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기정: 역경을 이겨낸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참고문헌) |
|||
31번째 줄: | 31번째 줄: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 | 1. 한국마라톤 역사에 대해 더 알고 싶다면... | ||
+ | |||
+ | ● 대한육상경기연맹, 한국 육상경기 100년사, 동아일보사, 2013. | ||
+ | ● 손기정, 나의 祖國 나의 마라톤 : 손기정 자서전, 학마을B&M, 2012. | ||
+ | |||
+ | 한국 육상경기 100년사는 한국 육상 100년의 역사를 정리해 기록하고 있는 책이다. 식민지배의 억압 속에 한민족은 육상경기를 통해 민족적 자긍심을 얻을 수 있었다. 육상경기를 통해 우월하고 뛰어난 민족성을 확인할 수 있었던 한민족은 특히 마라톤 분야에서 괄목의 성과를 보이곤 하였다. 베를린 올림픽에서 손기정과 남승용이 금메달과 동메달을 차지하는가 하면, 해방 이후에도 보스톤 마라톤을 포함해 많은 국제대회에서 우수한 성적을 보이며, 마라톤 강국으로 자임할 수 있었다. 이 책은 손기정에서부터 황영조와 이봉주에 이르기까지 한국 마라톤의 발전사를 잘 정리하여 소개하고 있다. | ||
+ | 나의 祖國 나의 마라톤 : 손기정 자서전은 1936년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에서 민족 최초의 금메달을 따낸 손기정이 일생을 담은 자서전이다. 이 책에는 손기정의 어두운 어린 시절과 그러한 자신을 위로해 준 마라톤에 입문하게 된 계기, 그가 평생 마라톤을 통해 마주한 많은 승부의 상황들, 한국 마라톤의 영광과 시련의 기억들을 생생하게 담아내고 있다. 한국 마라톤의 영웅의 기억을 통해 한국 마라톤 백년의 역사와 기억들을 충실히 접할 수 있는 책이다. | ||
+ | |||
+ | 2. 베를린 올림픽에 대해 더 알고 싶다면... | ||
+ | |||
+ | ● 안진태, 독일 제3제국의 비극, 까치글방, 2010. | ||
+ | ● 한국체육인동우회, 겨레와 함께 뛰었다 손기정, 그 힘찬 발걸음 :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 제패 60주년 기념집, 한국체육인동우회, 1996. | ||
+ | |||
+ | 독일 제3제국의 비극은 히틀러와 나치 독일에 의해 수립된 독일 제3제국의 영광의 무대로 기획된 베를린 올림픽의 적나라한 면면들을 상세하게 살피고 있는 책이다. 이 책은 제1장에서 베를린 올림픽에 대한 다양한 평가가 있다는 점을 전제로 나치 독일이 내세운 국가사회주의의 선언과는 다르게 베를린 올림픽이 파시스트에 의한 정치적 도구로 전락했다는 점을 살펴보고 있다. 나아가 저자는 히틀러에 의해 올림픽의 이념이 왜곡됨으로써 그 성과와 의의가 많이 손상될 수밖에 없었던 비극의 올림픽이었다고도 분석하였다. 올림픽 역사상 최초로 성화점화와 같은 많은 이벤트들을 만들어 내기도 하였지만, 이 역시 나치 독일의 위대함과 체제의 우월함을 과시하기 위한 의도에 기인한 것이었으며, 결과적으로 올림픽의 꽃인 마라톤에서 동양의 식민지 지배민족인 한국인 손기정에게 금메달이 돌아감으로써 그러한 의도가 결국 반감될 수밖에 없었다는 점도 함께 강조하고 있다. | ||
+ | 겨레와 함께 뛰었다 손기정, 그 힘찬 발걸음 :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 제패 60주년 기념집은 1936년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에서 손기정 선수가 금메달을 차지한지 60주년이 되는 해를 맞아 그 날을 기념하고 기억하기 위한 내용으로 저술된 책이다. 당시 베를린 올림픽은 일본 제국주의의 식민지배를 당하던 피지배 민족의 입장에서 우리 민족의 자긍심을 확인해야 했던 절박한 무대였다. 특히 같은 군국주의 국가로써 일본과 동맹관계에 있던 나치 독일의 체제 선전에 도구로 강조되었던 베를린 올림픽에서 전세계를 제패하고 금메달을 차지한 영광의 무대였음을 이 책은 담담하게 추억해 내었다. 당시 화보 사진과 다양한 기록들, 생존자들의 인터뷰와 회상들을 담아내면서 우리에게 당시 베를린 올림픽이 어떤 의미였는지를 살펴보고, 손기정 선수의 금메달이 얼마나 많은 기쁨과 희망을 제공해 주었었는지를 이 책은 생생하게 기록해 내고 있다. | ||
+ | |||
