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
이동: 둘러보기, 검색
(Contextual Relations)
41번째 줄: 41번째 줄: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image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image
 
|-
 
|-
| [[세종실록오례|『세종실록오례』]] || [[산뢰]] || [[documents]] || <세종실록오례 권128, 길례서례(吉禮序例), 제기도설(祭器圖說)> [[예서|『예서(禮書)』]]에 이르기를, “산뢰(山罍)는 산준(山尊)이다. 준(尊)에 새겨 그림을 그려서 산에 구름이 있는 형상을 만든다. 뇌(罍)라 이르는 것은, 구름과 우뢰가 널리 혜택을 베풂이 인군(人君)이 은혜를 여러 신하들에게 미치게 함과 같음을 취하여 형상한 것이다. 산뢰(山罍)는 하(夏)나라 우왕(禹王)의 준(尊)이다.”고 하였고, 『주례도(周禮圖)』에 이르기를, “산에 구름이 있는 형상을 그려서, 한 개에는 현주(玄酒)를 채우고, 한 개에는 앙제(盎齊)를 채운다.”고 하였다. 禮書云山罍山尊也刻而畫之爲山雲之形謂之罍者取象雲雷博施如人君下及諸臣山罍夏后氏之尊也周禮圖云畫山雲形一盛玄酒一盛盎齊 <ref>[http://sillok.history.go.kr/id/kda_20002008_021 『세종실록』, 오례 / 길례 서례 / 제기도설 / 산뢰.]</br> [https://www.koreantk.com/ktkp2014/craft/craft-view.view?craftCd=ktc000700 한국전통지식포털.]</ref> || <html><img width="120" src="http://sillok.history.go.kr/images/slkimg/ida_040008b02.jpg"/></html><br/>국사편찬위원회[http://sillok.history.go.kr/]
+
| [[세종실록오례|『세종실록오례』]] || [[산뢰]] || [[documents]] || <세종실록오례 권128, 길례서례(吉禮序例), 제기도설(祭器圖說)> <ref>[http://sillok.history.go.kr/id/kda_20002008_021 『세종실록』, 오례 / 길례 서례 / 제기도설 / 산뢰.]</br> [https://www.koreantk.com/ktkp2014/craft/craft-view.view?craftCd=ktc000700 한국전통지식포털.]</ref> || <html><img width="120" src="http://sillok.history.go.kr/images/slkimg/ida_040008b02.jpg"/></html><br/>국사편찬위원회[http://sillok.history.go.kr/]
 
|-
 
|-
| [[국조오례의|『국조오례의』]] || [[산뢰]] || [[documents]] || <국조오례의서례 권1, 길례(吉禮), 제기도설(祭器圖說)> 『예서(禮書)』에 말하기를, “산뢰(山罍)는 산준(山尊)이다. 새겨서 산과 구름 모양을 그린 것이다. 뇌(罍)라고 한 것은 구름과 우뢰가 널리 물건들에게 혜택을 베푸는 것이, 마치 임금이 아래로 여러 신하에게 은혜를 베푸는 것과 같다는 뜻을 취한 것이다. 산뢰는 하후씨(夏后氏)의 준(尊)이다.” 했다. ○『주례도(周禮圖)』에 말하기를, “산과 구름의 모양을 그린 것이다. 하나는 현주(玄酒)를 담고, 하나는 양제(盎齊)를 담는다.” 했다. 禮書云山罍山尊也刻而畫之爲山雲之形謂之罍者取象雲雷慱施如人君下及諸臣山罍夏后氏之尊也○周禮圖云畫山雲形一盛玄酒一盛盎齊 <ref>[http://kyudb.snu.ac.kr/book/text.do?book_cd=GK00185_00&vol_no=0001 『國朝五禮序例』 0001권, 奎185-v.1-2, 044a-044a면, 규장각원문검색서비스.]<br/>[http://www.koreantk.com/ktkp2014/craft/craft-view.view?craftCd=ktc000291 한국전통지식포털.]</ref>||<html><img width="120" src="http://www.koreantk.com/ktkp2014/craft/image/shape/ktc000291/1200x1200/ratio/ktc000291-200/jpg.image"/></html>
+
| [[국조오례의|『국조오례의』]] || [[산뢰]] || [[documents]] || <국조오례의서례 권1, 길례(吉禮), 제기도설(祭器圖說)> <ref>[http://kyudb.snu.ac.kr/book/text.do?book_cd=GK00185_00&vol_no=0001 『國朝五禮序例』 0001권, 奎185-v.1-2, 044a-044a면, 규장각원문검색서비스.]<br/>[http://www.koreantk.com/ktkp2014/craft/craft-view.view?craftCd=ktc000291 한국전통지식포털.]</ref>||<html><img width="120" src="http://www.koreantk.com/ktkp2014/craft/image/shape/ktc000291/1200x1200/ratio/ktc000291-200/jpg.image"/></html>
 
