자의 신분에 따라 꿩무늬 줄수에 차등을 두었으며 왕비는 황태자비와 같은 9등(等)이다. 임진왜란 이전 왕비의 대례복인 적의에 쓰는 관은 적관(翟冠)이다.[3]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왕비의_대례복 | Clothing | 복장 | 왕비 | 왕비의_대례복(大禮服) | 왕비의_대례복 | 大禮服 |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왕비의_대례복 |
|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 value |
---|---|
id | 왕비의 대례복 |
대표명칭 | 왕비의 대례복 |
한자표기 | 大禮服 |
이칭별칭 | 적의 |
구분 | 복장 |
착용신분 | 조선_왕비 |
착용성별 | 여성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왕비의_대례복 | 대수 | hasPart | |
왕비의_대례복 | 적의 | hasPart | |
왕비의_대례복 | 별의 | hasPart | |
왕비의_대례복 | 저고리-여성 | hasPart | |
왕비의_대례복 | 스란치마 | hasPart | |
왕비의_대례복 | 대란치마 | hasPart | |
왕비의_대례복 | 무지기치마 | hasPart | |
왕비의_대례복 | 대슘치마 | hasPart | |
왕비의_대례복 | 적말 | hasPart | |
왕비의_대례복 | 적석 | hasPart | |
왕비 | 왕비의_대례복 | wears |
Online Referen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해설 | AKS Encyves | 왕비의_대례복 |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왕비의_대례복 |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 title | publication | edition | URL |
---|---|---|---|---|
김미자, | 「한국 상(裳)의 일본 전파와 변천에 관한 연구」, 『服飾』 52권 2호, | 한국복식학회, 2002. |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 『名選 下』, | 단국대학교 출판부, 2005. | ||
朴聖實, | 「朝鮮朝 치마 再考-16세기 출토복식을 중심으로-」, 『服飾』 30권, | 한국복식학회, 1996. | ||
이민주, | 『용을 그리고 봉황을 수놓다』,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3. | ||
임경화, | 「치마의 장식요소와 표현성에 관한 연구 -조선시대부터 2001년까지-」, |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 ||
국립고궁박물관 편집부, | 『영친왕 일가 복식』, | 국립고궁박물관, 2010. | ||
홍나영ㆍ신혜성ㆍ이은진 지음, | 『동아시아 복식의 역사』, | 교문사, 2011.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