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raft 궁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Korea100
이동: 둘러보기, 검색
(연구원 검토)
(연구원 검토)
49번째 줄: 49번째 줄:
 
|의견1=궁궐 원고는 황인희의 원고와 황정욱의 원고가 중복되므로 2개의 원고를 하나로 합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원고의 출처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궁궐, 그날의 역사>만 제시되어 있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및 <궁궐, 그날의 역사>에 나와 있는 내용과 차별성이 있는 집필이 필요하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궁궐, 그날의 역사>의 내용을 발췌 인용하였다면 정확한 출처 표시가 필요하다.   
 
|의견1=궁궐 원고는 황인희의 원고와 황정욱의 원고가 중복되므로 2개의 원고를 하나로 합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원고의 출처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궁궐, 그날의 역사>만 제시되어 있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및 <궁궐, 그날의 역사>에 나와 있는 내용과 차별성이 있는 집필이 필요하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궁궐, 그날의 역사>의 내용을 발췌 인용하였다면 정확한 출처 표시가 필요하다.   
 
|의견2=
 
|의견2=
- 2개의 원고 중 황인희 집필 원고가 내용이 더 충실하다. 황인희 원고를 중심으로 황정욱 원고 중 일부를 포함하여 보완하면 좋을 듯하다.
+
- 2개의 원고 중 황인희 집필 원고가 내용이 더 충실하다. 황인희 원고를 중심으로 황정욱 원고 중 일부를 포함하여 보완하면 좋을 듯하다.<br/>
- 황인희 원고 보완 및 수정할 내용
+
- 황인희 원고 보완 및 수정할 내용<br/>
① 조선의 임금들은 왕릉에 성묘하러 갈 때를 제외하고는 거의 궁궐을 벗어나지 않고 그 안 궁궐에서 주요한 대부분의 에서 모든 일을 처리했다. → 왕릉에 참배 또는 능행으로 고칠 것,  
+
① 조선의 임금들은 왕릉에 성묘하러 갈 때를 제외하고는 거의 궁궐을 벗어나지 않고 그 안 궁궐에서 주요한 대부분의 에서 모든 일을 처리했다. → 왕릉에 참배 또는 능행으로 고칠 것, <br/>
② 제6대 임금 세조 때부터 → 세조 임금은 제7왕  
+
② 제6대 임금 세조 때부터 → 세조 임금은 제7왕 <br/>
③ 대비는 전 왕이나 전전 왕의 왕비로 대부분 현재 왕의 어머니나 할머니이인 경우가 많다.
+
③ 대비는 전 왕이나 전전 왕의 왕비로 대부분 현재 왕의 어머니나 할머니이인 경우가 많다.<br/>
④ 덕수궁(德壽宮)의 본래 이름은 경운궁(慶運宮)이다. 원래 왕족의 집이었는데 임진왜란 때 궁궐이 불타버려서 돌아갈 곳을 잃은 선조는 이 집에 들어와 살았고 이후 궁궐 대접을 받게 되었다. : 우리가 일반적으로 덕수궁이라고 일컫고 있는데 공식명칭은 경운궁이다. 경운궁에서 광해군과 인조의 즉위식이 거행되었다는 것 정도는 포함시키면 궁궐로서의 위상을 설명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
+
④ 덕수궁(德壽宮)의 본래 이름은 경운궁(慶運宮)이다. 원래 왕족의 집이었는데 임진왜란 때 궁궐이 불타버려서 돌아갈 곳을 잃은 선조는 이 집에 들어와 살았고 이후 궁궐 대접을 받게 되었다. : 우리가 일반적으로 덕수궁이라고 일컫고 있는데 공식명칭은 경운궁이다. 경운궁에서 광해군과 인조의 즉위식이 거행되었다는 것 정도는 포함시키면 궁궐로서의 위상을 설명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br/>
⑤ 1905년 을사늑약으로 일본은 대한제국의 외교권국권을 빼앗았다.
+
⑤ 1905년 을사늑약으로 일본은 대한제국의 외교권국권을 빼앗았다.<br/>
⑥ 을사늑약과 헤이그 밀사 파견도 모두 경운궁(에 소속된 중명전)에서 이뤄졌다.  
+
⑥ 을사늑약과 헤이그 밀사 파견도 모두 경운궁(에 소속된 중명전)에서 이뤄졌다. <br/>
⑦ 순종은 아버지가 사는 경운궁의 궁호를 덕수궁으로 바꾸었다. ‘덕수’는 아버지의 덕을 찬양하고 장수를 기원하는 마음에서 지은 이름이다.  : 덕수궁의 명칭은 일제가 ‘경운궁’의 품위를 깍으려고 만들었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사실 관계를 확인한 후, 사실이면 이 부분은 없애도 될 것 같습니다.  
