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저력을 보여준 2002년 한일월드컵

Korea100
Wlghkwk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8년 2월 18일 (일) 23:06 판 (참고문헌)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Eng icon.JPG


한국인의 저력을 보여준 2002년 한일월드컵

한·일 공동 개최로 치러진 17회 월드컵

2002년 5월 31일부터 6월 30일까지 한국과 일본에서 개최된 제17회 월드컵은 한국인들에게는 잊을 수 없는 감동의 사건이다. 전 국민이 ‘붉은 악마’라는 이름으로 하나가 되었고 한국인의 저력을 전 세계에 알린 계기였기 때문이다.

한국과 일본이 월드컵 주최국으로 결정된 것은 1996년 5월 31일 스위스 취리히 국제축구연맹 본부에서 열린 FIFA 집행위원회에서였다. 국제축구연맹(FIFA)이 주최한 월드컵 역사상 최초의 공동 개최였으며, 아시아 대륙에서 개최된 첫 번째 대회였다. 이 대회의 공식 명칭은 ‘2002 FIFA WORLD CUP KOREA/JAPAN’이며 대회 슬로건은 ‘새 천년, 새 만남, 새 출발’이었다.

이후 2000년 3월부터 2001년 11월까지 대륙별 지역 예선이 실시되었고, 2001년 12월 1일 부산에서 29개 본선 진출 팀과 개최국(한국과 일본), 지난 대회 우승국(프랑스) 등을 포함한 총 32개 팀이 조 추첨을 했다. 추첨 결과에 따른 본선 조별 리그를 시작으로 한국과 일본의 20개 도시에서 64경기가 펼쳐졌다. 양국의 합의에 따라 개막식 및 개막전은 2002년 5월 31일 서울에서, 결승전은 6월 30일 일본 요코하마에서 치르게 되었다.

이 대회에서는 브라질이 우승하여 월드컵 5회 우승을 기록했고, 준우승은 독일, 3위는 터키, 한국이 4위를 차지하였다. 거스 히딩크 감독이 이끈 한국 대표팀은 7전 3승 2무 2패라는 성적으로 4강에 진출하는 신화를 이루었다.

붉은 악마, 새로운 응원문화를 보여주다

이 대회에서 특히 세계인의 눈길은 끈 것은 한국의 응원 문화이다. 월드컵 대회 기간 중 많은 인파가 붉은 옷을 입고 전국에서 길거리 응원을 펼쳤다. 이 길거리 응원은 ‘붉은 악마’라는 단체가 주도하였다. 붉은 악마는 1998년 프랑스 월드컵을 앞두고 축구 국가 대표 선수들을 조직적으로 응원하고자 만들어진, 비상업적 · 비정치적 활동을 지향하는 민간 단체이다. ‘붉은 악마’라는 명칭은 1983년 멕시코 세계 청소년축구대회에서 4강 신화를 이룩해 세계를 놀라게 했던 한국 청소년 대표팀을 현지 언론이 ‘붉은 악령(Red Furies)’이라고 부른 데서 유래한다.

붉은 악마는 단순한 관람자가 아닌 적극적 참여를 통해 축구를 즐기려는 축구팬들이 만든 단체이다. 자율적이고 민주적인 활동 원칙을 중시하고 폭력적 응원 문화로 변질되지 않도록 많은 주의를 기울였다. 대규모 동호회와도 같은 성격의 붉은 악마는 축구 관람 문화의 발전에 기여하는 동시에 국민의 염원을 하나로 모아 국가적 통합을 이루는 데 엄청난 역할을 해왔다.

붉은 악마는 서울 시청 앞 광장(서울 광장)이나 광화문과 같이 인파가 많이 모일 수 있는 길거리에서 조직적으로 응원을 주도하였다. 길거리 응원의 힘은 2002년 한일 월드컵에서 가장 강력하게 발휘되었다. 2002년 월드컵 당시 사람들은 대한민국의 승리를 기원하는 마음에서 서울광장, 광화문, 대학로는 물론, 전국의 체육관이나 학교 운동장 등 대형 스크린이 설치된 장소에 모였다. 그곳에서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다 같이 빨간색 티셔츠를 입고 ‘대한민국’이라는 구호를 외치며 대표 팀을 응원하였다.

