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후기 승정원의 직제와 공간구조
목차
Definition
이 문서는 조선 후기에 승정원의 역할과 그리고 그 공간에 대한 연구 논문이다. 승정원에는 정3품 당산관이 맡았던 승지(承旨) 그리고 정7품 주서(注書)로 구성되어 있었다. 승지는 왕명의 출납 뿐만 아니라 관료 기구를 연결하는 정무적인 업무 전반을 담당하였다. 이 같은 역할을 자세하게 볼 수 있는 사료가 바로 승정원일기이다. 승정원은 그 역할이 중요하여 임금이 기거하던 대전과 매우 가까운 위치에 있었으며 바로 창덕궁 인정전 동쪽 회랑 바깥쪽에 붙어 있었다.[1]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조선_후기_승정원의_직제와_공간구조 | Record | 기타 | 세부기타 | 조선 후기 승정원의 직제와 공간구조 | 조선 후기 승정원의 직제와 공간구조 |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조선_후기_승정원의_직제와_공간구조 |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 value |
---|---|
제목 | 조선 후기 승정원의 직제와 공간 구조 |
저자 | 홍순민 |
논문수록집 | 규장각 49 |
발행처 |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
발행일 | 2016년 12월 05일 |
논문쪽수 | 1-42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선전관청 | 조선_후기_승정원의_직제와_공간구조 | edm:isRelatedTo | |
당후 | 조선_후기_승정원의_직제와_공간구조 | edm:isRelatedTo | |
옥당 | 조선_후기_승정원의_직제와_공간구조 | edm:isRelatedTo | |
빈청 | 조선_후기_승정원의_직제와_공간구조 | edm:isRelatedTo |
Notes
- ↑ 홍순민,「조선 후기 승정원의 직제와 공간 구조」,『규장각』49,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016년 12월 5일, p.1-42.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