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raft 기독교

Korea100
김선미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8월 1일 (화) 04:06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제목 1. 한국 최대의 종교
2. 자벌적으로 받아들인 기독교
3. 피로 정착된 한국 기독교
집필자 신현덕
인물/기관/단체 프란치스코 교황, 이승훈, 알랜, 언더우드, 아펜젤러)
장소/공간 화성시, 세종문화문화광장, 장연군,
사건 제암리 학살사건, 시복시성식
개념용어 시복, 복자, 순교, 기독교, 신교, 가톨릭교, 그리스정교,



원고

기독교인용 오류: <ref> 태그를 닫는 </ref> 태그가 없습니다 그 뒤 정식으로 한국에 가톨릭교가 전래된 것은 중국을 방문한 조선인들을 통해서였다. 조선이 선진문물을 받아들이는 창구역할을 했던 베이징에 간 조선인들은 그곳에 머물고 있던 서양 선교사들과 교류했다. 서양문물에 관한 관심을 가졌든 이들은 종교라기보다는 지식습득을 위해서 관련서적을 구해 읽으면서 천주교를 접했다. 그중 대표로 인질로 중국에 가 있던 소현세자(1612~1645년)가 베이징에 머물던 선교사로부터 천주상, 천구의, 천문서 등을 선물로 받았다고 전한다. 소현세자는 서학보급에 큰 관심을 가졌으나, 귀국한 그 해 급작스런 죽음으로 더 이상 진전되지 못했다. 조선인 최초의 신도 이승훈(李承薰)은 1784년 북경에서 영세를 받았다. 그 뒤 순조롭게 전교가 이루어지던 중 1791년 조상제사를 거부한 신도들이 처형되는 신해박해가 일어났다. 곧이어 1794년 말에는 중국인 주문모 (周文謨) 신부가 조선교회에 최초로 파견되었다. 계속된 7차례의 커다란 박해로 주문모 등 외국인 신부는 물론 1만여 명의 조선인들도 가톨릭교를 믿는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목숨을 잃었다.[1] 박해의 주요 이유로는 아버지와 왕을 부정한다는 것이었다. 이들은 유교의 교리 중 하나인 삼강오륜을 크게 위반했다는 죄목으로 처형됐다. 조선 개화기에 이르러 가톨릭교는 언론과 교육을 통해 개회운동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였다. 그것은 동시에 애국계몽운동이기도 하였다. 로마 교황청은 1984년 순교한 한국인 103위 성인의 시성식을 거행했고, 2014년 8월 16일에는 124위를 위한 시복 미사를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거행했다. 시복식을 집전한 프란치스코 교황은 순교자들을 복자로 선포했으며 5월 29일을 그분들의 축일로 허락했다. 1981년의 ´조선교구 설정 150주년 기념행사’와 1984년의 ‘한국 천주교회 창설 200주년 기념사업’ 등은 한국 가톨릭교회의 쇄신과 발전에 새로운 계기를 마련했다. 한국 전쟁이후 무자비한 경제발전 시기에 명동성당 등 가톨릭교회는 민주화에 많은 기여를 하였다. 한국의 가톨릭교는 많은 피를 흘리며 어렵게 정착, 우여곡절을 겪으면서 줄곧 교세가 성장해 왔다. 현재(2014년) 389만여 명이 믿고 있으며, 2,051개의 성당 건물이 있다. 한편 한국에 신교가 전래된 것은 가톨릭교회보다는 늦으며. 한국인 최초의 교인은 1883년 만주에서 세례를 받은 서상륜이다. 그는 성서를 한국어로 번역하고 출판에도 참여했다.인용 오류: <ref> 태그를 닫는 </ref> 태그가 없습니다) 이화여대(메리 f.스크랜튼이 설립한 이화학당이 모태[2]) 배재학당(아펜젤러 설립[3]) 등 한국의 초기 교육기관과 왕립병원인 광혜원(알렌 설립)으로 출발한 세브란스병원 등의 의료기관 설립을 들 수 있다. 신교는 가톨릭교보다는 비교적 순조롭게 정착했으나 일제 강점기와 6.25 전쟁 때 많은 희생자를 냈다. 일제 강점기 때 독립운동을 이끈 민족 대표 33인에는 이승훈 길선주 등 16명이 포함돼 있으며, 경기도 화성시 제암리 학살 사건[4]에서는 무고한 신도들이 대량으로 학살당했다. 한국기독교순교자기념관에는 일제 강점기 항일 운동을 하다 순교한 2,600명 중 주기철 목사를 비롯한 순교자 600여 명이 헌정되어 있다. 새문안교회 등이 민주화 운동이 기여했으며, 한국의 CBS라디오방송은 한국 최초의 민간 방송으로 독재정권과 맞서 공정보도를 했고, 극동방송은 선교사 파견이 불가능한 북한 등 사회주의 국가 선교를 위해 설립돼 현재도 방송중이다. 신교는 1884년을 한국 전래연도로 삼았고, 100년이 되는 1984년 100주년 기념교회를 건립하는 등 대대적인 기념행사를 거행했다. 한국의 신교 신도 수는 967만 여명으로 한국의 종교 중 가장 많으며, 교회의 건물도 55,767개에 달한다. 신도 수가 10만 명을 넘는 대형교회도 있다.