+
⑦ 순종은 아버지가 사는 경운궁의 궁호를 덕수궁으로 바꾸었다. ‘덕수’는 아버지의 덕을 찬양하고 장수를 기원하는 마음에서 지은 이름이다.  : 덕수궁의 명칭은 일제가 ‘경운궁’의 품위를 깍으려고 만들었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사실 관계를 확인한 후, 사실이면 이 부분은 없애도 될 것 같습니다. <br/>
⑧ 경희궁은 조선후기 이궐로 많은 왕들이 즉위를 하고 집무를 보았던 왕궁으로 알고 있습니다. 다른 궁궐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너무 내용이 약소합니다. 좀 더 보충했으면 합니다.  
+
⑧ 경희궁은 조선후기 이궐로 많은 왕들이 즉위를 하고 집무를 보았던 왕궁으로 알고 있습니다. 다른 궁궐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너무 내용이 약소합니다. 좀 더 보충했으면 합니다. <br/>
- 황인희 원고에서 내용을 요약, 축소했으면 하는 내용 : 경복궁은 고종의 아버지 흥선대원군의 건의로 다시 지어졌다. 흥선대원군은 왕실의 권위를 회복하고 나라의 체통을 바로잡기 위해 경복궁(을 중건하였다) 중건에 힘을 쏟았다. 그런데 어렵게 다시 지어진 경복궁에서 조선 역사상 최악의 비극이 발생했다. 1895년 경복궁에서 (을미사변이 일어났고) 조선의 왕비 명성황후가 일본인의 칼에 맞아 세상을 떠난 것이다. 생명의 위협을 느낀고종은 (1896년)  세자와 함께 러시아 공사관으로 몸을 피했고 이때 이후 경복궁은 궁궐로 쓰이지 않았다.  
+
- 황인희 원고에서 내용을 요약, 축소했으면 하는 내용 : 경복궁은 고종의 아버지 흥선대원군의 건의로 다시 지어졌다. 흥선대원군은 왕실의 권위를 회복하고 나라의 체통을 바로잡기 위해 경복궁(을 중건하였다) 중건에 힘을 쏟았다. 그런데 어렵게 다시 지어진 경복궁에서 조선 역사상 최악의 비극이 발생했다. 1895년 경복궁에서 (을미사변이 일어났고) 조선의 왕비 명성황후가 일본인의 칼에 맞아 세상을 떠난 것이다. 생명의 위협을 느낀고종은 (1896년)  세자와 함께 러시아 공사관으로 몸을 피했고 이때 이후 경복궁은 궁궐로 쓰이지 않았다. <br/>
-  황인희의 글을 기본으로 하고, 황정욱 원고 중 포함시켰으면 하는 글은 다음과 같다.
+
-  황인희의 글을 기본으로 하고, 황정욱 원고 중 포함시켰으면 하는 글은 다음과 같다.<br/>
① 궁궐은 기능과 역할에 따라 6개의 영역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왕이 공식적으로 신하들을 만나 의식이나 연회 등 행사를 치르는 외전, 관료들이 일하는 궐내각사, 왕과 왕비의 일상생활이 이루어지는 내전, 세자와 세자빈이 사는 동궁, 왕실가족과 후궁, 상궁, 궁녀 등이 생활하는 공간, 그리고 휴식공간인 후원이다.  
+
① 궁궐은 기능과 역할에 따라 6개의 영역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왕이 공식적으로 신하들을 만나 의식이나 연회 등 행사를 치르는 외전, 관료들이 일하는 궐내각사, 왕과 왕비의 일상생활이 이루어지는 내전, 세자와 세자빈이 사는 동궁, 왕실가족과 후궁, 상궁, 궁녀 등이 생활하는 공간, 그리고 휴식공간인 후원이다. <br/>
② 5개 궁궐 중에서 원형이 가장 잘 보전된 창덕궁은 1997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록되어 있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는 동아시아 궁전 건축사에 있어 비정형적 조형미를 간직한 대표적인 궁으로 주변 자연환경과의 완벽한 조화와 배치가 탁월하다고 평가했다.   
+
② 5개 궁궐 중에서 원형이 가장 잘 보전된 창덕궁은 1997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록되어 있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는 동아시아 궁전 건축사에 있어 비정형적 조형미를 간직한 대표적인 궁으로 주변 자연환경과의 완벽한 조화와 배치가 탁월하다고 평가했다.  <br/>
③ 대한민국 수립 후 정부는 궁궐을 원형대로 복원하는 노력을 계속하고 있다. 일제가 경복궁의 국왕 집무실인 근정전을 가로막아 지은 조선총독부 청사는 철거되고 헐린 전각과 문루들을 단계적으로 복원하였다. 광화문도 2차례의 중건을 통해 가장 원형에 가깝게 복원되었다.  
+
③ 대한민국 수립 후 정부는 궁궐을 원형대로 복원하는 노력을 계속하고 있다. 일제가 경복궁의 국왕 집무실인 근정전을 가로막아 지은 조선총독부 청사는 철거되고 헐린 전각과 문루들을 단계적으로 복원하였다. 광화문도 2차례의 중건을 통해 가장 원형에 가깝게 복원되었다. <br/>
 
