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초고왕: 백제 역사상 최고의 전성기를 이룩하다

Korea100
Admin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2월 20일 (수) 11:15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Eng icon.JPG


근초고왕: 백제 역사상 최고의 전성기를 이룩하다

근초고왕 일러스트

근초고왕(近肖古王, ?∼375)은 346년부터 375년까지 재위했던 백제의 왕이다. ‘근초고’라는 이름은 ‘초고와 가까운’ 혹은 ‘초고와 닮은’이라는 뜻이다. 당시 백제에는 왕위를 둘러싼 내분이 일고 있었다. 개루-고이-책계-분서로 이어지는 세력과 초고-구수-비류로 연결되는 세력으로 나뉘어 세력 다툼을 했던 것이다. 책계왕과 분서왕이 피살된 후 비류왕이 왕위에 올랐지만 내분은 진정되지 않았다. 비류왕이 죽은 뒤 개루-고이계의 계왕이 왕위에 올랐으나 불과 2년 만에 숨지고, 비류왕의 둘째 아들인 근초고왕이 즉위했다. 초고왕계를 계승한 근초고왕은 ‘초고’ 앞에 가깝다는 뜻의 ‘근(近)’ 자를 붙여 왕명을 지음으로써 왕권의 계통을 확실히 하려고 했다.

백제 최고 전성기의 왕

근초고왕은 지방을 효율적으로 통제하기 위해 영역을 나누어 지방 통치 조직을 만들고 지방관을 파견하는 담로제(檐魯制)를 실시하였다. 이로써 지방 통치가 안정되었고 왕은 중앙 집권화에 집중할 수 있게 되었다. 강력한 왕권을 확립한 후 근초고왕은 대외 정복 활동을 활발하게 펴나갔다. 남쪽으로는 마한의 잔여 세력을 복속시킴으로써 전라도 지역 전부를 지배 영역으로 확보하였다. 그리고 낙동강 서쪽의 가야 세력도 백제의 영향권 안에 넣었다.

남쪽 지역을 평정한 후 근초고왕이 북쪽으로 진출하면서 남진 정책을 펴던 고구려와 대립하게 되었다. 371년 정예 기병 3만 명을 거느리고 나선 근초고왕은 평양성(平壤城) 전투에서 고구려의 고국원왕을 전사시키고 백제 사상 최대의 영토를 차지하였다.

또 중국이 호족(胡族)의 침입으로 분열된 시기를 이용하여 랴오시[遼西] 지방으로 진출해 그곳에 백제군(百濟郡)을 설치하였다. 근초고왕 시대에 이른바 ‘대륙 백제’가 만들어진 것이다. 근초고왕은 일본 쪽으로도 활발히 진출해 일본 내의 백제 계통 세력들과 긴밀한 관계를 가졌다. 일본의 이소노가미 신궁(石上神宮)에 간직되어 온 ‘칠지도(七支刀)’는 백제와 일본 내 백제 계통 세력과의 관계에 대한 물적 증거이다. 칠지도에 금석문자로 새겨진 명문(銘文)의 해석에는 다양한 의견이 있다. 하지만 이 칠지도가 근초고왕 때 만들어져 백제의 후왕(侯王 : 제후)인 왜왕(倭王)에게 하사된 것만은 분명해 보인다.

활발했던 해상 무역

이 시기 백제는 상업 활동도 활발하게 전개하였다. 중국 한(漢)나라 이후 중국 황해 연안에서 한반도의 서남 해안으로, 그리고 다시 일본 열도로 이어지는 해상 교통로는 중요한 무역로였다. 그런데 낙랑군과 대방군이 고구려에 의해 멸망되고 북중국에는 수로(水路)에 익숙하지 못한 호족이 들어서게 되자, 이 전통적인 해상 교통로와 무역로는 백제 차지가 되었다. 이로써 백제는 랴오시 지역에 설치한 무역 기지와 한반도와 일본에 살던 백제계 세력들을 연결하는 무역의 중심지가 되었다.

당시의 활발한 해상 무역의 흔적은 전라북도 부안 죽막동의 제사 유적에서 일부 찾아볼 수 있다. 삼국시대의 토기와 석제 모조품 등이 포함된 죽막동 제사 유적은 변산반도의 서쪽 해안 절벽 위에서 발견됐다. 주변 경작지에서도 당시 토기와 후대의 기와 조각들이 수습되었다. 이는 해상 무역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를 바라며 바다에 제를 올리던 당시의 신앙 유적일 것으로 추정된다.

