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raft 스마트폰과 인터넷
제목 | 세계 최고의 스마트폰과 인터넷 강국 / 스마트폰과 인터넷이 바꾼 생활패턴 |
---|---|
집필자 | 신현덕 |
교열자 | 유안리 |
인물/기관/단체 | 미래창조과학부 |
장소/공간 | 가정 |
사건 | 은행 감소, 전화로 가정생활 |
기록물 | 한국통계연감, 전전자 교환기(Electronic Switching System)의 탄생 |
개념용어 | 스몸비, 홈오토매틱, 온라인 결제, 스마트폰 중독 |
물품/도구/유물 | 스마트폰, 유선전화, |
목차
원고
한국은 인터넷과 스마트폰 강국이다.
한국인이 가진 휴대전화기가 2017년 현재 6천만대를 넘어서 한국의 총인구수를 훌쩍 넘어섰다. 스마트폰과 인터넷이 결합한 스마트 시스템 사용이 증가하며 한국인의 생활 패턴도 크게 변하고 있다.
스마트 폰과 인터넷으로 시작된 변화는 한국인의 모든 생활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직장생활은 물론 가정생활과 농·어업 금융업 등 산업전반에서 급속하게 진전되고 있다. 삼성 현대자동차 LG 등 한국의 중요기업 경영자들은 이미 시·공간을 뛰어넘어 언제, 어디에서나 경영에 관한 모든 일을 스마트 폰과 인터넷으로 처리하고 있다. 일반 개인도 스마트폰으로 영업장을 관리, 조절하고 있다.
스마트폰과 연계된 가상세계(Virtual Reality)가 한국인에게 또 다른 세계를 열었고, 폭발적인 반응을 얻고 있다. 한국의 KBS 등 지상파 텔레비전 방송국은 2017년부터 UHF방송을 시작했으며 방송과 통신을 연결하는 기술 발달로 원하는 프로그램을 언제나 찾아볼 수 있는 시스템을 운영 중이다.
모든 가정생활도 스마트화 되는 중이다. 집 안의 온도 조절, 청소 등 관리는 물론 가사까지도 스마트폰과 로봇이 연계되어 자동으로 처리한다. 사물인터넷과 연결된 냉장고가 재고가 없는 식료품을 구매하고,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해마다 구입하던 생선과 젓갈류 과일과 야채 구입시기를 조절해 주인의 스마트 폰으로 결제를 유도한다. 이처럼 가정은 홈 오토메이션과 스마트 시스템으로 급격하게 변했다. 사물인터넷은 가정생활 속으로 깊숙하게 들어와 생활혁명을 일으켰다.
한국에는 최근 스마트워치 붐이 일고 있다. 스마트워치는 시계 기능은 물론이고 주변 온도 습도 고도 등 주변 상태는 물론 하루에 필요한 운동량, 그날 소모한 칼로리, 움직인 거리 등 필요한 기능을 모두 갖추고 상태를 측정한다.
버스정류장과 지하철역 등에는 모든 버스와 지하철의 운행 상황을 알려주는 전광판이 설치되어 있다. 첫차와 막차 시간, 운행 간격, 승객이 얼마나 타고 있는 것까지도 알려준다.
스마트 농장과 축사 등도 보편화되기 시작했다. 한국 농촌진흥청은 스마트 농사법 전수에 나섰고, ICT를 접목한 스마트 축사를 개발하고, 가축의 행동, 호흡, 맥박, 기침 등 생체지표를 수집, 분석하는 기술을 발전시키고 있다. 이 시스템은 ‘가축 생산성을 최고 30% 향상하고, 노동력을 25% 절감한다. 농촌진흥청은 또 기구를 신설, 국가 빅데이터를 활용한 컨설팅과 환경제어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금융업도 변화중이다. 금융과 기술이 합한 핀테크가 금융업의 개혁을 이끌고 있다. 한 외국계 은행은 2017년 초 지점수를 80% 줄이고 인력을 전화 상담과 온라인 업무로 전환하겠다고 발표했다. 이는 한국의 30대 이하 젊은 세대들이 은행에 가는 것보다 스마트폰과 인터넷뱅킹을 통해 손 안에서 금융결제를 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한 조치로 보인다. 이에 힘입어 출범한 한국의 인터넷 은행은 한국의 금융거래를 스마트폰으로 바꾸고 있다.
