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raft 신사임당
제목 | 조선 최고의 여성 화가, 신사임당 |
---|---|
집필자 | 황인희 |
인물/기관/단체 | 증좌한성 이원수, 율곡 이이, 신명화, 이사온, 안견 |
장소/공간 | 강릉 |
개념용어 | 조선 시대, 양반, 당호, 유교적 여성상, 진사, 유대관령망친정, 사친, 포도도, 자리도, 산수도, 초충도, 노안도, 연로도, 요안조압도, 초서 병풍 |
원고
신사임당(申師任堂, 1504∼1551)은 시 · 그림 · 글씨에 뛰어났던 조선 시대 여성 예술가이다. 조선 시대에는 여자에게 제대로 된 이름을 지어주지 않았기 때문에 양반집 여자를 부를 때는 그가 살던 집의 이름을 부르곤 했다. 이를 당호라고 했는데 사임당도 그녀의 이름이 아닌 당호이다.
남편은 증좌한성 이원수(李元秀)이고 조선 시대의 대표적 학자이며 경세가인 율곡 이이(李珥)가 그녀의 아들이다. 사임당은 뛰어난 학식과 재능을 바탕으로 남편과 가정을 이끌었던 능동적인 여성이었고 자식들에게도 행동과 실천으로 모범을 보였던 적극적인 어머니였다. 사임당은 자녀들을 지도할 때 모르는 것이 있으면 자신이 먼저 공부하여 이해한 다음에 가르쳤고 자식들과 수많은 편지를 주고받으며 어떻게 살아야 할지를 깨우쳐주었다. 남편의 권위에 무조건 순종하지 않고 토론을 통해 합리적인 결과를 이끌어냈다. 교양과 학문을 갖춘 예술인으로서, 현숙한 어머니와 아내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해낸 사임당은 조선 사회가 요구한 유교적 여성상에 만족하지 않고 독립된 인간으로서의 삶을 개척한 여성이다.
사임당의 아버지 신명화는 사임당이 13세 때인 1516년에 진사가 되었지만 벼슬에 나가지 않았다. 외할아버지 이사온은 사임당의 어머니를 아들처럼 여겨 결혼한 후에도 계속 친정에 머물러 살게 하였다. 그래서 사임당도 외가에서 자라났다. 19세에 결혼한 사임당은 처음에는 시집으로 가지 않고 친정에 머물렀다. 그 어머니와 마찬가지로 친정에 아들이 없었기 때문이다. 친정아버지가 세상을 떠난 후 3년상을 마치고 서울로 올라왔다. 그 후 사임당은 이따금 강릉의 친정에 가서 홀로 사는 어머니와 같이 지내기도 했으며 셋째 아들 이이도 친정에서 낳았다.
사임당은 예술에 천부적인 재능을 지녀 7세에 이미 안견(安堅)의 그림을 스스로 배웠다. 거문고 타는 소리를 듣고 눈물을 지었다든지 또는 강릉의 친정어머니를 생각하며 눈물로 밤을 지새웠다는 일화 등은 그녀가 섬세하고 예민한 감수성을 지녔음을 말해준다. 외할아버지의 예술과 학문 세계가 현철한 어머니를 통해 사임당에게 전수되어 그녀의 예술적 감수성 고양에 깊은 영향을 주었다. 사임당이 강릉 친정을 떠나 서울로 가면서 지은 ‘유대관령망친정(踰大關嶺望親庭)’이나 어머니를 생각하면서 지은 ‘사친(思親)’ 등의 시는 그녀가 어머니에 대해 얼마나 깊고 절절한 애정을 가졌는가를 보여주고 어머니가 사임당에게 얼마나 큰 영향을 끼쳤는가도 알 수 있게 해준다.
사임당은 풀벌레 · 포도 · 화조 · 매화 · 난초 · 산수, 물고기나 새 등을 주된 화제(畫題)로 삼아 섬세하고 아름다운 그림을 그렸다. 그녀의 작품 ‘포도도’는 채 영글지 않은 포도 열매가 주렁주렁 맺혀 있고 큼직한 이파리가 바람에 나부끼는 듯 세련되고 생기가 흘러넘친다. 아들 이이는 어머니의 그림이 담긴 병풍이나 족자는 세상에 많이 있는데 포도 그림만은 세상에서 누구도 흉내 낼 수 없다고 자랑했다.
사임당은 평소 자녀들에게 그림 그리는 방법에 대하여 “그림은 단순히 손재주만으로 그릴 수 없다. 우선 마음을 가다듬은 다음 그리고자 하는 대상을 자세히 관찰해야 한다. 곤충이든 식물이든 그 대상이 갖고 있는 실체를 확실히 파악하지 않으면, 그림을 그려도 생명력이 없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라고 가르쳤다.
실제로 그녀는 잎사귀와 줄기의 느낌 하나하나, 벌레의 다리 끝까지도 꼼꼼하게 그려냈고, 그림 속 물체의 색과 재질까지 특성에 맞게 잘 표현했다. 사임당의 그림은 주로 살아 움직이는 듯한 사실화여서 풀벌레 그림을 마당에 내놓아 볕에 말리려 하자 산 풀벌레인 줄 알고 닭이 쪼아서 종이가 뚫어질 뻔했다는 일화도 전한다.
사임당은 5남3녀의 자녀를 두었는데 그 중 셋째 아들 율곡 이이(李珥)가 어머니 사임당의 행장기를 저술했는데, 여기에 사임당의 예술적 재능, 우아한 성품, 정결한 지조 등을 자세히 기록하였다.
사임당의 작품으로는 ‘자리도(紫鯉圖)’ ‘산수도(山水圖)’ ‘초충도(草蟲圖)’ ‘노안도(蘆雁圖)’ ‘연로도(蓮鷺圖)’ ‘요안조압도(蓼岸鳥鴨圖)’와 6폭 초서 병풍 등이 있다.
출처 및 관련자료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소
- 인터넷 다음백과
관련자료
- 『율곡전서(栗谷全書)』
-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 『근역서화징(槿域書畵徵)』
- 『신사임당의 생애와 교육』(손인수, 박영사, 1976)
- 『한국회회소사』(이동주, 서문당, 1972)
- 『사임당의 생애와 예술』(이은상, 성문각, 1957)
- 『신사임당』(이병기, 조선명인전, 조광사, 1947)
- 「신사임당」(이은상,『한국의 인간상』5, 신구문화사, 1980)
연구원 검토
검토의견 | |
• ‘신사임당’의 원고 출처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및 “인터넷 다음백과”로 되어 있다. 출처에 나와 있는 내용과 차별성이 있는 집필이 필요하며, 발췌 인용하였다면 정확한 출처 표시가 필요하다. “인터넷 다음백과”의 구체적인 인터넷 주소를 추가할 필요가 있다. | |
• - 현재 한국 지폐 중 5만원권의 주인공이라고 알려주면 어떨까? 5만원권 주인공으로 선정된 이유도 찾아서 서술하면 흥미롭겠다. - 신사임당의 명칭을 설명할 때 ‘조선시대에는 여자에게 제대로 된 이름을 지어주지 않아서 당호를 썼던 것’으로 설명하는 것은 옳지 않다. 신사임당의 정확한 이름에 대해 이견들이 있으나 엄연히 이름을 가지고 있었고, 또한 당호는 여성이 이름 대신 사용했던 별호가 아니다. 여유당 정약처럼 남자도 당호를 사용하기도 하였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