전 국민이 붉은 악마가 되다

2002년 월드컵 대회가 시작할 무렵 응원단은 50만 명 정도였다. 그런데 한국 팀이 계속 승리하며 선전을 거듭하자 마지막에는 전 국민의 20%인 700만 명까지 응원에 참여하였다. 단순히 축구 애호가들의 행사가 아니라 국민 대부분이 ‘붉은 악마’ 티셔츠를 입고 참여한 축제의 장이 되었다. 길거리 응원으로 월드컵은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다 함께 즐겁게 참여할 수 있는 스포츠 행사가 될 수 있었다. 길거리 응원은 현재 FIFA 월드컵에서 대한민국 국가 대표 팀 응원을 상징하는 고유문화로 자리 잡았다.

2002년 한일 월드컵 개최로 한국은 그 이름을 세계에 널리 알리고 국제적 위상을 한층 더 높일 수 있었다. 4강 신화와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은 열렬한 응원은 한국 축구의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렸으며 한국 국민들에게도 자신감을 불어넣어 주었다.

관련항목

참고문헌

  • 월드컵의 역사에 대해 더 알고 싶다면...
김정훈, 『축구에 관한 모든 것. 11, 월드컵』, 사람들, 2013.
마쓰오카 히로시, 『월드컵의 역사』, 푸른미디어, 2001.


『축구에 관한 모든 것. 11, 월드컵』은 축구에 대한 지식을 종합 정리한 총서 가운데 월드컵에 대한 전문 지식들을 망라해 소개하고 있는 책이다. 현재 월드컵은 전세계에서 치러지는 가장 성대한 상업적 행사로 성장했으며, 이에 대한 다양한 내용들이 이 책에 정리되어 있다. 저자는 월드컵을 주관하고 있는 FIFA의 역할과 기능, 그리고 개최국의 선정 과정들을 자세히 소개하면서 제1회 대회인 1930년 우루과이 대회에서부터 2010년 남아공월드컵까지 월드컵의 역사를 상세하게 다루며 그 면면들을 이야기하고 있다. 월드컵에 대한 상세한 정보와 지식을 얻는 데 매우 유용한 책이다.

『월드컵의 역사』는 전세계 축구의 대제전인 FIFA 월드컵의 역사와 주요한 이슈들을 모아 정리하고 있는 책이다. 저자는 제1회 우루과이 대회에서부터 2002년 한일월드컵까지 각 대회가 가지고 있던 그 이면의 의미들을 소개하였다. 근대 축구의 역사를 열면서 그 종주국인 영국을 넘어 전세계의 스포츠로 발돋움하기 시작했던 제1회 대회에서부터 독재자 무솔리니 정권을 강화시키는 데 일조했던 제2회 이탈리아 대회, 전후 식민지 국가들의 새로운 출발을 알린 제5회 스위스 대회와 통일 독일의 찬가를 드높였던 제14회 이탈리아 대회, 역사상 최초의 공동개최를 이뤄낸 제17회 한일월드컵까지 각 대회의 이면에 투영된 시대상과 의미들을 도출하며 친근하게 설명해 주고 있다.


  • 한국축구와 한국축구의 역사에 대해 더 알고 싶다면...
김병욱, 『한국 축구의 현재와 미래 그리고 K-리그』, 킴스정보전략연구소, 2015.
존 듀어든, 『존 듀어든의 거침없는 한국축구 : 한국 축구를 사랑하는 축구 저널리스트의 거침없는 하이킥』, 산책, 2010.
강준만, 『축구는 한국이다 : 한국 축구 124년사, 1882-2006』, 인물과 사상사, 2006.


『한국 축구의 현재와 미래 그리고 K-리그』는 한국의 프로축구인 K리그에 대해 정밀한 분석을 시도하고 있다. 한국축구는 일반적으로 국가대표팀의 활약과 활동으로만 인식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이 책은 한국의 프로축구 리그인 K리그에 주목해 그 상세한 내용들을 분석하고 소개하였다. 각 나라의 축구 발전과 그 토양은 모두 해당 나라의 프로축구 리그에서 찾기 마련이다. 그러나 한국사회에서는 오히려 프로축구리그에 대한 관심은 극히 드물고 거꾸로 국가대표팀에만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기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에 저자는 K리그의 역사와 면면들, 그리고 해외 다른 리그와 비교해 K리그의 발전 과제와 숙제들이 무엇인지 상세하게 비평하고 있다.

