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사임당: 조선 최고의 여성 화가
신사임당: 조선 최고의 여성 화가
독립적 인간으로 산 사임당
신사임당(申師任堂, 1504∼1551)은 시 · 그림 · 글씨에 뛰어났던 조선 시대 여성 예술가이다. 사임당은 이름이 아닌 당호이다. 당호는 그 사람이 머무는 집의 이름으로 이름 대신 사용되기도 했다. 조선 시대에는 지체 있거나 양반의 부녀자 이름을 함부로 부르는 것은 실례라고 생각하여 당호를 부르는 일이 많았다.
남편은 증좌한성 이원수(李元秀)이고 조선 시대의 대표적 학자이며 경세가인 율곡 이이(李珥)가 그녀의 아들이다.
사임당은 뛰어난 학식과 재능을 바탕으로 남편과 가정을 이끌었던 능동적인 여성이었고 자식들에게도 행동과 실천으로 모범을 보였던 적극적인 어머니였다. 사임당은 자녀들을 지도할 때 모르는 것이 있으면 자신이 먼저 공부하여 이해한 다음에 가르쳤고 자식들과 수많은 편지를 주고 받으며 어떻게 살아야 할지를 깨우쳐주었다. 남편의 권위에 무조건 순종하지 않고 토론을 통해 합리적인 결과를 이끌어냈다. 교양과 학문을 갖춘 예술인으로서, 현숙한 어머니와 아내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해낸 사임당은 조선 사회가 요구한 유교적 여성상에 만족하지 않고 독립된 인간으로서의 삶을 개척한 여성이다.
사임당의 아버지 신명화는 사임당이 13세 때인 1516년에 진사가 되었지만 벼슬에 나가지 않았다. 외할아버지 이사온은 사임당의 어머니를 아들처럼 여겨 결혼한 후에도 계속 친정에 머물러 살게 하였다. 그래서 사임당도 외가에서 자라났다. 19세에 결혼한 사임당은 처음에는 시집으로 가지 않고 친정에 머물렀다. 그 어머니와 마찬가지로 친정에 아들이 없었기 때문이다. 친정아버지가 세상을 떠난 후 3년상을 마치고 서울로 올라왔다. 그 후 사임당은 이따금 강릉의 친정에 가서 홀로 사는 어머니와 같이 지내기도 했으며 셋째 아들 이이도 친정에서 낳았다.
친정의 영향을 받은 예술적 감수성
사임당은 어릴 때부터 아버지와 외할아버지에게서 글과 그림을 배웠다. 예술에 천부적인 재능을 지녀 7세에 이미 안견(安堅)의 그림을 스스로 배웠다. 거문고 타는 소리를 듣고 눈물을 지었다든지 또는 강릉의 친정어머니를 생각하며 눈물로 밤을 지새웠다는 일화 등은 그녀가 섬세하고 예민한 감수성을 지녔음을 말해준다. 외할아버지의 예술과 학문 세계가 신중하고 어진 어머니를 통해 사임당에게 전수되어 그녀의 예술적 감수성 고양에 깊은 영향을 주었다. 사임당이 강릉 친정을 떠나 서울로 가면서 지은 ‘유대관령망친정(踰大關嶺望親庭)’이나 어머니를 생각하면서 지은 ‘사친(思親)’ 등의 시는 그녀가 어머니에 대해 얼마나 깊고 절절한 애정을 가졌는가를 보여주고 어머니가 사임당에게 얼마나 큰 영향을 끼쳤는가도 알 수 있게 해준다.
다음은 1537년 사임당이 이이를 데리고 친정에서 한성부로 돌아가는 도중 대관령 고개에서 멀리 있는 친정 마을을 내려다보며 지은 시 ‘유대관령망친정(踰大關嶺望親庭)’의 전문이다.
慈親鶴髮在臨瀛(늙으신 어머님을 고향에 두고)
身向長安獨去情(외로이 서울길로 가는 이 마음)
回首北村時一望(머리 돌려 북평 땅을 한번 바라보니)
白雲飛下暮山靑(흰 구름만 저문 산을 날아 내리네.)
조선의 최고 여류화가
사임당은 풀벌레 · 포도 · 화조 · 매화 · 난초 · 산수, 물고기나 새 등을 주된 화제(畫題)로 삼아 섬세하고 아름다운 그림을 그렸다. 그녀의 작품 ‘포도도’는 채 영글지 않은 포도 열매가 주렁주렁 맺혀 있고 큼직한 이파리가 바람에 나부끼는 듯 세련되고 생기가 흘러넘친다. 아들 이이는 어머니의 그림이 담긴 병풍이나 족자는 세상에 많이 있는데 포도 그림만은 세상에서 누구도 흉내 낼 수 없다고 자랑했다.
사임당은 평소 자녀들에게 그림 그리는 방법에 대하여 “그림은 단순히 손재주만으로 그릴 수 없다. 우선 마음을 가다듬은 다음 그리고자 하는 대상을 자세히 관찰해야 한다. 곤충이든 식물이든 그 대상이 갖고 있는 실체를 확실히 파악하지 않으면, 그림을 그려도 생명력이 없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라고 가르쳤다.
실제로 그녀는 잎사귀와 줄기의 느낌 하나하나, 벌레의 다리 끝까지도 꼼꼼하게 그려냈고, 그림 속 물체의 색과 재질까지 특성에 맞게 잘 표현했다. 사임당의 그림은 주로 살아 움직이는 듯한 사실화여서 풀벌레 그림을 마당에 내놓아 볕에 말리려 하자 산 풀벌레인 줄 알고 닭이 쪼아서 종이가 뚫어질 뻔했다는 일화도 전한다.
