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nyang
이동: 둘러보기, 검색

Definition

계이(鷄彝)는 국가 제사 때 술과 맑은 물을 담는 제기로 표면에 닭[鷄] 모양을 새긴다.[1]
조이(鳥彝)는 국가 제사 때 술과 맑은 물을 담는 제기로 표면에 봉황[鳥]을 새기거나 그려넣는다.[2]
가이(斝彛)는 국가 제사 때 술과 맑은 물을 담는 제기로 표면에 벼 이삭을 새기거나 그려 넣는다. ‘가(斝)’는 벼 이삭을 뜻하는 ‘가(稼)’와 통용되며, ‘가이(斝彝)’는 ‘가이(稼彝)’와도 통용된다. 가이는 황금 눈[黃目]으로 장식한 황이(黃彝)와 짝을 이루어 조선시대의 종묘(宗廟), 경모궁(景慕宮), 육상궁(毓祥宮), 저경궁(儲慶宮)에서 올리는 봄, 여름, 가을, 겨울과 납일(臘日)에 지내는 오향제(五享祭) 중 가을 제사와 겨울·납일 제사에 사용되었다. 가을 제사에서는 달밤에 거울로 달을 비춰 맺힌 이슬을 모아 만든 맑은 물인 명수(明水)를 담고, 황이에는 검은 기장에 울금향(鬱金香)을 넣어 빚은 향기 나는 술인 울창주(鬱鬯酒)를 담았으며, 겨울과 납일의 제사에서는 이와는 반대로 황이에 명수를 담고, 가이에 울창주를 담았다.[3]
황이(黃彛)는 국가 제사 때 술과 맑은 물을 담는 제기로 표면에 황금으로 된 눈[黃目]을 새기거나 그려 넣는다. 황이는 그릇 표면에 벼 이삭 그림이 새겨진 가이(斝彝)와 짝을 이루어 조선시대의 종묘(宗廟), 경모궁(景慕宮), 육상궁(毓祥宮), 저경궁(儲慶宮)에서 봄, 여름, 가을, 겨울과 동지 뒤 세 번째 미일(未日)인 납일(臘日) 등에 올리는 오향제(五享祭) 중 가을 제사와 겨울 제사에 사용되었다. 가을 제사에서는 밤에 거울로 달을 비춰 맺힌 이슬을 모아 만든 맑은 물이라고 하는 명수(明水)를 가이에 담고, 검은 기장에 울금향(鬱金香)을 넣어 빚은 향기 나는 술이라고 하는 울창주(鬱鬯酒)를 황이에 담았으며, 겨울 제사에서는 이와는 반대로 황이에 명수를 담고, 가이에 울창주를 담았다.[4]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Concept 개념용어 제기 이(鷄彝) ritual vessel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이


국사편찬위원회[1]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value
id
이칭/별칭
재질
색상
사용처 국가제사, 왕실제사, 사직제, 길례, 흉례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계이 type
조이 type
가이 type
황이 type
조이 계이 isRelatedTo
계이 봄제사 isUsedIn
계이 여름제사 isUsedIn
조이 봄제사 isUsedIn
조이 여름제사 isUsedIn
계이 명수 goesWith
계이 울창주 goesWith
조이 울창주 goesWith
조이 명수 goesWith
계이 봄제사_명수 goesWith
계이 여름제사_울창주 goesWith 봄에는 계이(鷄彝)에 명수(明水)를 채우고, 조이(鳥彝)에 울창(鬱鬯)을 채우며, 여름에는 조이에 명수(明水)를 채우고, 계이(鷄彝)에 울창(鬱鬯)을 채운다.
조이 봄제사_울창주 goesWith
조이 여름제사_명수 goesWith 봄에는 계이(鷄彝)에 명수(明水)를 채우고, 조이(鳥彝)에 울창(鬱鬯)을 채우며, 여름에는 조이에 명수(明水)를 채우고, 계이(鷄彝)에 울창(鬱鬯)을 채운다.
가이 가을제사 isUsedIn 가을 제사[秋嘗]와 겨울 제사[冬烝]에 강신(降神)할 적엔 가이(斝彝)와 황이(黃彝)를 사용
가이 겨울제사 isUsedIn 가을 제사에서 가이에는 달밤에 거울로 달을 비춰 맺힌 이슬을 모아 만든 맑은 물인 명수(明水)를 담고, 황이에는 검은 기장에 울금향(鬱金香)을 넣어 빚은 향기 나는 술인 울창주(鬱鬯酒)를 담았으며, 겨울과 납일의 제사에서는 이와는 반대로 황이에 명수를 담고, 가이에 울창주를 담았다.
가이 명수 goesWith 가을 제사
가이 울창주 goesWith 겨울과 납일의 제사
가이 가을제사_명수 goesWith 가을제사
가이 겨울제사_울창주 goesWith 겨울과 납일의 제사
황이 가을제사 isUsedIn 가을 제사[秋嘗]와 겨울 제사[冬烝]에 강신(降神)할 적엔 가이(斝彝)와 황이(黃彝)를 사용
황이 겨울제사 isUsedIn 가을 제사에서 가이에는 달밤에 거울로 달을 비춰 맺힌 이슬을 모아 만든 맑은 물인 명수(明水)를 담고, 황이에는 검은 기장에 울금향(鬱金香)을 넣어 빚은 향기 나는 술인 울창주(鬱鬯酒)를 담았으며, 겨울과 납일의 제사에서는 이와는 반대로 황이에 명수를 담고, 가이에 울창주를 담았다.
황이 울창주 goesWith 가을 제사
황이 명수 goesWith 겨울과 납일의 제사
황이 가을제사_울창주 goesWith 가을제사
황이 겨울제사_명수 goesWith 겨울과 납일의 제사
가이 화가(禾稼) depicts 가(斝)는 가(稼)로 읽으니, 가이(稼彝)는 화가(禾稼)를 그린 것이다. 황이(黃彝)는 황목(黃目)의 준(尊)이다. 황목(黃目)은 황금(黃金)으로써 눈[目]을 만든 것이니, 울기(鬱氣)가 준(尊)에 올라가매, 황(黃)은 중(中)이요, 눈[目]은 기(氣)의 청명(淸明)한 것이다. 술잔 속에 술을 따라서 밖에 청명함을 말한 것이다. 가을 제사[秋嘗]와 겨울 제사[冬烝]에 강신(降神)할 적엔 가이(斝彝)와 황이(黃彝)를 사용
황이 황목(黃目) depicts
계이 동방 isRelatedTo 대저 닭은 동방(東方)의 생물(生物)이니 인(仁)이요, 새[鳥]는 남방(南方)의 생물(生物)이니 예(禮)이다. 이것이 선왕께서 봄 제사와 여름 제사에 사용하는 까닭이다. 봄에는 계이(鷄彝)에 명수(明水)를 채우고, 조이(鳥彝)에 울창(鬱鬯)을 채우며, 여름에는 조이에 명수(明水)를 채우고, 계이(鷄彝)에 울창(鬱鬯)을 채운다.
조이 남방 isRelatedTo
계이 인(仁) isRelatedTo
조이 예(禮) isRelatedTo
가이 의(義) isRelatedTo 상(商)나라에서는 가이(斝彝)를 사용하고, 주(周)나라에서는 황목(黃目)을 사용
황이 신(信) isRelatedTo
가이 상(商)나라 isUsedIn
황이 주(周)나라 isUsedIn
가이 백색 isRelatedTo
황이 황색 isRelatedTo
가이 음(陰)의_질(質) isRelatedTo
황이 음(陰)의_미(美) isRelatedTo
세종실록오례 계이 documents
세종실록오례 조이 documents
세종실록오례 가이 documents
세종실록오례 황이 documents

