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raft 이황
제목 | 주자 이후 성리학의 일인자, 퇴계 이황 |
---|---|
집필자 | 황인희 |
교열자 | 유안리 |
인물/기관/단체 | 성균관, 안향, 주세붕, 명종, 선조, 기대승, 주희, 정복심, 권근, 주돈이, 도쿠가와 이에야스, 기몬학파, 구마모토학파 |
장소/공간 | 풍기, 백운동 서원, 백록동 서원, 소수서원, 도산서당 |
사건 | 임진왜란 |
개념용어 | 고려, 주자학, 문과 과거, 사액서원, 예조판서, 대제학, 지경연, 이조판서, 향약, <주자서 절요>, <자성록>, 사단칠정, ‘무진육조소’, <논어집주>, <주역>, <성학십도>, 성학(聖學), 대간, 주리파 철학, 에도시대, 개화기, 도의철학 |
원고
퇴계 이황(退溪 李滉 : 1501∼1570)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며 학자였다. 이황은 1527년 처음 과거에 합격하고 성균관에 들어가 공부하였고 1534년 문과에 급제하여 관리로서 첫발을 들여놓았다. 풍기군수로 재임할 때는 고려 말기 주자학의 선구자 안향이 공부하던 땅에 전임 군수 주세붕이 창설한 백운동서원에 편액 · 서적 · 학전을 하사할 것을 조정에 청원하였다. 이는 주자가 백록동서원을 부흥한 선례를 좇은 것이다. 이황의 청원은 받아들여졌고 백운동서원은 조선조 사액서원의 시초가 된 소수서원이 되었다.
그 후에도 이황은 많은 관직을 제안 받았지만 20여 차례에 걸쳐 사양하였다. 1560년 도산서당을 짓고 서당에서 독서 · 수양 · 저술을 하며 많은 제자를 가르쳤다.
조선의 제13대 임금 명종은 이황이 관직에 나오도록 예의를 갖춰 여러 번 청했지만 그는 듣지 않았다. 당시는 벼슬을 하지 않고 학문 연구와 덕성을 쌓는 것에 전념하는 것을 선비의 미덕이라 생각했기 때문이다. 명종은 신하들과 함께 ‘현명한 학자를 불렀지만 오지 않음을 탄식함’이라는 제목의 시를 짓고, 몰래 화공을 보내 이황이 지내는 모습을 그림으로 그리게 하였다. 그리고 그것으로 병풍을 만들어 펼쳐놓고 아침저녁으로 이황을 흠모했다고 한다.
1567년 명종이 세상을 떠나고 왕위에 오른 선조는 이황을 예조판서에 임명하였다. 하지만 신병 때문에 부득이 고향에 돌아오고 말았다. 선조도 이황을 자신의 곁에 여러 차례 불러들이려 했다. 번번이 사퇴하던 이황은 더 이상 거절하기 어려워 마침내 68세의 노령에 대제학·지경연의 중임을 맡았다. 1569년 이조판서에 임명되었으나 사양하고 고향으로 돌아왔다.
다음해 11월 8일 아침, 평소에 사랑하던 매화 화분에 물을 주게 하고, 침상을 정돈시킨 후, 일으켜 달라해 단정히 앉은 자세로 세상을 떠났다.
이황의 학문은 50세 이후부터 더욱 원숙해졌다. 56세에 향약을 기초하였고, 58세에 <주자서 절요> 및 <자성록>을 거의 완결지어 그 서문을 썼다. 59세에 기대승과 더불어 사단칠정에 관한 질의 응답을 시작하였고, 68세에 선조에게 ‘무진육조소’라는 상소를 올렸고 <논어집주>, <주역> 등을 강의하였다. 선조는 무진육조소를 천고의 격언으로 여기고 한 순간도 잊지 않을 것을 굳게 약속했다고 한다. 그 뒤 이황은 왕에 대한 마지막 봉사로서 필생의 심혈을 기울여 <성학십도>를 저술하여 어린 국왕 선조에게 바쳤다.