사임당은 5남3녀의 자녀를 두었는데 그 중 셋째 아들 율곡 이이(李珥)가 어머니 사임당의 행장기를 저술했다. 여기에 사임당의 예술적 재능, 우아한 성품, 정결한 지조 등을 자세히 기록하였다.
사임당의 작품으로는 ‘자리도(紫鯉圖)’ ‘산수도(山水圖)’ ‘초충도(草蟲圖)’ ‘노안도(蘆雁圖)’ ‘연로도(蓮鷺圖)’ ‘요안조압도(蓼岸鳥鴨圖)’와 6폭 초서 병풍 등이 있다.
신사임당은 현재까지도 현모양처, 훌륭한 여성 작가, 시인으로 평가받고 있다. 2007년 한국은행에서는 “여성·문화예술인의 대표적인 상징성이 있다”라며 신사임당을 5만 원 권 도안 인물로 선정하였다.
관련항목
참고문헌
- 신사임당의 생애에 대해 더 알고 싶다면...
• 유정은, 『사임당 평전』, 리베르, 2016. |
• 정해은, 『신사임당 전』, 새문사, 2017. |
『사임당 평전』은 사임당이 실제로 어떤 사람이었는지 정말로 현모양처라는 전형적인 틀에 박혀 살았던 인물인지, 아니면 조선이라는 시대적 한계를 뛰어넘어 선구자적인 삶을 살아간 여성이었는지, 그 본래 모습을 찾고자 한다. 저자는 조선이라는 남성 중심 사회에서 사임당이 어떻게 살아갔는지 그녀의 삶을 되짚어 보면서 진정한 ‘인간 사임당’을 만난다. 사임당이 남긴 예술 작품들을 풍부한 문헌 자료를 통해 심도 있게 분석·고찰하는 과정에서 예술가 신사임당의 진면목을 만나볼 수 있을 것이다.
『신사임당 전』에서 저자는 사임당이 어떤 여성이었는지 규정하지 않았다. 겉으로만 신사임당을 알지 않기 위해서였으며, 16세기를 막 시작하는 1504년에 태어나 16세기 중반 무렵까지 살다간 사임당을 그 시대 안에서 만나고 싶어서였다. 그래서 ‘예술가’ 또는 ‘이이의 어머니’라는 틀에 갇히지 않고 그 삶에 집중하였다. ‘사료로 만나는 신사임당, 역사 속 신사임당 그녀는 누구인지’, 이 책이 사임당의 진면목을 밝히는 올바른 방향을 향해 나아가는 길에 한 걸음 보탬이 될 것이다.
- 율곡의 어머니로서의 신사임당에 대해 더 알고 싶다면...
• 노유진, 『신사임당의 어머니 리더십』, W미디어, 2009. |
『신사임당의 어머니 리더십』은 단순 위인전기로 그녀의 모습을 살피는 것이 아니라, 시대정신을 극복하고 주체적인 삶을 살았던 여성 리더로서의 신사임당으로 새롭게 조명한다. 가족을 위해 자애로운 마음을 갖고 희생과 봉사를 아끼지 않으면서도 끊임없이 자신을 계발하고 가꾸었던 그녀를 통해 리더십의 참모습을 발견해본다. 본문은 크게 5장으로 나누어져 있다. 1장에서는 새로운 자신의 모습을 발견해야 함을, 2장에서는 성격 유형에 따라 상대방을 아는 방법과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3가지 방법을 알려준다. 3장에서는 ‘내 아이와 통하는 눈높이 대화법, 내 남편 기 살리는 대화법’ 등 아내이자 어머니, 며느리로서의 역할에 대해 이야기한다. 4장은 가정 설계, 인간관계, 스피치 등에서 신사임당이 발휘한 리더십을 소개한다. 마지막 5장은 어머니 리더십을 통해 당당한 자기 삶의 주인이 되라고 강조한다.
- 예술가로서의 신사임당에 대해 더 알고 싶다면...
• 조선사역사연구소, 『신사임당: 뜻을 세우고 그림을 그리다』, 아토북, 2016. |
• 강석진, 『예술을 사랑한 신사임당』, 레몬북스, 2017. |
『신사임당: 뜻을 세우고 그림을 그리다』는 조선 최고의 문인이자 서화가로 활동한 신사임당에 대해 다룬 책이다. 현재 남아 있는 사료를 중심으로 그녀가 누구로부터 영향을 받았는지 면밀하게 살펴본다. 삶의 궤적과 함께 작품세계를 따라가 보면 사회활동이 자유롭지 못했던 당시 그녀가 어떤 경로 혹은 과정을 통해 시를 짓고 글씨를 썼으며 그림을 그리기 시작하였는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신사임당이 탄생한 1504년은 바로 갑자사화가 벌어진 해였다. 뿐만 아니라 유년시절 내내 정치적으로 불안한 정국이었으며 결혼한 이후에도 당쟁의 소용돌이를 직간접적으로 몸소 겪었다. 오랫동안 정치와 학문으로 다져진 사대부들이 혼란기의 격랑을 넘지 못하고 당쟁의 제물로 바쳐지거나 유배지의 낭인으로 버려지기 일쑤였다. 그 어려운 시기에 은근히 천시되던 여성의 지위를 세상이 떠들썩할 정도로 뒤바꿔 놓았는가 하면, 역사의 뒤안길에 나앉아 있던 여류 학자나 문인, 여류 예술가의 이미지를 단숨에 당당한 반열 위에 올려놓은 인물이 바로 신사임당이다.
『예술을 사랑한 신사임당』에서는 1500년대 격랑의 소용돌이 속에 있었던 조선사회와 그 속에서 꽃피운 신사임당의 예술 세계를 한눈에 알기 쉽게 소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