|의견3=
 
|의견3=
 
}}
 
}}

2017년 7월 29일 (토) 13:53 판

제목 조선의 왕조사가 고스란히 담긴 5대 궁궐
집필자 황인희
인물/기관/단체 태조, 세조, 고종, 흥선대원군, 명성황후, 문묘, 성균관, 순종, 순정효황후, 영친왕, 이방자 여사, 덕혜옹주, 성종, 대비
장소/공간 한양, 러시아 공사관, 낙선재, 환구단
사건 임진왜란, 을미사변, 을사늑약, 헤이그 밀사 사건, 일제강점기
개념용어 조선, 왕릉, 종묘와 사직, 대한제국



원고

서울에는 조선의 5대 궁궐인 경복궁, 창덕궁, 창경궁, 덕수궁, 경희궁이 있다. 궁궐은 ‘궁(宮)’과 ‘궐(闕)’을 합한 말이다. 궁은 임금과 신하들이 만나 나랏일을 보고 임금과 그 가족들이 생활하는 공간을 말한다. 궐은 궁궐을 지키기 위해 에워싸고 있는 담장과 망루, 출입문 등을 일컫는 말이다. 궁궐은 조정의 관료들이 업무를 보는 관청이 있는 구역, 임금이 신하들과 정치를 행하는 구역, 왕비 등 임금과 그 가족이 생활하는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조선의 임금들은 왕릉에 성묘하러 갈 때를 제외하고는 거의 궁궐을 벗어나지 않고 그 안에서 모든 일을 처리했다. 그러니 궁궐은 조선 왕조사는 거의 다 담고 있는 곳이라 할 수 있다. 조선의 궁궐은 나름의 독창적인 건축 양식으로 지어졌다. 또 궁궐을 짓고 수리를 할 때마다 백성들에게 피해가 가지 않도록 검소하게 지어야 함을 강조한 조선 임금들의 애민 정신이 반영되어 있다.

경복궁(景福宮)은 태조 1년인 1395년 9월, 조선 건국 후 가장 먼저 지어진 궁궐이다. 조선은 경복궁을 중심으로 한양에 새로운 도읍을 만들었다. 경복궁 주변에 국가의 근간이 되는 종묘와 사직을 세웠고 정신적 지주가 되고 교육을 담당할 문묘, 성균관도 만들었다. 하지만 제6대 임금 세조 때부터 임금들은 주로 창덕궁에서 지냈다. 1592년에 일어난 임진왜란으로 한양의 모든 궁궐이 다 폐허가 되어버렸다. 전쟁 후 궁궐들을 재건하였지만 경복궁은 폐허로 남은 채 제26대 임금 고종이 즉위할 때까지 버려져 있었다.

경복궁은 고종의 아버지 흥선대원군의 건의로 다시 지어졌다. 흥선대원군은 왕실의 권위를 회복하고 나라의 체통을 바로잡기 위해 경복궁 중건에 힘을 쏟았다. 그런데 어렵게 다시 지어진 경복궁에서 조선 역사상 최악의 비극이 발생했다. 1895년 경복궁에서 조선의 왕비 명성황후가 일본인의 칼에 맞아 세상을 떠난 것이다. 생명의 위협을 느낀 고종은 세자와 함께 러시아 공사관으로 몸을 피했고 이때 이후 경복궁은 궁궐로 쓰이지 않았다.

