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raft 베트남전(1955-1975)과 파병

Korea100
이혜영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7월 29일 (토) 14:16 판 (연구원 검토)

이동: 둘러보기, 검색
제목 베트남전(1955-1975)과 파병
집필자 황정욱



원고

한국은 1964년 9월부터 1973년 3월까지 4차례 국회동의를 거쳐 베트남에 한국군을 파견했다. 오스트레일리아·뉴질랜드·필리핀·타일랜드도 연합군의 일부로 베트남전쟁에 참전했지만, 참전 연인원 32만 명인 한국군의 파병 규모는 미군 다음으로 컸다.

베트남 전쟁이 일어나자 한국인들은 처지가 같은 월남에 일종의 연대감을 느끼게 되었다. 베트남은 한국과 더불어 냉전으로 남북이 분단된 나라였다. 남북간의 전쟁은 한국이 먼저 겪었지만, 미군을 주축으로 한 16개국 자유우방의 개입으로 침략을 물리쳤다.

한국의 반공우방인 월남을 군사적으로 돕는 것은 아시아공산주의 세력이 확산을 막고 한국전에 참전하여 한국을 북한의 침략으로부터 구해 준 자유우방에 보답한다는 명분이 있었다. 박정희 대통령은 “베트남 전선은 한국전선과 직결되어 있다”고 보았다. 그는 월남 지원은 한미상호방위조약을 강화하고, 한반도 전쟁억지력의 중추인 주한미군의 감축을 막을 수 있는 전략적으로 방안이라고 믿고 미국의 제의가 있기 전부터 월남파병을 미국에 제안했었다.

미국과 월남 정부가 마침내 공식으로 한국의 파병을 요청해오자 한국정부는 국회동의를 얻어 이동외과병원요원 130명과 태권도 교관단 요원 10명을 보냈다. 뒤이어 2차파병 요청이 있었고, 한국은 국회동의를 얻어 후방지원과 건설지원임무를 수행하는 2,000명 규모의 비전투부대를 파병했다

한국군의 제2차 파병이 있었던 1965년부터 베트남 전황은 더욱 치열해졌다. 이에 따라 미국과 남베트남 정부는 다시 한국에 1개 사단 규모의 전투부대 파병을 요청해왔다. 당시 미국은 본토의 예비 병력과 해외 주둔군의 일부를 베트남전에 투입하였기 때문에 주한 미군 2개 사단도 언제 월남으로 이동할지 모르는 상황이었다.

전투부대의 파병이 거론되자 한국 내 야당과 지식인들이 강력한 반대했다. 그러나 박정희 대통령은 “국가 안보가 최우선”이라는 판단아래 8월 13일 국회의 의결을 거쳐 수도사단과 제2해병여단의 파병을 결정하였다.

한국군은 월남전에서 강력한 전투력을 보여주었다. 전투병력 부족으로 애로를 겪고 있던 미국정부는 월남의 작전환경에 한국군이 가장 적합하다는 결론을 내리고 한국군 전투 병력의 증파를 다시 요청하였다. 한국정부에서도 “5만 명 선 까지는 무리가 없다.”는 판단을 내리고 있었기 때문에 1966년 3월 20일 국회의 의결을 거쳐 수도사단 제26연대와 제9사단의 파병을 결정하였다.

1969년 1월 미국의 대통령에 취임한 닉슨은 ‘베트남 전쟁의 베트남화 정책’을 내 걸고 월남에서의 단계적인 철군계획을 발표했다. 그 무렵 월남의 한국군의 병력은 47,860명을 유지하고 있었다. 한국은 1단계로 1972년까지 약 1만 명의 병력을 철수시켰다. 2개 보병사단을 주축으로 한 전투병력(37,000여 명)은 1973년 초 휴전이 될 때까지 계속 남아있었다. 월남의 한국군 병력규모는 1972년 후반기부터 미국의 지상군 규모를 능가하였다.

9년 동안 월남에 파견된 한국군은 연32만명이었다. 이중 5099명이 전사했고, 11,232명이 부상을 당했다. 참전 한국군 중 다수가 고엽제 피해로 우유증을 앓고 있다.

한국군의 남베트남 파병은 ‘자유우방에 대한 신의’라는 명분에서 시작되었다. 또한 당시의 시각에서 볼 때 베트남전쟁은 한반도의 안보와도 직결되는 것이었다. 따라서 한국군의 파병은 당시의 한국정부가 국내외적으로 여러 가지로 어려운 상황에서 결정한 국가의 생존 및 발전 전략으로써 역사의 큰 획을 긋는 중요한 사건이었다.

월남 패망과 함께 끊겼던 한국과 베트남의 관계는 1992년 국교를 재개했다. 1993년 포 반 키엣 수상이 방한하였으며, 1996년에는 김영삼 대통령이 베트남을 공식 방문했다. 김대중 대통령은 2001년 8월에 쩐득르엉 베트남 국가주석의 방한했을 때 "우리는 불행한 전쟁에 참여해 본의 아니게 베트남 국민들에게 고통을 준 데 대해 미안하게 생각하고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라고 공식 사과 하였다. 2004년 노무현 대통령도 베트남을 방문하였을 때 "우리 국민들은 마음의 빚이 있다. 그만큼 베트남의 성공을 간절히 바라고 있다"고 하였다.

수교 이후 한국과 베트남의 경제관계는 크게 발전하였다. 2015년 기준 베트남은 한국의 4번째 주요 수출국이 되었으며, 베트남에 세워진 삼성전자의 휴대폰 생산시설은 수만의 일자리를 만들고, 베트남의 국제수지를 흑자로 돌리는데 큰 기여를 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출처 및 관련자료

출처

  • 두산백과
  • 위키백과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관련자료

연구원 검토

검토의견
한국군의 베트남전 참전은 우리 역사상 처음으로 한국이 다른 나라의 전쟁에 개입했던 사건으로 한국현대사의 흐름을 바꾸어놓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이 글에서도 “한국군의~ 중요한 사건이었다.”라고 서술하고 있는 만큼 구체적으로 한국군의 베트남전 파병이 정치, 경제, 사회적으로 한국사회의 모습을 바꾸어놓는데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기술할 필요가 있다.
이 원고의 출처가 백과사전(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두산, 위키)만 제시되어 있다. 백과사전에 나와 있는 내용과 차별성이 있는 집필이 필요하며, 백과사전의 내용을 발췌 인용하였다면 정확한 출처 표시가 필요하다. 첫 페이지의 표 내용을 누락되어 있으므로 이를 작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 아시아공산주의 세력(의)이 확산을 막고 / 전략적(인)으로 방안이라고 믿고
- 베트남전 파병을 공산주의 세력의 확산을 막고 한국전에 참전한 자유우방에 대한 보답이라고 적고 있는데... 당시 베트남전 파병의 이유는 한국경제 발전을 위한 자금 및 시장 개척 등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알고 있는데, 이에 대한 내용은 없습니다. 이 부분에 대해 확인하고 베트남전 파병을 정치 군사 뿐 아니라 경제적인 측면과도 연결시켜 서술했으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