‘무진육조소’에는, 계통을 중히 여겨 전 왕 명종에게 인효(仁孝)를 온전히 할 것, 곁에서 모시는 신하와 궁인의 참소와 이간을 막아 명종궁과 선조궁 사이에 친교가 이루어지게 할 것, 성학(聖學)을 돈독히 존숭해 그것으로서 정치의 근본을 정립할 것, 임금 스스로가 모범적으로 도덕과 윤리를 밝혀 인심을 바로잡을 것, 군주가 대신에게 진심을 다해 접하고 왕에게 조언하는 대간을 잘 채용해 군주의 이목을 가리지 않게 할 것, 수양과 반성을 성실히 하여 하늘의 도움을 받을 것 등의 내용이 실려 있다.
이황의 학문이 집약체로 볼 수 있는 <성학십도>에는 주희, 정복심, 권근, 주돈이, 이황 등의 말과 저작이 실려 있다. 그러나 이들 유학 사상의 정수는 이 책에서 이황에 의해 독창적으로 배치되어 서로 유기적으로 관련됨으로써 생명 있는 전체적 체계를 이루게 되었다.
300명에 가까운 학자가 그의 학풍을 따랐고 주리파 철학을 형성하게 한 이황은 한국 유학 사상의 중심 인물이다. 임진왜란 후 이황의 문집이 일본으로 전해져 도쿠가와가 집정한 에도시대에 그의 저술 11종 46권 45책이 일본각판으로 복간되었다. 일본 유학 사상의 주류인 기몬학파 및 구마모토학파에게 깊은 영향을 끼쳤고, 이황은 이 두 학파로부터 깊은 존숭을 받아 왔다. 또한, 개화기 중국의 정신적 지도자에게서도 크게 존경 받아, 한국뿐만 아니라 동양 3국의 도의철학의 건설자이며 실천자였다고 할 수 있다.
출처 및 관련자료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관련자료
- 『도산전서(陶山全書)』(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
- 『퇴계의 사상과 그 현대적 의미』(김형효 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7)
- 『퇴계학 연구논총』(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1997)
- 「퇴계선생의 인성론」(배종호, 『퇴계학보』32, 퇴계학연구원, 1981)
- 「퇴계철학의 근본문제」(유승국, 『퇴계학보』19, 퇴계학연구원, 1978)
- 「퇴계의 경사상」(이남영, 『한국인의 인간관』, 한국교육개발원, 1977)
- 「퇴계선생과 기고봉」(이을호, 『퇴계학연구』, 퇴계학연구원, 1972)
- 「이퇴계와 그의 학설」(이병도, 『한국학연구총서』, 성진문화사, 1971)
- 「이황-성리학의 진수-」(박종홍, 『한국의 인간상 4』, 신구문화사, 1971)
연구원 검토
검토의견 | |
• ‘퇴계 이황’의 원고 출처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으로 되어 있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 나와 있는 내용과 차별성이 있는 집필이 필요하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의 내용을 발췌 인용하였다면 정확한 출처 표시가 필요하다. | |
• - 도입 서술 - 여러 왕들이 관직을 청했지만 사양한 이유는? |
|
교열본
왕들이 흠모한 학자
퇴계 이황(退溪 李滉 : 1501∼1570)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며 학자였다. 이황은 1527년 처음 과거에 합격하고 성균관에 들어가 공부하였고 1534년 문과에 급제하여 관리로서 첫발을 들여놓았다. 풍기군수로 재임할 때는 고려 말기 주자학의 선구자 안향이 공부하던 땅에 전임 군수 주세붕이 창설한 백운동서원에 편액 · 서적 · 학전을 하사할 것을 조정에 청원하였다. 이는 주자가 백록동서원을 부흥한 선례를 좇은 것이다. 이황의 청원은 받아들여졌고 백운동서원은 조선조 사액서원의 시초가 된 소수서원이 되었다.
그 후에도 이황은 20여 차례에 걸쳐 많은 관직을 제안 받았지만 모두 사양하였다. 육십이 된 1560년 도산서당을 짓고 서당에서 독서 · 수양 · 저술을 하며 많은 제자를 가르쳤다.