주석

  1. 명동대성당 홈페이지 「한국천주교 교회사」
  2. 이화여지대학교 홈페이지 http://www.ewha.ac.kr/mbs/ewhakr/subview.jsp?id=ewhakr_010601010000
  3. 배재고등학교 홈페이지 http://www.paichai.hs.kr/?c=1/11
  4. 문화재청 홈페이지 ‘화성 제암리 3·1운동 순국 유적’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3,02990000,31 3·1운동때 일제가 독립운동을 가장 잔인한 방법으로 탄압한 학살현장이다. 1919년 3월 10일경에 안종린·안정옥 등이 서울에서 독립선언문과 격문을 입수하고, 3월 25일에 뒷산에 올라가 마을 사람들과 함께 봉화를 올리고 만세를 외쳤다. 그후 4월 5일에 발안장날에 주민들에게 나누어주고, 교회 청년들과 시장에 모인 주민들이 만세를 부르고 시가행진을 하였다. 이에 일본 경찰이 무차별 사격과 매질을 가해 많은 부상자가 발생하였다. 격분한 군중들은 돌을 던져 경찰부장을 죽였다. 4월 15일 일본군은 제암리를 완전히 포위하고 15세 이상의 남자는 모두 교회당으로 모이게 한 후, 출입문과 창문을 밖에서 잠그고 일제히 집중사격을 했다. 또 교회당 밖으로 시체를 끌어다 모아 다시 그 위에 짚을 쌓아 불을 질렀다. 이때 무참히 살해된 주민은 어린이를 포함하여 23명이었다. 일본군은 다시 마을을 다니며 민가에 불을 지르고, 이웃마을 고주리에서는 주민들을 마구 칼로 찔러 죽였다. 이 사건은 죄없는 주민들을 학살한 사건으로 일본이 저지른 잔악행위의 상징적인 사건이다. 1982년 제암리마을의 유일한 생존자인 전동례의 증언으로 이 지역을 발굴 조사하였다. 그 결과 23위의 유해와 희생자들의 조끼단추, 동전, 못, 병들이 함께 출토되어 이곳에 표석을 세우고 합동장례식을 거행하였다.

출처 및 관련자료

출처

  • 통계청

관련자료

연구원 검토

검토의견
“그 300년 뒤 정식으로 한국에 가톨릭교가 전래된 것은 중국을 방문한 조선의 사신들을 통해서였다.” : 300년이 아니라 “그 후 약 100년 뒤”가 아닌지 확인이 필요하다. 그리고 ‘1982년’는 오타이므로 정확한 연도를 표기해야 한다. 마지막 문단의 ‘기독교는 한국 민주화운동에 크게 기여했다. 이제는 북한동포 선교 활동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라고 서술되어 있는데, 민주화운동 및 북한동포 선교 활동에 기여하였던 내용을 간략하게 언급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해당 문장은 삭제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글의 출처 및 근거자료가 통계청만 제시되어 있다. 이 글에 대한 정확한 출처를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 내용의 짜임새를 다시 살펴보아야겠습니다. 내용이 산만한 인상을 줍니다.

- 그 300년 뒤 정식으로 한국에 가톨릭교가 전래된 것은 중국을 방문한 조선의 사신들을 통해서였다 → 소현세자가 청나라에 볼모로 잡혀가서 서구 문물을 접하게 된 것은 병자호란 이후로 임진왜란으로 부터 300년 뒤가 아닙니다.
- 서양학문 즉 실학으로 접근했다 : 서양학문이 실학이라고 잘못 읽을 수 있겠습니다. → 실학자들이 서구문물에 관심을 가지고 관련 서적을 읽는 과정에서 천주교 서적을 접하는 것으로 시작되었다.
- 천주교를 서학(西學)이 아닌 종교로서 받아들이게 된 실학자들에 대해 서술할 것. 이들은 한국 최초의 천주교 신자이며, 자발적으로 천주교를 받아들이게 된 인물들이다.
- 개신교가 한국에 들어올 수 있었던 개항기 정치적 상황을 설명할 것
- 서상륜은 한국이 아닌 중국에서 세례를 받은 것으로 보인다. 1883년에는 아직 선교사들이 한국에 들어오지 않은 시기이다. 서상륜이 중국에서 세례를 받을 수 있었던 배경을 설명할 것
- 한국의 사회개혁에 기여한 것으로 초기 교육기관과 의료기관을 들 수 있는데 이에 대해 주요 기관명과 각 기관이 가지는 의미를 설명할 것
- 일제강점기 개신교의 역할로 학교 및 교회가 독립운동의 주요 거점 역할을 한 것을 서술하는 것이 좋을 듯. 화성시 제암리 사건에 대해서 서술하려면 사건 자체에 대해 설명할 것

- 신약성경은 한국에 선교사가 들어오기 3년 전인 1982년에 번역되었다. → 정확한 년도 확인해서 수정할 것



교열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