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raft 나라 살리기: 파독 광부와 간호원

Korea100
이혜영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7월 28일 (금) 01:18 판 (새 문서: {{기본정보 |제목= 나라 살리기: 파독 광부와 간호원 |집필자= 황정욱 |인물/기관/단체= |장소/공간= |사건= |기록물= |개념용어= |물품/도구/...)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제목 나라 살리기: 파독 광부와 간호원
집필자 황정욱



원고

1960년대 초, 한국은 한국전쟁의 피해에서 아직 벗어나지 못한 가난한 나라였다. 1962년도 인당 GNP는 87달러로 아프리카의 가나와 비슷했다. 실업률은 30%에 육박하고 있었다. 1961년 5.16군사혁명으로 집권한 박정희 정권은 산업화로 빈곤을 탈출하기 위해 경제개발계획을 수립했으나 외자의 부족으로 착수를 못하고 있었다.

남북한간의 대치, 4.19혁명과 5.16쿠데타 등 정정불안을 겪고 있는 한국은 외국투자가들에게 그리 매력 있는 투자처가 못되었다. 미국의 케네디 행정부는 한국의 군사혁명에 대하여 의구심을 갖고 있었고, 이웃 일본과는 아직 국교가 정상화되지 못한 상태였다.

미국과 일본으로부터 차관을 들여오는 것이 어려워지자 군사정부는 같은 분단국인 서독으로 눈을 돌렸다. 서독에 파견된 한국의 차관 교섭단은 1억5천 만 마르크의 상업차관 도입에 합의했다.. 그러나 서독의 상업차관을 얻는 데는 제3국 은행의 보증이 필요했다. 한국은 세계 어느 나라의 은행보증도 얻어올 능력이 없었다.

이때 서독 측이 제의한 것이 한국의 광산 노동력과 간호인력의 파견이었다. 한국인 광부 5천명과 간호인력 2000명을 서독에 보내주면 이들이 계약기간 3년 동안의 임금을 담보로 돈을 빌려주겠다는 것이었다. 라인강의 기적을 이룬 서독은 노동력부족으로 해외에서 인력을 수입하고 있었다. 특히 광부 일은 고되고 힘들어서 서독 노동자들이 꺼리기 때문에 인력부족이 심각했다.

이렇게 하여 ‘서독 파견 한국 광부 임시 고용계획’이 탄생하였고, 1963년 12월 양국간에 협정이 이루어졌다. 이 협정은 독일이 유럽권 밖의 국가에서 노동력을 들여오는 최초의 협정이었다. 또한 대한민국정부 수립 이후 첫 노동력 해외수출이었다.

당시 취업이 어려웠던 한국의 젊은이들은 서독파견 광부 모집에 대거 몰려들었다. 경쟁률이 8대1이나 되었고, 중학교졸업자 이상을 자격으로 했는데 대학교 졸업자가 20% 이상이었다. 2천명을 뽑는 첫 간호사 모집에는 2만 명이 응모했다. 1963년부터 1977년까지 8천명의 광부가 서독으로 건너갔다.

광부들의 월급은 164달러로 당시 한국의 기준으로는 많은 편이었다. 광부들은 생활비를 아껴 쓰고 남는 돈을 고국에 송금했다. 파독 근로자들은 약 10년에 걸쳐 한국에 총 1억164만 달러를 송금하였다. 1965년 한국의 연간 총 수출액이 1억 7508만 달러였던 걸 감안하면 큰 금액이었다.

독일에 파견된 한국인 광부 중에는 계약기간이 끝난 후 학업을 계속하여 학위를 받은 후 한국에 돌아와 대학교수가 된 사람도 있고, 미국으로 건너가 사업으로 성공한 사람도 많았다. 대부분은 은퇴하여 연금으로 살고 있다.

한국 간호사의 독일 파견은 독일의 여러 수도회와 한국 내 독일 가톨릭 교회의 중개로 1950년대 말부터 소규모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그러나 광부협정에 상응하는 한국 간호사의 독일 파견에 관한 공식 협정이 체결되어 대량파견이 이루어졌다. 1966년부터 10년 동안 서독에 파견된 간호사와 간호조무사는 모두 1만1천명이다. 서독에 파견된 광부와 간호사와 간호조무사들은 근면과 성실성으로 현지 업체와 병원의 인정을 받았다. 이들이 아껴서 송금한 돈은 외환이 부족한 고국의 경제에 큰 보탬이 되었다.

간호사들은 대부분 고용계약이 연장되어 장기간 근무했다. 일부 간호사들은 한국인 광부들과 결혼하여 독일에 정주했다. 독일인과 결혼한 여성도 많다. 파독 한국 간호사의 절반 이상은 독일에 계속 거주하고 있다. 오늘날 한국 이주노동자의 대다수는 루르 지역이나 라인란트 지역에 살고 있다. 이들은 독일 최대이자 서유럽에서 두 번째로 큰 한국 교민사회를 이루고 있다.

광부와 간호사 인력수출을 담보로 얻은 서독의 상업차관은 한국의 1차5개년 계획에 투입되었다. 비료공장, 기계공장, 광산중장비, 시멘트공장, 중소기업기계공장 등에 그 자금이 투자되었다. 한강의 기적은 서독의 상업차관으로 발동을 걸기 시작했다.

1964년12월, 선거에 의해 민정대통령으로 선출된 박정희는 서독을 국빈으로 방문하였을 때 광부와 간호사들을 만나 그들의 노고에 깊은 사의를 표하고 위로의 말을 전했다

출처 및 관련자료

  • 백영훈, 『한강에 흐르는 라인강의 기적』 , KID, 2001, KID
  • 주한독일대사관 웹사이트
  • 두산백과
  • 위키백과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관련자료

연구원 검토

검토의견
박정희 정부의 역할을 강조하기 보다는 한독 양국의 최초의 합의 인정, 한독 양자 간의 경제적 이해에 부합했다는 점, 파독 간호사와 광부들이 라인강의 기적에 일조했다는 점을 강조, 이들로 인하여 한국의 발전과 한강의 기적을 이룩하였다는 데 일조하였다는 점, 이들이 한독 우호관계의 주축을 이루었다는 점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이외에도 남해독일마을과 같이 사례도 추가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원고의 출처가 <한강에 흐르는 라인강의 기적>, 주한독일대사관 웹사이트, 백과사전으로 제시되어 있다. <한강에 흐르는 라인강의 기적>, 주한독일대사관 웹사이트, 백과사전에 나와 있는 내용과 차별성이 있는 집필이 필요하며, 한강에 흐르는 라인강의 기적>, 주한독일대사관 웹사이트, 백과사전의 내용을 발췌 인용하였다면 정확한 출처 표시가 필요하다.

첫 페이지의 표 내용을 누락되어 있으므로 이를 작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 맨 마지막 문단 “1964년 12월~~”을 “광부들의 월급은 164달러로 ~~”의 문단 다음으로 넣으면 어떨까 생각한다. 본 주제의 마지막 글은 “한강의 기적은~~”으로 끝나는 것이 더 좋을 듯하다.
- 현재 경상남도 남해에 ‘독일마을’이라고 불리는 파독 광부 간호사들이 살고 있는데, 이에 대해 설명해주는 것도 좋을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