+ | 3. 일장기 말소 사건에 대해 더 알고 싶다면... | ||
+ | |||
+ | ● 채백, 사라진 일장기의 진실 : 일제 강점기 일장기 말소 사건 연구, 커뮤니케이션북스, 2008. | ||
+ | ● 이길용, 이길용 : 일장기 말소의거 기자, 한국체육기자연맹, 1993. | ||
+ | ● 이해용, 비무장지대(DMZ)를 찾아서: 정전50년, 휴전선 분단현장 보고서, 눈빛, 2003. | ||
+ | |||
+ | 사라진 일장기의 진실 : 일제 강점기 일장기 말소 사건 연구는 1936년 민족사에서 엄청난 파장을 불러 일으켰던 동아일보 일장기 말소 사건의 전말에 대해 상세하게 다루고 있는 책이다. 저자는 동아일보와 조선일보에서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에서 금메달과 동메달을 따낸 손기정과 남승룡의 가슴에서 일장기를 지운 것은 다양한 배경에서 검토가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그는 1930년대 전반적인 언론의 상황을 검토해야 일장기 말소 사건의 전말을 정확하게 알 수 있다고 보고, 일제의 언론 통제와 3개의 민간 언론지의 상업적 경쟁이 이러한 상황을 부추겼다고 분석하고 있다. 이에 대해 저자는 이미 그 이전 1932년 LA올림픽에서 동아일보의 보도에 유사한 사례가 있었으며, 베를린 올림픽 당시에도 8월 13일자 조간에 두 가지 판이 있었다는 점에 주목하고 이러한 일련의 상황을 종합하여 그 의미를 도출해 내고 있다. | ||
+ | 이길용 : 일장기 말소의거 기자는 1936년 베를린 올림픽 당시 마라톤에서 금메달과 동메달을 따낸 손기정과 남승룡의 가슴에서 일장기를 지워 화재가 되었던 실제 취재기자 이길용의 이야기를 담아낸 책이다. 이길용은 당시 체육기자로써 베를린 올림픽의 동정을 취재하여 기사화 하는 과정에서 가슴에 일장기를 지우고 내보네 많은 파장을 야기했던 인물이다. 일종의 개인사의 측면에서 저술된 이 책은 기자 이길용의 일대기와 일장기 말소 사건을 계기로 그가 겪어야 했던 고난과 시련, 이후 체육기자의 사표로써 그가 걸어왔던 여정 등을 담담하게 담아내고 있다. 일장기 말소 사건 당사자의 생생한 이야기를 통해 사건을 충실히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을 줄 것이다. | ||
+ | |||
[[분류:한국의 중요 인물]] | [[분류:한국의 중요 인물]] |
2018년 1월 15일 (월) 23:20 판
손기정: 역경을 이겨낸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1936년 8월 9일, 제11회 베를린올림픽 마라톤 경기에서 2시간 29분 19초라는 공인된 세계 최고 기록이 수립되었다. 이 기록의 주인공 손기정(孫基禎, 1912∼2002)은 가슴에 일장기를 단 일본 대표였다. 하지만 그는 실제로는 한국인이었다. 당시는 한국이 일본의 강제 점령 아래 있던 시절이었기 때문에 이런 일이 벌어진 것이다. 손기정은 베를린으로 출발하기 전부터 반드시 1등을 하여 자신이 한국인임을 전 세계인에게 알리겠다는 결심을 하고 있었다.
달리기로 일본인을 이긴 한국인들
손기정은 어렸을 때부터 달리기에 소질이 있었다. 신의주와 만주 안동현 사이를 달리는 안의육상경기대회(安義陸上競技大會) 5,000m 달리기 종목에서 청장년을 누르고 우승했을 때 손기정은 소학교 6학년생이었다. 이때부터 그는 마라톤을 시작했고 1932년 동아일보사 주최 경영(京永) 마라톤대회에서 2위를 한 것이 인연이 되어 육상 명문인 양정고등보통학교에 입학하였다.
그 후 여러 마라톤 대회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둔 손기정은 1935년 3월 도쿄에서 열린 베를린올림픽 파견 후보 1차 선발전에서 2시간 26분 14초의 세계 기록으로 우승했다. 또 11월에 개최된 메이지신궁대회 겸 올림픽 선발 2차전에서도 2시간 26분 41초로 우승했다. 다음해 5월에 개최된 올림픽 선발 최종전에서는 남승룡(南昇龍) 선수에 이어 2위를 하였고 일본 선수들은 3위와 4위에 머물렀다.
일제강점기였던 당시 나라가 없었던 한국인은 올림픽 대표 선수로 선발되는 것이 거의 불가능했다. 최종 선발전에서 한국 선수가 1위와 2위를 차지했지만 일본은 이를 인정하고 싶지 않았다. 그래서 베를린에서 20㎞를 뛰어 최종 평가를 하도록 하였다. 올림픽에 일본 선수를 내보내기 위해서였다. 하지만 최종 평가전에서도 손기정과 남승룡은 1위와 2위를 하여 올림픽에 출전하였다.