스마트폰 이용자들은 간편한 앱을 이용, 가입자끼리 소액의 현금을 간단하게 주고받을 수 있게 됐다. 누구든 어디에서나 언제든지 즉석에서 결제와 송금 등 은행 업무를 처리하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2017년 국내은행에 등록된 스마트폰뱅킹 고객은 3월말 기준 7,734만 명이며 스마트폰뱅킹을 이용한 고객은 4866만 명이다. 이용금액은 전분기와 비교하여 11.7%가 증가하여 통계에 편입된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금융업계는 이런 추세가 더욱 급속하게 확장돼 20년 이내에 모든 결제가 스마트 폰으로 이루어질 것이라고 예측한다.
국가의 행정전산망을 이용한 국민생활 변화도 예측이 불가능할 정도로 급격하다. 각종 정부 서류를 집에서 발급받고, 각종 통계는 스마트폰으로 언제 어디서나 확인이 가능하다.
스마트폰의 보급 증가에 따른 부작용 사례도 늘고 있다. 한국에서는 스몸비(Smombie)[1]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기 시작했다. 이밖에도 외국인들이 ‘코리안 범프’라는 ‘어깨빵’, 폰딧불(스마트폰+반딧불이)이라는 말도 새로 생겼다. 스마트 폰에 빠져 주변을 의식하지 않는 무례함이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18세 이상 한국인의 5%가 스마트폰 중독에 가까울 만큼 스마트폰을 많이 사용한다. 특히 18세에서 29세 사이에서는 18.2%가 스마트폰 사용빈도가 아주 많다.
- Tn 스마트폰과 인터넷02.jpg
농촌진흥청이 농가에 제공하는 스마트 딸기농장 (농촌진흥청 제공)
- Tn 스마트폰과 인터넷03.jpg
스마트폰으로 관리되는 온실(농촌진흥청 제공)
- Tn 스마트폰과 인터넷.jpg
스마트 딸기 농장(농촌진흥청 제공)
주석
- ↑ 스마트폰과 좀비의 합성어이다. 스마트폰을 보면서 고개를 숙이고 길을 걷는 사람을 말한다. 스마트폰에 집중해 주변 환경을 빨리 인지하기 어려워 다른 사람들과 몸을 부딪히거나 자동차 등의 교통수단으로 인한 사고 위험이 높다.
출처 및 관련자료
관련자료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보건복지부 통계
- 통계청 통계연감
- 조선일보
연구원 검토
검토의견 | |
• 이 주제는 세계에서 IT 강국으로의 면모와 정보기기로 인한 한국인의 생활의 변화이다. 세계최고의 스마트폰과 인터넷 강국 모습을 서술해야하는데 스마트폰 사용에 따른 부정적인 측면만을 한 페이지에 걸쳐서 기술하고 있다. 따라서 부정적인 측면과 관련한 내용을 줄이고, 가상현실 도입, 사물 인터넷(IOT), 로봇, 웨어러블 기기 등 한국인의 생활변화에 중점을 두고 서술할 필요가 있다. 출처 및 근거자료가 제시할 필요가 있다. | |
• - 인터넷과 스마트폰으로 제목을 바꾸는 것이 어떨까? 인터넷 기능을 핸드폰에 넣어 스마트폰이 된 것이니까.
- 한국이 인터넷 강국이 된 배경과 그로 인한 생활의 변화를 서술하고... 그 다음에 인터넷 기능이 핸드폰에 포함되어 특정 장소가 아닌 어느 장소에서나 인터넷으로 업무, 정보수집, 가정의 전자제품 작동 등이 가능해진 내용 등을 서술하여 과거의 생활과의 차이를 설명해주면 좋겠다. |
|
교열본
생활 패턴도 바꾼 스마트폰과 인터넷
한국인이 가진 휴대전화기가 2017년 현재 6천만대를 넘었다. 한국의 총인구수를 훌쩍 넘어선 수치다. 스마트폰과 인터넷이 결합한 스마트 시스템 사용이 증가하며 한국인의 생활 패턴도 크게 변하고 있다.
스마트 폰과 인터넷으로 시작된 변화는 한국인의 모든 생활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직장생활은 물론 가정생활과 농·어업 금융업 등 산업전반에서도 급속하게 변화가 진전되고 있다. 삼성 현대자동차 LG 등 한국의 중요기업 경영자들은 이미 시·공간을 뛰어넘어 언제, 어디에서나 경영에 관한 모든 일을 스마트 폰과 인터넷으로 처리하고 있다. 일반 개인도 스마트폰으로 영업장을 관리, 조절하고 있다.
스마트폰과 연계된 가상세계(Virtual Reality)가 한국인에게 또 다른 세계를 열었고, 폭발적인 반응을 얻고 있다. 한국의 KBS 등 지상파 텔레비전 방송국은 2017년부터 UHF방송을 시작했으며 방송과 통신을 연결하는 기술 발달로 원하는 프로그램을 언제나 찾아볼 수 있는 시스템을 운영 중이다.