|-
 
|-
| [[국조상례보편|『국조상례보편』]] || [[산뢰]] || [[documents]] || <국조상례보편 도설(圖說), 반우(返虞)> 산뢰(山罍)[현주(玄酒)와 청주(淸酒)를 담는 것이다. 사계절이 동일하다. ○ 지금은 예주(醴酒)를 써서 청주(淸酒)를 대신한다]. 산뢰(山罍)[의궤(儀軌)에는 무게가 10斤으로 되어 있다]는 입지름이 5寸이고, 배지름은 7寸 4分이며, 깊이는 8寸 3分이다. 발지름은 5寸 4分이고, 족부까지 포함한 높이는 9寸 6分이다. 산(山)과 구름[雲]의 모양을 새긴다. 양 귀[耳]의 제도는 호준(壺尊)과 동일하다. 山罍[所以實玄酒淸酒者四時同○今用醴酒代淸酒]山罍[儀軌重十斤]口圓徑五寸腹圓徑七寸四分深八寸三分足徑五寸四分通足高九寸六分鏤山雲之形兩耳制同壺尊 <ref>[https://www.koreantk.com/ktkp2014/craft/craft-view.view?craftCd=ktc001892 한국전통지식포털.]</ref> ||<html><img width="120" src="https://www.koreantk.com/ktkp2014/craft/image/shape/ktc001892/1200x1200/ratio/ktc001892-200/jpg.image"/></html>
+
| [[국조상례보편|『국조상례보편』]] || [[산뢰]] || [[documents]] || <국조상례보편 도설(圖說), 반우(返虞)> <ref>[https://www.koreantk.com/ktkp2014/craft/craft-view.view?craftCd=ktc001892 한국전통지식포털.]</ref> ||<html><img width="120" src="https://www.koreantk.com/ktkp2014/craft/image/shape/ktc001892/1200x1200/ratio/ktc001892-200/jpg.image"/></html>
 
|-
 
|-
| [[대한예전|『대한예전』]] || [[산뢰]] || [[documents]] || <대한예전 권3, 길례(吉禮), 제기도설(祭器圖說)> 『예서(禮書)』에 말하기를, “산뢰(山罍)는 산준(山尊)이다. 산과 구름을 새겨서 모양을 그린 것이다. 뇌(罍)라고 한 것은 구름과 우뢰가 널리 물건들에게 혜택을 베푸는 것이, 마치 임금이 아래로 여러 신하에게 은혜를 베푸는 것과 같다는 뜻을 취한 것이다. 산뢰는 하후씨(夏后氏)의 준(尊)이다.”라고 했다. ○『주례도(周禮圖)』에 말하기를, “산과 구름의 모양을 그린 것이다. 하나는 현주(玄酒)를 담고, 하나는 양제(盎齊)를 담는다.”라고 했다. 禮書云山罍山尊也刻而畫之爲山雲之形謂之罍 者取象雲雷愽施如人君下及諸臣山罍夏后氏 尊也○周禮圖云畵山雲形一盛玄酒一盛盎齊 <ref>[http://www.koreantk.com/ktkp2014/craft/craft-view.view?craftCd=ktc001477 한국전통지식포털.]</ref> ||<html><img width="120" src="http://www.koreantk.com/ktkp2014/craft/image/shape/ktc001477/1200x1200/ratio/ktc001477-200/jpg.image"/></html>
+
| [[대한예전|『대한예전』]] || [[산뢰]] || [[documents]] || <대한예전 권3, 길례(吉禮), 제기도설(祭器圖說)> <ref>[http://www.koreantk.com/ktkp2014/craft/craft-view.view?craftCd=ktc001477 한국전통지식포털.]</ref> ||<html><img width="120" src="http://www.koreantk.com/ktkp2014/craft/image/shape/ktc001477/1200x1200/ratio/ktc001477-200/jpg.image"/></html>
 