일본에 전한 유학

근초고왕 시대에 백제는 여러 가지 새로운 문물과 문화를 일본으로 전해주었다. 한 예로는 왕인(王仁)아직기(阿直岐) 등을 일본에 보내 『천자문(千字文)』과 『논어(論語)』를 전해 줌으로써 일본에 유학 사상을 일으킨 것을 들 수 있다.

왕권이 확립되고 지배 영역이 확대되었으며 통치 조직이 정비되어 문화가 발전하자, 근초고왕은 박사 고흥(高興)에게 『서기(書記)』라는 국사 책을 편찬하게 하였다. 『서기』 편찬은 왕실 중심의 계보를 정리하고 왕실 전통의 유구성과 신성성을 과시하여 왕권의 위엄을 돋보이게 하려는 목적에서 이뤄졌다. 안타깝게도 『서기』는 지금 전하지 않는다. 이렇게 근초고왕 시대는 백제 역사상 최대 전성기를 이룬 시기였다.

관련항목

참고문헌

  • 근초고왕의 생애 및 영토 확장에 대해 더 알고 싶다면...
한성백제박물관, 『근초고왕 때 백제 영토는 어디까지였나』, 한성백제박물관, 2014.
이희진, 『근초고왕을 고백하다』, 가람기획, 2011.
김기섭, 『백제와 근초고왕』, 학연문화사, 2000.


『근초고왕 때 백제 영토는 어디까지였나』는 쟁점백제사 집중토론 학술대회의 내용을 책으로 옮긴 것이다. 백제의 동북방면 진출의 문헌적·고고학적 측면, 백제의 서남방면 진출의 문헌적·고고학적 측면 등의 주제로 구성되어 있다.

『근초고왕을 고백하다』는 백제의 최고 전성기를 구가했던 13대 근초고왕과 백제 중흥기의 중심에 있었던 26대 성왕의 역사를 재조명했다. 당시 주변정세를 토대로 백제의 역사적 위치를 살펴보고, 고구려, 신라를 비롯 가야, 왜 등 복잡한 국제관계 속에서 백제의 전성기를 이끌어낸 두 왕의 업적을 자세히 풀어냈다. 지도자다운 전략가의 면모를 보인 근초고왕과 동아시아 남부의 맹주 자리를 원했던 성왕의 실제 업적을 백제사를 통해 꼼꼼히 살펴보았다.

『백제와 근초고왕』은 근초고왕이 활동한 4세기를 중심으로 백제의 국가 성장과정을 고찰한 책이다. 백제의 13번째 왕인 근초고왕의 출생과 성장, 즉위와 군사활동, 정치활동 등을 일목요연하게 설명했다. 아울러 근초고왕의 시대와 문화에 대해도 언급했다.


  • 백제와 일본과의 관계에 대해 더 알고 싶다면...
김현구, 『백제는 일본의 기원인가』, 창작과비평사, 2002.
임동권, 『일본 안의 백제문화』, 민속원, 2005.


일본인들은 고대에 자신들이 이백여년 동안이나 한반도 남부를 지배했다고 가르쳤고 우리도 일본의 고대문화는 무엇이든 백제가 전해주었다든가 천황가는 백제에서 건너갔다고 배웠다. 이런 역사교육이 왜곡된 우월의식을 낳았고 그것은 양국관계를 잘못 이끌고 있다. 『백제는 일본의 기원인가』에서는 우리들이 궁금해하는 백제왕실과 일본 황실에 관계, 우리 조상들은 왜 일본에 갔고 그곳에서 무엇을 하였는지 임나일본부설은 어떻게 생겨났는지 김춘추는 왜 일본에 갔고 백촌강 싸움에 일본은 왜 대군을 보냈는지 등을 학문적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가능한 쉽고 재미있게 쓰려고 노력했다.

『일본 안의 백제문화』는 일본 안에서 발견되는 백제의 문화를 연구한 책이다. 일본 현지조사를 토대로 한국문화의 일본 전파를 알아보고 있다. 고대에 한국에서 일본에 전파한 문화는 없는지, 있으면 전파 후에 어떠한 변이가 있었는지 그 전파상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