조선 제3대 임금 태종 때 지어진 창덕궁은 가장 많은 임금이 머문 궁궐이었다. 창덕궁은 자연을 거스르지 않고 지형 생긴 대로 지어진 자연 친화적 궁궐이다. 창덕궁의 낙선재는 대한제국 황실의 최후를 함께 한 장소이다. 마지막 황제 순종은 일제에게 국권을 빼앗긴 후 주로 낙선재에서 살았고 순종의 비인 순정효황후와 순종의 동생 영친왕의 비 이방자(李方子) 여사, 마지막 황녀인 덕혜옹주가 이곳에서 살다가 세상을 떠났다.

창덕궁의 후원은, 언덕과 물길, 숲 등 자연물은 인위적으로 바꾸지 않고 거기에 정자 등 휴식 공간을 세워 아름다움을 더한 정원이다. 자연 친화형 정원으로, 한국 전통 정원의 전형을 보여주고 있다.

창경궁은, 조선 제9대 임금 성종이 세 명의 대비를 위해 지은 궁궐이다. 대비는 전 왕이나 전전 왕의 왕비로 현재 왕의 어머니나 할머니인 경우가 많다. 임진왜란을 비롯한 전란과 몇 차례의 화재 때문에 불타버리고 다시 짓는 일을 거듭해야 했던 창경궁은, 1908년에 일본에 의해 전각들이 철거되는 수난을 겪었다. 그 자리에 동물원, 식물원 등이 세워지고 일본의 국화인 벚꽃이 가득 찬 일본식 공원이 되고 말았다. 해방 후에도 오랫동안 놀이공원으로 남아 있던 창경궁은 1986년에야 다시 궁궐의 모습을 되찾게 되었다.

덕수궁(德壽宮)의 본래 이름은 경운궁(慶運宮)이다. 원래 왕족의 집이었는데 임진왜란 때 궁궐이 불타버려서 돌아갈 곳을 잃은 선조는 이 집에 들어와 살았고 이후 궁궐 대접을 받게 되었다. 덕수궁이라는 이름은 1907년부터 쓰이기 시작했다. 을미사변 이후 러시아 공사관에 머물던 고종은, 1897년 경운궁으로 환궁했다. 이후 고종은 환구단(圜丘壇)을 세우고 대한제국 황제로 등극하였다. 그런데 1905년 을사늑약으로 일본은 대한제국의 국권을 빼앗았다. 이에 고종은 억울함을 다른 나라에 호소하려 1907년 헤이그에 밀사를 보냈다. 그런데 일본은 헤이그 밀사 사건의 책임을 물어 고종을 강제로 퇴위시켰다. 을사늑약과 헤이그 밀사 파견도 모두 경운궁에서 이뤄졌다. 일본은 새로 즉위한 순종을 창덕궁으로 옮기도록 하였다. 이때 순종은 아버지가 사는 경운궁의 궁호를 덕수궁으로 바꾸었다. ‘덕수’는 아버지의 덕을 찬양하고 장수를 기원하는 마음에서 지은 이름이다.

1623년에 완성된 경희궁은 조선의 궁궐 가운데 가장 많이 훼손된 궁궐이다. 일제강점기에 아예 없어졌다가 1980년 이후 일부만 다시 복원되었다.

출처 및 관련자료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 황인희, <궁궐, 그날의 역사>, 기파랑, 2014

관련자료

  • 『태조실록』
  • 『태종실록』
  • 『고종실록』
  • 『궁궐지(宮闕志)』
  • 『왕궁사』(이철원, 동국문화사, 1954)
  • 『서울특별시사』 -고적편-(서울시사편찬위원회, 1963)
  • 『한국건축사』(윤장섭, 동명사, 1980)
  • 『한국의 미』 14-궁실.민가-(신영훈 감수, 중앙일보 계간미술, 1984)
  • 『조선조궁중풍속연구』(김용숙, 일지사, 1987)
  • 『궁궐, 그날의 역사』(황인희, 기파랑, 2014)

연구원 검토

검토의견
궁궐 원고는 황인희의 원고와 황정욱의 원고가 중복되므로 2개의 원고를 하나로 합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원고의 출처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궁궐, 그날의 역사>만 제시되어 있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및 <궁궐, 그날의 역사>에 나와 있는 내용과 차별성이 있는 집필이 필요하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궁궐, 그날의 역사>의 내용을 발췌 인용하였다면 정확한 출처 표시가 필요하다.
- 2개의 원고 중 황인희 집필 원고가 내용이 더 충실하다. 황인희 원고를 중심으로 황정욱 원고 중 일부를 포함하여 보완하면 좋을 듯하다.