|-
 
|-
| [[종묘의궤|『종묘의궤』]] || [[산뢰]] || [[documents]] || <종묘의궤 권1, 종묘제기도설(宗廟祭器圖說)> [[예서|『예서(禮書)』]]에 이르기를, "산뢰(山罍)는 산준(山尊)이다. 새겨서 그려 산과 구름의 형상을 만든 것이다. 뇌(礨)라고 한 것은, 구름과 우뢰가 널리 베풀어지는 것이 임금의 덕이 여러 신하들에게 미치는 것과 같음을 취하여 상징한 것이다. 산뢰(山罍)는 하후씨(夏后氏 우(禹) 임금)의 준이다."라고 하였다. ○『주례도(周禮圖)』에 이르기를, "산과 구름의 형상을 그린 것이다. 하나는 현주를 담고, 하나는 앙제(盎齊)를 담는다."라고 하였다. 禮書云山罍山尊也刻而畫之爲山雲之形謂之罍者取象雲雷博施如人君下及諸臣山罍夏后氏之尊也○周禮圖云畫山雲形一盛玄酒一盛盎齊 <ref>[http://www.koreantk.com/ktkp2014/craft/craft-view.view?craftCd=ktc001004 한국전통지식포털.]</ref> ||<html><img width="120" src="http://www.koreantk.com/ktkp2014/craft/image/shape/ktc001004/1200x1200/ratio/ktc001004-200/jpg.image"/><img width="120" src="http://dh.aks.ac.kr/Encyves/wiki/images/c/c7/궁중기록화_물품_산뢰_종묘의궤_규장각.jpg"/></html><br/>규장각한국학연구원[http://e-kyujanggak.snu.ac.kr/]
+
| [[종묘의궤|『종묘의궤』]] || [[산뢰]] || [[documents]] || <종묘의궤 권1, 종묘제기도설(宗廟祭器圖說)> <ref>[http://www.koreantk.com/ktkp2014/craft/craft-view.view?craftCd=ktc001004 한국전통지식포털.]</ref> ||<html><img width="120" src="http://www.koreantk.com/ktkp2014/craft/image/shape/ktc001004/1200x1200/ratio/ktc001004-200/jpg.image"/><img width="120" src="http://dh.aks.ac.kr/Encyves/wiki/images/c/c7/궁중기록화_물품_산뢰_종묘의궤_규장각.jpg"/></html><br/>규장각한국학연구원[http://e-kyujanggak.snu.ac.kr/]
 
|-
 
|-
| [[사직서의궤|『사직서의궤』<ref>[http://www.koreantk.com/ktkp2014/craft/search-craftOldbook.view?bookCd=ktcb0012 한국전통지식포털.]</ref>]] || [[산뢰]] || [[documents]] || <사직서의궤 권1, 제기도설(祭器圖說)> [[예서|『예서(禮書)』]]에 말하기를, “산뢰(山罍)는 산준(山尊)이다. 새겨서 산과 구름 모양을 그린 것이다. 산뢰는 하후씨(夏后氏)의 준(尊)이다.”라고 하였다. 禮書云山罍山尊也刻而畫之爲山雲之形夏后氏之尊也 <ref>[http://www.koreantk.com/ktkp2014/craft/craft-view.view?craftCd=ktc001302 한국전통지식포털.]</ref> ||<html><img width="120" src="http://www.koreantk.com/ktkp2014/craft/image/shape/ktc001302/1200x1200/ratio/ktc001302-200/jpg.image"/><br/>1783년(정조 7) 1월 8일에 사직서(社稷署)의 제례의식[祭儀]제식(祭式)·단(壇)·유(壝)·관사(館舍) 등을 참고하고자 작성된 5권 3책의 의궤가 편찬되어, 1804년(순조 4) 1차 증보되고, 1842년(현종 8) 2차 증보됨.</html>
+
| [[사직서의궤|『사직서의궤』<ref>[http://www.koreantk.com/ktkp2014/craft/search-craftOldbook.view?bookCd=ktcb0012 한국전통지식포털.]</ref>]] || [[산뢰]] || [[documents]] || <사직서의궤 권1, 제기도설(祭器圖說)> <ref>[http://www.koreantk.com/ktkp2014/craft/craft-view.view?craftCd=ktc001302 한국전통지식포털.]</ref> ||<html><img width="120" src="http://www.koreantk.com/ktkp2014/craft/image/shape/ktc001302/1200x1200/ratio/ktc001302-200/jpg.image"/><br/>1783년(정조 7) 1월 8일에 사직서(社稷署)의 제례의식[祭儀]제식(祭式)·단(壇)·유(壝)·관사(館舍) 등을 참고하고자 작성된 5권 3책의 의궤가 편찬되어, 1804년(순조 4) 1차 증보되고, 1842년(현종 8) 2차 증보됨.</html>
 