조선의 제13대 임금 명종은 이황이 관직에 나오도록 예의를 갖춰 여러 번 청했지만 그는 듣지 않았다. 당시는 벼슬을 하지 않고 학문 연구와 덕성을 쌓는 것에 전념하는 것을 선비의 미덕이라 생각했기 때문이다. 명종은 신하들과 함께 ‘현명한 학자를 불렀지만 오지 않음을 탄식함’이라는 제목의 시를 짓고, 몰래 화공을 보내 이황이 지내는 모습을 그림으로 그리게 하였다. 그리고 그것으로 병풍을 만들어 펼쳐놓고 아침저녁으로 이황을 흠모했다고 한다.
1567년 명종이 세상을 떠나고 왕위에 오른 선조는 이황을 예조판서에 임명하였다. 하지만 신병 때문에 부득이 고향에 돌아오고 말았다. 선조도 이황을 자신의 곁에 여러 차례 불러들이려 했다. 번번이 사퇴하던 이황은 더 이상 거절하기 어려워 마침내 68세의 노령에 대제학·지경연의 중임을 맡았다. 1569년 이조판서에 임명되었으나 사양하고 고향으로 돌아왔다.
다음해 11월 8일 아침, 평소에 사랑하던 매화 화분에 물을 주게 하고, 침상을 정돈시킨 후, 일으켜 달라 한 뒤 단정히 앉은 자세로 세상을 떠났다.
<성학십도>로 집대성된 퇴계 사상
이황의 학문은 50세 이후부터 더욱 원숙해졌다. 56세에 향약을 기초하였고, 58세에 <주자서 절요> 및 <자성록>을 거의 완결지어 그 서문을 썼다. 59세에 기대승과 더불어 사단칠정에 관한 질의 응답을 시작하였고, 68세에 선조에게 ‘무진육조소’라는 상소를 올렸으며 <논어집주>, <주역> 등을 강의하였다. 선조는 무진육조소를 천고의 격언으로 여기고 한 순간도 잊지 않을 것을 굳게 약속했다고 한다. 그 뒤 이황은 왕에 대한 마지막 봉사로서 필생의 심혈을 기울여 <성학십도>를 저술하여 어린 국왕 선조에게 바쳤다.
‘무진육조소’에는, 계통을 중히 여겨 전 왕 명종에게 인효(仁孝)를 온전히 할 것, 곁에서 모시는 신하와 궁인의 참소와 이간을 막아 명종궁과 선조궁 사이에 친교가 이루어지게 할 것, 성학(聖學)을 돈독히 존숭해 그것으로서 정치의 근본을 정립할 것, 임금 스스로가 모범적으로 도덕과 윤리를 밝혀 인심을 바로잡을 것, 군주가 대신에게 진심을 다해 접하고 왕에게 조언하는 대간을 잘 채용해 군주의 이목을 가리지 않게 할 것, 수양과 반성을 성실히 하여 하늘의 도움을 받을 것 등의 내용이 실려 있다.
이황 학문의 집약체로 볼 수 있는 <성학십도>에는 주희, 정복심, 권근, 주돈이, 이황 등의 말과 저작이 실려 있다. 그러나 이들 유학 사상의 정수는 이 책에서 이황에 의해 독창적으로 배치되어 서로 유기적으로 관련됨으로써 생명 있는 전체적 체계를 이루게 되었다.
그의 학풍을 따르는 300명에 가까운 학자들로 하여금 주리파 철학을 형성하게 한 이황은 한국 유학 사상의 중심 인물이다. 임진왜란 후 이황의 문집이 일본으로 전해져 도쿠가와가 집정한 에도시대에 그의 저술 11종 46권 45책이 일본각판으로 복간되었다. 일본 유학 사상의 주류인 기몬학파 및 구마모토학파에게 깊은 영향을 끼쳤고, 이황은 이 두 학파로부터 깊은 흠숭을 받아 왔다. 또한, 개화기 중국의 정신적 지도자에게서도 크게 존경을 받아, 퇴계는 한국뿐만 아니라 동양 3국의 도의철학의 건설자이며 실천자였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