Spatial Data

Spatial Information Nodes

gid region label hanja latitude longitude altitue description

Spati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Temporal Data

Temporal Information Nodes

tid timeSpan label hanja lunarDate solarDate indexDate description

Tempor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Online Referen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도설 세종실록오례 길례 서례 / 제기도설 / 계이 http://sillok.history.go.kr/id/kda_20002008_013
도설 국조오례의 계이 http://kyudb.snu.ac.kr/book/text.do?book_cd=GK00185_00&vol_no=0001
참고 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 계이 http://kyujanggak.snu.ac.kr/dohae/sub/schDetail.jsp?no=D0073&category=A&sWord=계이
참고 한국전통지식포탈 계이 https://www.koreantk.com/ktkp2014/search-all/search-by-keyword.page?target=ALL&keyword=계이
참고 조선왕조실록사전 계이(鷄彛)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3447
참고 위키 실록사전 계이(鷄彛)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계이(鷄彛)
참고 AKS Encyves 계이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계이
도해 세종실록오례 계이 http://sillok.history.go.kr/images/slkimg/ida_040007b01.jpg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title publication edition URL
박봉주, 「조선시대 국가 제례(祭禮)와 변두(豆)의 사용」, 『동방학지』159,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2.
박봉주, 「조선시대 국가 祭禮와 준․뢰의 사용」, 『조선시대사학보』58, 조선시대사학회, 2011.
박수정, 「조선초기 의례(儀禮)제정과 희준(犧尊)·상준(象尊)의 역사적 의미」, 『조선시대사학보』60, 조선시대사학회, 2012.
최순권, 「종묘제기고(宗廟祭器考)」, 『종묘대제문물』60, 궁중유물전시관, 2004.
최순권, 「조선시대 이준(彛尊)에 대한 고찰」, 『생활문물연구』14, 국립민속박물관, 2004.
정소라, 「조선전기 길례용 분청사기 연구 -충효동요지 출토유물을 중심으로-」, 『미술사학연구』223, 조선시대사학회, 1999.
하은미, 「종묘제기와 조선시대 제기도설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김종일, 「조선후기 종묘제기와 유기장의 제작기술 연구」, 한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김종임, 「조선왕실 금속제기 연구 : 종묘제기를 중심으로」, 『미술사학연구』제277호, 한국미술사학회, 2013.
손명희, 「조선의 국가 제사를 위한 그릇과 도구」, 『조선의 국가의례, 오례』, 국립고궁박물관, 2015, 85~136쪽.
이귀영, 「종묘제례의 제기와 제수의 진설 원리」, 『한국미술사교육학회지』제27호,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3.
윤방언, 『조선왕조 종묘와 제례』, 문화재청, 2002.
국립고궁박물관, 『종묘, 조선의 정신을 담다』, 국립고궁박물관, 2014.
궁중유물전시관, 『종묘대제문물』, 궁중유물전시관, 2004.

Notes

  1. 박봉주, "계이", 『조선왕조실록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박봉주, "조이", 『조선왕조실록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박봉주, "가이", 『조선왕조실록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박봉주, "황이", 『조선왕조실록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Semantic Network Graph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