|-
 
|-
| [[제기도감의궤|『제기도감의궤』<ref>[http://www.koreantk.com/ktkp2014/craft/search-craftOldbook.view?bookCd=ktcb0009 한국전통지식포털.]</ref>]] || [[산뢰]] || [[documents]] || <제기도감의궤 권1, 도감(都監)> 주조하며 102개이다. 입 지름은 4寸 2分, 발 지름은 4寸 6分, 깊이는 9寸 5分, 발까지 합한 높이는 8寸 8分, 배 지름은 6寸 5分 5리, 횡간의 무게는 3斤 10兩인데 성형(成形)할 수가 없기 때문에 이번에는 5斤을 정입(正入)하였다. 주성(鑄成)할 때 황랍(黃蠟)으로 모형을 떠서 용주(鎔鑄)하였기 때문에 매 1개당 황랍이 6兩 들어갔는데 이번에는 황랍 13兩으로 1개의 모형을 만들어 포토(浦土) 안에 정착(精着)하여 그림 모양이 분명해지도록 한 다음 그 모형을 도로 꺼내어 주조하였으므로 황랍 13兩을 소융(消融)하지 않았다. 사직(社稷) 8개, 영녕전(永寧殿) 16개, 종묘(宗廟) 18개, 각 능(各陵)에 60개이다. 鑄一百二口徑四寸二分足徑四寸六分深九寸五分通足高八寸八分腹徑六寸五分五釐橫首重三斤十兩而不能成形故今正入五斤鑄成時以黃蠟作形樣而鎔鑄故每一黃蠟六兩今則以黃蠟十三兩作一形樣精着於浦土中使畵格分明之後還出其形樣而鎔鑄故十三兩亦不至消融社稷八永寧殿十六宗廟十八各陵六十 <ref>[http://www.koreantk.com/ktkp2014/craft/craft-view.view?craftCd=ktc000959 한국전통지식포털.]</ref> ||<html><img width="120" src="http://www.koreantk.com/ktkp2014/craft/image/shape/ktc000959/1200x1200/ratio/ktc000959-200/jpg.image"/><br/>1611년(광해군 3) 8월 24일 건원릉(健元陵)과 현릉(顯陵)에 친제(親祭)를 거행하기 위해 제기가 부족하자, 그해 9월 9일부터 이듬해 11월까지 이듬해까지 제기도감을 설치하여 각종 제기를 만든 전말을 기록하고 있음./ 산뢰(山罍)는 조선시대의 왕실의 제사 때 술을 담는 항아리로 사용하였다. 사직(社稷) 8개, 영녕전(永寧殿) 16개, 종묘(宗廟) 18개, 각 능(各陵)에 60개이다.</html>
+
| [[제기도감의궤|『제기도감의궤』<ref>[http://www.koreantk.com/ktkp2014/craft/search-craftOldbook.view?bookCd=ktcb0009 한국전통지식포털.]</ref>]] || [[산뢰]] || [[documents]] || <제기도감의궤 권1, 도감(都監)> <ref>[http://www.koreantk.com/ktkp2014/craft/craft-view.view?craftCd=ktc000959 한국전통지식포털.]</ref> ||<html><img width="120" src="http://www.koreantk.com/ktkp2014/craft/image/shape/ktc000959/1200x1200/ratio/ktc000959-200/jpg.image"/><br/>1611년(광해군 3) 8월 24일 건원릉(健元陵)과 현릉(顯陵)에 친제(親祭)를 거행하기 위해 제기가 부족하자, 그해 9월 9일부터 이듬해 11월까지 이듬해까지 제기도감을 설치하여 각종 제기를 만든 전말을 기록하고 있음./ 산뢰(山罍)는 조선시대의 왕실의 제사 때 술을 담는 항아리로 사용하였다. 사직(社稷) 8개, 영녕전(永寧殿) 16개, 종묘(宗廟) 18개, 각 능(各陵)에 60개이다.</html>
 