모든 가정생활도 스마트화되는 중이다. 집 안의 온도 조절, 청소 등 관리는 물론 가사까지도 스마트폰과 로봇이 연계되어 자동으로 처리한다. 사물인터넷과 연결된 냉장고가 재고가 없는 식료품을 구매하고,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해마다 구입하던 생선과 젓갈류, 과일과 야채 구입 시기를 조절해 주인의 스마트 폰으로 결제를 유도한다. 이처럼 가정은 홈 오토메이션과 스마트 시스템으로 급격하게 변했다. 사물인터넷은 가정생활 속으로 깊숙하게 들어와 생활혁명을 일으켰다.
한국에는 최근 스마트워치 붐이 일고 있다. 스마트워치는 시계 기능은 물론이고 주변 온도 습도 고도 등 주변 상태도 체크한다. 하루에 필요한 운동량, 그날 소모한 칼로리, 움직인 거리를 측정하는 등 필요한 기능을 모두 갖추었다.
버스정류장과 지하철역 등에는 모든 버스와 지하철의 운행 상황을 알려주는 전광판이 설치되어 있다. 첫차와 막차 시간, 운행 간격, 승객이 얼마나 타고 있는 것까지도 알려준다.
산업을 바꾸는 스마트 기술
농촌에서도 스마트 농장과 축사 등이 늘기 시작했다. 한국 농촌진흥청은 스마트 농사법 전수에 나섰고, ICT를 접목한 스마트 축사를 개발하고, 가축의 행동, 호흡, 맥박, 기침 등 생체지표를 수집, 분석하는 기술을 발전시키고 있다. 이 시스템은 가축 생산성을 최고 30% 향상하고, 노동력은 25% 절감한다. 농촌진흥청은 이를 관리할 기구를 신설, 국가 빅데이터를 활용한 컨설팅과 환경제어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금융업도 변화중이다. 금융과 기술이 합한 핀테크가 금융업의 개혁을 이끌고 있다. 한 외국계 은행은 2017년 초 지점수를 80% 줄이고 기존 인력을 전화 상담과 온라인 업무로 전환하겠다고 발표했다. 이는 한국의 30대 이하 젊은 세대들이 은행에 가는 것보다 스마트폰과 인터넷뱅킹을 통해 손 안에서 금융결제를 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한 조치로 보인다. 이에 힘입어 출범한 한국의 인터넷 은행은 한국의 금융거래를 스마트폰 위주로 바꾸고 있다.
스마트폰 이용자들은 간편한 앱을 이용, 가입자끼리 소액의 현금을 간단하게 주고받을 수 있게 됐다. 누구든 어디에서나 언제든지 즉석에서 결제와 송금 등 은행 업무를 처리하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2017년 국내은행에 등록된 스마트폰뱅킹 고객은 3월말 기준 7,734만 명이며 스마트폰뱅킹을 이용한 고객은 4866만 명이다. 이용금액은 전분기와 비교하여 11.7% 증가하여 통계에 편입된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금융업계는 이런 추세가 더욱 급속하게 확장돼 20년 이내에 모든 결제가 스마트 폰으로 이루어질 것이라고 예측한다.
부작용도 초래하는 스마트폰 생활
국가의 행정전산망을 이용한 국민생활 변화도 예측이 불가능할 정도로 급격하다. 각종 정부 서류를 집에서 발급받고, 각종 통계는 스마트폰으로 언제 어디서나 확인이 가능하다.
한편 스마트폰의 보급이 증가하는 데 따른 부작용 사례도 늘고 있다. 한국에서는 스몸비(Smombie)[1]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기 시작했다. 이밖에도 외국인들이 ‘코리안 범프’라는 ‘어깨빵’, 폰딧불(스마트폰+반딧불이)이라는 말도 새로 생겼다. 스마트 폰에 빠져 주변을 의식하지 않는 무례함을 가리킨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18세 이상 한국인의 5%가 스마트폰 중독에 가까울 만큼 스마트폰을 많이 사용한다. 특히 18세에서 29세 사이 국민의 18.2%가 스마트폰 사용빈도가 아주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주석
- ↑ 스마트폰과 좀비의 합성어이다. 스마트폰을 보면서 고개를 숙이고 길을 걷는 사람을 말한다. 스마트폰에 집중해 주변 환경을 빨리 인지하기 어려워 다른 사람들과 몸을 부딪히거나 자동차 등의 교통수단으로 인한 사고 위험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