『존 듀어든의 거침없는 한국축구 : 한국 축구를 사랑하는 축구 저널리스트의 거침없는 하이킥』은 외국인 스포츠 기자인 저자가 한국 축구의 모든 것을 분석하여 정리하고 있는 책이다. 종래 한국축구에 대한 인식과 선입견 속에서 충실한 비평보다는 감정적인 지적에 익숙한 상황에서 객관적인 시선으로 한국축구를 분석하고 있다는 점에 이 책의 의미가 있다. 특히 국가대표 축구에 대한 관심을 넘어 한국의 프로축구 리그를 매우 정밀하게 접근해 분석하고 있다는 점은 이 책이 주고 있는 신선한 차별성이다. 주로 최근 10년간 주요 이슈가 되었던 한국 축구의 현안들이 중심을 이루고 있는데, 향후 한국축구의 성장과 발전을 위해 많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아울러 외국인의 시선으로 바라본 한국 축구의 면면들을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축구는 한국이다 : 한국 축구 124년사, 1882-2006』은 한국 축구 124년의 역사를 종합적으로 정리해 소개하고 있는 책이다. 저자는 한국 축구의 역사책으로 이 책을 기술하면서 단순한 공놀이가 아니라 역사와 시대의 한 일면을 반영하는 현상적 차원으로 축구에 대해 접근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1882년 인천으로 축구공을 싣고 들어온 영국 군함을 통해 처음 축구가 전래된 이래 2002년 월드컵 4강의 위업을 이루기까지 그 서사적 전개 과정을 담담하게 담아내었다. 그는 개화기에서 일제강점기까지의 축구가 일종의 민족의 울분을 해소하는 카타르시스 차원에서 사랑받아왔다면, 해방 이후에는 가난과 시련을 치유하는 열정으로 축구가 수용되어 왔다고 보았다. 특히 1970년대 들어 정부 주도의 축구 중흥기가 한국 축구의 급격한 성장을 가져왔던 데 반해, 그 성공이 거꾸로 이후 한국 축구에 어두운 그림자를 드리우는 원인이 되기도 했다고 지적하고 있다. 한국 축구의 역사를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 붉은악마에 대해 더 알고 싶다면...
이어령, 『붉은 악마의 문화코드로 읽는 21세기』, 중앙M&B, 2002.
안민석 외 공저, 『월드컵, 그 열정의 사회학』, 한울아카데미, 2002.


『붉은 악마의 문화코드로 읽는 21세기』는 하나의 사회적, 문화적 현상으로서 붉은악마 현상에 대해 분석을 시도하고 있는 책이다. 저자는 붉은악마와 관련한 여러 가지 요소들 속에 다양한 문화적 코드가 숨어있다고 보고 이것은 한민족의 민족성 문화적 뿌리에서 그 근원을 찾을 수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왜 하필 붉은 색인지? 그들이 내세운 심볼이 왜 하필 치우천왕인지?, 특유의 손뼉 응원은 어디서 기원한 것인지? 왜 그들은 굳이 거리로 쏟아져 나왔는지? 이 모든 것들이 한민족이 가지고 있는 문화적 속성으로 설명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단순한 축구 국가대표팀 응원단이 아니라 한국 사람들의 문화적 코드를 발현시킨 붉은 악마였기에 그만큼 큰 호응을 얻을 수 있었다는 것이 저자의 결론으로, 붉은 악마와 관련해 흥미롭고 풍부한 이해를 돕고 있다.

『월드컵, 그 열정의 사회학』은 2002년 월드컵 당시 활약했던 붉은 악마의 활동과 그 의미를 사회학적 관점에서 접근해 분석하고 있는 책이다. 이 책은 붉은 악마 현상이 어떻게 형성될 수 있었으며, 그것이 어떠한 상징체계를 가지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저자는 그것이 일종의 ‘즐거운 혁명’에 해당한다고 규정하면서 거대한 군중과 미디어 동원의 양상이 일종의 사회학적 현상에 해당한다고 보았다. 동시에 성별화된 한국 사회에서 붉은 악마를 통해 나타난 길거리 응원 문화가 여성을 해방시킨 일종의 혁명적 사건에 해당한다는 분석을 함께 제시하기도 하였다. 이 책은 한국 사회의 스포츠와 축구의 발전 도상에서 다양한 발전적 모색이 필요하다는 관점에서 붉은 악마 현상은 단순한 열기를 넘어 한국 사회를 진단할 수 있는 일종의 사회적 현상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입장을 줄곧 견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