|-
 
|-
| [[경모궁의궤|『경모궁의궤』]] || [[산뢰]] || [[documents]] || <경모궁의궤 권1, 제기도설(祭器圖說)> 『예서(禮書)』에 이르기를, “산뢰(山罍)는 산준(山尊)이다. 산과 구름 그림을 새겨 넣은 것이다. 산뢰는 하우씨(夏后氏)의 준이다.”라고 하였다. 禮書云山罍山尊也刻而畵之爲山雲之形夏后氏之尊也 <ref>[http://www.koreantk.com/ktkp2014/craft/craft-view.view?craftCd=ktc001164 한국전통지식포털.]</ref> ||<html><img width="120" src="http://www.koreantk.com/ktkp2014/craft/image/shape/ktc001164/1200x1200/ratio/ktc001164-200/jpg.image"/></html>
+
| [[경모궁의궤|『경모궁의궤』]] || [[산뢰]] || [[documents]] || <경모궁의궤 권1, 제기도설(祭器圖說)> <ref>[http://www.koreantk.com/ktkp2014/craft/craft-view.view?craftCd=ktc001164 한국전통지식포털.]</ref> ||<html><img width="120" src="http://www.koreantk.com/ktkp2014/craft/image/shape/ktc001164/1200x1200/ratio/ktc001164-200/jpg.image"/></html>
 
|-
 
|-
| [[정조국장도감의궤|『정조국장도감의궤』<ref>[http://www.koreantk.com/ktkp2014/craft/search-craftOldbook.view?bookCd=ktcb0048 한국전통지식포털.]</ref>]] || [[산뢰]] || [[documents]] || <정조국장도감의궤 국장도감의궤 권4, 별공작> 산뢰(山罍) 3坐는 합한 무게 50斤 8兩이며 놋쇠[鍮]와 주철[鑄]을 반씩 섞는다. 山罍三坐合重五十五斤八兩鍮鑄相半 <ref>[http://www.koreantk.com/ktkp2014/craft/craft-view.view?craftCd=ktc004544 한국전통지식포털.]</ref> ||<html><img width="120" src="http://www.koreantk.com/ktkp2014/craft/image/shape/ktc004544/1200x1200/ratio/ktc004544-200/jpg.image"/><br/>조선후기 1800년(순조 즉위년) 정조(正祖)의 국장(國葬) 때, 산뢰(山罍)는 현주(玄酒)와 청주(淸酒)를 담는 항아리로 사용하였다.</html>
+
| [[정조국장도감의궤|『정조국장도감의궤』<ref>[http://www.koreantk.com/ktkp2014/craft/search-craftOldbook.view?bookCd=ktcb0048 한국전통지식포털.]</ref>]] || [[산뢰]] || [[documents]] || <정조국장도감의궤 국장도감의궤 권4, 별공작> <ref>[http://www.koreantk.com/ktkp2014/craft/craft-view.view?craftCd=ktc004544 한국전통지식포털.]</ref> ||<html><img width="120" src="http://www.koreantk.com/ktkp2014/craft/image/shape/ktc004544/1200x1200/ratio/ktc004544-200/jpg.image"/><br/>조선후기 1800년(순조 즉위년) 정조(正祖)의 국장(國葬) 때, 산뢰(山罍)는 현주(玄酒)와 청주(淸酒)를 담는 항아리로 사용하였다.</html>
 
|-
 
|-
 
| [[산뢰]] || 국립고궁박물관 || [[currentLocation]] || < 국립고궁박물관 > <ref>[https://www.gogung.go.kr/searchView.do?pageIndex=1&cultureSeq=00017667VH&searchRelicDiv4=&searchGubun=ALL1&searchText=/ 국립고궁박물관/산뢰.]</ref> ||[[파일:산뢰_종묘7366_고궁박물관.jpg|100px]]
 
| [[산뢰]] || 국립고궁박물관 || [[currentLocation]] || < 국립고궁박물관 > <ref>[https://www.gogung.go.kr/searchView.do?pageIndex=1&cultureSeq=00017667VH&searchRelicDiv4=&searchGubun=ALL1&searchText=/ 국립고궁박물관/산뢰.]</ref> ||[[파일:산뢰_종묘7366_고궁박물관.jpg|100px]]