- 황인희 원고 보완 및 수정할 내용
① 조선의 임금들은 왕릉에 성묘하러 갈 때를 제외하고는 거의 궁궐을 벗어나지 않고 그 안 궁궐에서 주요한 대부분의 에서 모든 일을 처리했다. → 왕릉에 참배 또는 능행으로 고칠 것,
② 제6대 임금 세조 때부터 → 세조 임금은 제7왕
③ 대비는 전 왕이나 전전 왕의 왕비로 대부분 현재 왕의 어머니나 할머니이인 경우가 많다.
④ 덕수궁(德壽宮)의 본래 이름은 경운궁(慶運宮)이다. 원래 왕족의 집이었는데 임진왜란 때 궁궐이 불타버려서 돌아갈 곳을 잃은 선조는 이 집에 들어와 살았고 이후 궁궐 대접을 받게 되었다. : 우리가 일반적으로 덕수궁이라고 일컫고 있는데 공식명칭은 경운궁이다. 경운궁에서 광해군과 인조의 즉위식이 거행되었다는 것 정도는 포함시키면 궁궐로서의 위상을 설명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
⑤ 1905년 을사늑약으로 일본은 대한제국의 외교권국권을 빼앗았다.
⑥ 을사늑약과 헤이그 밀사 파견도 모두 경운궁(에 소속된 중명전)에서 이뤄졌다.
⑦ 순종은 아버지가 사는 경운궁의 궁호를 덕수궁으로 바꾸었다. ‘덕수’는 아버지의 덕을 찬양하고 장수를 기원하는 마음에서 지은 이름이다.  : 덕수궁의 명칭은 일제가 ‘경운궁’의 품위를 깍으려고 만들었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사실 관계를 확인한 후, 사실이면 이 부분은 없애도 될 것 같습니다.
⑧ 경희궁은 조선후기 이궐로 많은 왕들이 즉위를 하고 집무를 보았던 왕궁으로 알고 있습니다. 다른 궁궐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너무 내용이 약소합니다. 좀 더 보충했으면 합니다.
- 황인희 원고에서 내용을 요약, 축소했으면 하는 내용 : 경복궁은 고종의 아버지 흥선대원군의 건의로 다시 지어졌다. 흥선대원군은 왕실의 권위를 회복하고 나라의 체통을 바로잡기 위해 경복궁(을 중건하였다) 중건에 힘을 쏟았다. 그런데 어렵게 다시 지어진 경복궁에서 조선 역사상 최악의 비극이 발생했다. 1895년 경복궁에서 (을미사변이 일어났고) 조선의 왕비 명성황후가 일본인의 칼에 맞아 세상을 떠난 것이다. 생명의 위협을 느낀고종은 (1896년) 세자와 함께 러시아 공사관으로 몸을 피했고 이때 이후 경복궁은 궁궐로 쓰이지 않았다.
- 황인희의 글을 기본으로 하고, 황정욱 원고 중 포함시켰으면 하는 글은 다음과 같다.
① 궁궐은 기능과 역할에 따라 6개의 영역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왕이 공식적으로 신하들을 만나 의식이나 연회 등 행사를 치르는 외전, 관료들이 일하는 궐내각사, 왕과 왕비의 일상생활이 이루어지는 내전, 세자와 세자빈이 사는 동궁, 왕실가족과 후궁, 상궁, 궁녀 등이 생활하는 공간, 그리고 휴식공간인 후원이다.
② 5개 궁궐 중에서 원형이 가장 잘 보전된 창덕궁은 1997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록되어 있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는 동아시아 궁전 건축사에 있어 비정형적 조형미를 간직한 대표적인 궁으로 주변 자연환경과의 완벽한 조화와 배치가 탁월하다고 평가했다.

③ 대한민국 수립 후 정부는 궁궐을 원형대로 복원하는 노력을 계속하고 있다. 일제가 경복궁의 국왕 집무실인 근정전을 가로막아 지은 조선총독부 청사는 철거되고 헐린 전각과 문루들을 단계적으로 복원하였다. 광화문도 2차례의 중건을 통해 가장 원형에 가깝게 복원되었다.


검토 추후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