2020년 10월 3일 (토) 18:04 판

Definition

조선시대의 각종 국가·왕실 의례에서 사용된 제기. 술이나 물을 담는 큰 항아리이다. 산에 구름이 낀 형세를 몸체에 새기거나 그려 넣은 술동이. 산준은 고대로부터 국가 제례에서 중요하게 사용된 6종의 준(尊) 중 한 종류이다. ‘산뢰(山罍)’라는 별칭으로 보다 널리 사용되었기 때문에, 6준은 실제로는 5준 1뢰를 의미한다. ‘뢰(罍)’는 구름과 우레가 널리 혜택을 베푸는 것이 마치 왕의 은혜가 여러 신하들에게 두루 미치는 것과도 같다는 의미가 있었다. 이런 뜻으로 인해 산준보다는 ‘산뢰’로 많이 지칭되었다. [1] 세종실록오례 ◎ 산뢰(山罍) : 《예서(禮書)》에 이르기를, "산뢰(山罍)는 산준(山尊)이다. 준(尊)에 새겨 그림을 그려서 산에 구름이 있는 형상을 만든다. 뇌(罍)라 이르는 것은, 구름과 우레가 널리 혜택을 베풂이 인군(人君)이 은혜를 여러 신하들에게 미치게 함과 같음을 취하여 형상한 것이다. 산뢰(山罍)는 하(夏)나라 우왕(禹王)의 준(尊)이다."고 하였고, 《주례도(周禮圖)》에 이르기를, "산에 구름이 있는 형상을 그려서, 한 개에는 현주(玄酒)를 채우고, 한 개에는 앙제(盎齊)를 채운다."고 하였다. ◎ 山罍 : 《禮書》云: "山罍, 山尊也。 刻而畫之, 爲山雲之形。 謂之罍者, 取象雲雷博施, 如人君下及諸臣。 山罍, 夏后氏之尊也。" 《周禮圖》云: "畫山雲形, 一盛玄酒, 一盛盎齊。"[2]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산뢰 Object 물품 제기 산뢰(山罍) 산뢰 山罍 ritual vessel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산뢰


국사편찬위원회[1]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value
id 산뢰
이칭/별칭
재질
색상
사용 신분 국가제사, 왕실제사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image
『세종실록오례』 산뢰 documents <세종실록오례 권128, 길례서례(吉禮序例), 제기도설(祭器圖說)> [3]
국사편찬위원회[2]
『국조오례의』 산뢰 documents <국조오례의서례 권1, 길례(吉禮), 제기도설(祭器圖說)> [4]
『국조상례보편』 산뢰 documents <국조상례보편 도설(圖說), 반우(返虞)> [5]
『대한예전』 산뢰 documents <대한예전 권3, 길례(吉禮), 제기도설(祭器圖說)> [6]
『종묘의궤』 산뢰 documents <종묘의궤 권1, 종묘제기도설(宗廟祭器圖說)> [7]
규장각한국학연구원[3]
『사직서의궤』[8] 산뢰 documents <사직서의궤 권1, 제기도설(祭器圖說)> [9]
1783년(정조 7) 1월 8일에 사직서(社稷署)의 제례의식[祭儀]제식(祭式)·단(壇)·유(壝)·관사(館舍) 등을 참고하고자 작성된 5권 3책의 의궤가 편찬되어, 1804년(순조 4) 1차 증보되고, 1842년(현종 8) 2차 증보됨.
『제기도감의궤』[10] 산뢰 documents <제기도감의궤 권1, 도감(都監)> [11]
1611년(광해군 3) 8월 24일 건원릉(健元陵)과 현릉(顯陵)에 친제(親祭)를 거행하기 위해 제기가 부족하자, 그해 9월 9일부터 이듬해 11월까지 이듬해까지 제기도감을 설치하여 각종 제기를 만든 전말을 기록하고 있음./ 산뢰(山罍)는 조선시대의 왕실의 제사 때 술을 담는 항아리로 사용하였다. 사직(社稷) 8개, 영녕전(永寧殿) 16개, 종묘(宗廟) 18개, 각 능(各陵)에 60개이다.
『경모궁의궤』 산뢰 documents <경모궁의궤 권1, 제기도설(祭器圖說)> [12]
『정조국장도감의궤』[13] 산뢰 documents <정조국장도감의궤 국장도감의궤 권4, 별공작> [14]
조선후기 1800년(순조 즉위년) 정조(正祖)의 국장(國葬) 때, 산뢰(山罍)는 현주(玄酒)와 청주(淸酒)를 담는 항아리로 사용하였다.
산뢰 국립고궁박물관 currentLocation < 국립고궁박물관 > [15] 산뢰 종묘7366 고궁박물관.jpg
백자 청화철화삼산뇌문 산뢰 삼성 리움미술관 소장[16] currentLocation <문화재청 보물 지정번호제1056호> [17]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산뢰(山罍) 대준(大尊) A는 B와 같이 사용되었다 A ekc:goesWith B
산뢰(山罍) 용작(龍勺) A는 B와 같이 사용되었다 A ekc:goesWith B
산뢰(山罍) 멱(冪) A는 B와 같이 사용되었다 A ekc:goesWith B
산뢰(山罍) 『종묘의궤(宗廟儀軌)』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산뢰(山罍)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宗廟親祭規制圖說屛風)》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산뢰(山罍) 『순조국장도감의궤(純祖國葬都監儀軌)』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산뢰(山罍) 『정조국장도감의궤(正祖國葬都監儀軌)』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산뢰(山罍) 『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孝懿王后國葬都監儀軌)』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산뢰(山罍) 제례(祭禮) A는 B에 사용되었다 A ekc:isUsedIn B

Spatial Data

Spactial Information Nodes

gid region label hanja latitude longitude altitue description

Spati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Temporal Data

Temporal Information Nodes

tid timeSpan label hanja lunarDate solarDate indexDate description

Tempor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Online Reference

type resource title desctription/caption URL
도설 세종실록오례 길례 서례 / 제기도설 / 산뢰 http://sillok.history.go.kr/id/kda_20002008_022
도설 국조오례의 산뢰 http://kyudb.snu.ac.kr/book/text.do?book_cd=GK00185_00&vol_no=0001
참고 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 산뢰 http://kyujanggak.snu.ac.kr/dohae/sub/schDetail.jsp?no=D0572&category=A&sWord=산뢰
참고 한국전통지식포탈 산뢰 https://www.koreantk.com/ktkp2014/search-all/search-by-keyword.page?pageNo=1&pageSize=&keyword=산뢰&target=CRA
참고 조선왕조실록사전 산준(山尊)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3453
참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산뢰(山罍) 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산뢰&ridx=0&tot=4
참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백자 청화철화삼산뇌문 산뢰(白磁靑畵鐵畵三山雷文山罍)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56884
참고 위키 실록사전 산준(山尊)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산준(山尊)
참고 위키 Encyves 한국 기록유산 산뢰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산뢰
도해 세종실록 오례 산뢰 http://sillok.history.go.kr/images/slkimg/ida_040008b02.jpg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title publication edition URL
박봉주, 「조선시대 국가 제례(祭禮)와 변두(豆)의 사용」, 『동방학지』159,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2.
하은미, 「종묘제기와 조선시대 제기도설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최순권, 「종묘제기고(宗廟祭器考)」, 『종묘대제문물』60, 궁중유물전시관, 2004.
정소라, 「조선전기 길례용 분청사기 연구 -충효동요지 출토유물을 중심으로-」, 『미술사학연구』223, 조선시대사학회, 1999.
김종일, 「조선후기 종묘제기와 유기장의 제작기술 연구」, 한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김종임, 「조선왕실 금속제기 연구 : 종묘제기를 중심으로」, 『미술사학연구』제277호, 한국미술사학회, 2013.
손명희, 「조선의 국가 제사를 위한 그릇과 도구」, 『조선의 국가의례, 오례』, 국립고궁박물관, 2015, 85~136쪽.
이귀영, 「종묘제례의 제기와 제수의 진설 원리」, 『한국미술사교육학회지』제27호,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3.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