고개 숙인 슬픈 우승자
손기정은 1936년 6월 4일 한국의 경성(지금의 서울)을 출발한 열차를 타고 베를린으로 향했다. 그가 탄 열차는 승객이 아닌 군 장비를 수송하는 화물 열차였다. 열차는 신의주와 만주, 시베리아, 모스크바, 바르샤바를 거쳐 13일 만에 베를린에 도착했다. 손기정은 이 여정에 대해 “가도 가도 넓고 큰 시베리아는 사람이 살지 않는 외진 곳 같은 광막한 평야뿐으로 조선의 경부선이나 경의선에서처럼 산이라고는 보려 해도 볼 수 없었다”라고 회고했다. 또 “열차의 규모도 컸지만 시간을 잘 지키지 않았는데, 그 덕분에 열차가 30분씩 정차할 때마다 플랫폼에 내려 달리기 연습을 할 수 있었다”라며 “이 때문에 소련에선 일본 간첩으로 오인 받아 조사를 받기도 했다”라고 했다. 이렇게 오랜 시간을 들여 베를린 역에 도착하니 마중 나온 일본 대사관 직원들은 “왜 조선인(한국인)이 두 사람씩이나 끼었느냐”라며 노골적으로 불만을 털어놓았다.
제11회 베를린 올림픽 대회에서 세계 신기록을 세우며 한국인으로서는 최초의 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한 손기정은 당시 세계 무대에 알려지지 않은 신인이었다. 그가 물리친 우승 후보들은 제10회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우승자인 아르헨티나의 자발라, 영국의 하퍼, 핀란드의 타미라 등 쟁쟁한 선수들이었다.
은메달을 획득한 영국의 하퍼는 레이스 도중 손기정에게 "서두르지 말라"라고 충고를 보내주어 스포츠맨십의 귀감이 되기도 하였다. 함께 출전한 한국의 남승룡은 동메달을 목에 걸었다. 경기 후 한 기자가 손기정에게 반환점부터 어떻게 그렇게 스피드를 낼 수 있었는가 묻자, 그는 "인간의 육체란 의지와 정신에 따라 상상할 수 없을 만큼 불가능한 일을 가능하게 한다"라고 대답하였다.
그러나 올림픽 시상식에서 일장기가 게양되고 일본 국가가 연주되자 손기정은 고개를 푹 숙이고 침울한 표정을 지었다. 손기정은 실제로는 일본인이 아니었는데 가슴에 일본 국기를 달고 출전했기 때문이다.
일장기를 지운 동아일보
손기정과 관련된 일장기말소사건(日章旗抹消事件)도 한국인의 강인한 민족성을 말해준다. 이는 1936년 8월 25일자 ≪동아일보≫ 2면에 올림픽 마라톤 시상식 사진을 게재하면서 손기정의 유니폼에 그려진 일장기를 없애버린 사건이다. 이 사건으로 ≪동아일보≫는 8월 29일자부터 무기 정간 처분을 당하였고 약 9개월이 지난 1937년 6월 3일자에야 이 처분에서 풀려났다.
1936년 베를린 올림픽 대회 당시 손기정은 우승 기념으로 고대 청동 투구를 받았다. 높이 21.5㎝의 이 투구는 기원전 6세기 쯤 고대 그리스 투사들이 마상 경기 때 사용했던 것으로 1875년 그리스 제우스 신전에서 발견되었다. 이 투구는 올림픽 당시에 손기정에게 직접 주어지지 않고 그동안 독일 올림픽 위원회에 소장되어 있었다. 그런데 1986년에 그리스의 부라딘 신문사의 주선으로 손기정에게 전달되었다. 손기정은 이 투구가 민족의 것이라고 판단하여 1994년에 대한민국 정부에 기증했다. 현재 보물 제904호로 지정되어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관련항목
참고문헌
1. 한국마라톤 역사에 대해 더 알고 싶다면...
● 대한육상경기연맹, 한국 육상경기 100년사, 동아일보사, 2013. ● 손기정, 나의 祖國 나의 마라톤 : 손기정 자서전, 학마을B&M, 2012.
한국 육상경기 100년사는 한국 육상 100년의 역사를 정리해 기록하고 있는 책이다. 식민지배의 억압 속에 한민족은 육상경기를 통해 민족적 자긍심을 얻을 수 있었다. 육상경기를 통해 우월하고 뛰어난 민족성을 확인할 수 있었던 한민족은 특히 마라톤 분야에서 괄목의 성과를 보이곤 하였다. 베를린 올림픽에서 손기정과 남승용이 금메달과 동메달을 차지하는가 하면, 해방 이후에도 보스톤 마라톤을 포함해 많은 국제대회에서 우수한 성적을 보이며, 마라톤 강국으로 자임할 수 있었다. 이 책은 손기정에서부터 황영조와 이봉주에 이르기까지 한국 마라톤의 발전사를 잘 정리하여 소개하고 있다. 나의 祖國 나의 마라톤 : 손기정 자서전은 1936년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에서 민족 최초의 금메달을 따낸 손기정이 일생을 담은 자서전이다. 이 책에는 손기정의 어두운 어린 시절과 그러한 자신을 위로해 준 마라톤에 입문하게 된 계기, 그가 평생 마라톤을 통해 마주한 많은 승부의 상황들, 한국 마라톤의 영광과 시련의 기억들을 생생하게 담아내고 있다. 한국 마라톤의 영웅의 기억을 통해 한국 마라톤 백년의 역사와 기억들을 충실히 접할 수 있는 책이다.
2. 베를린 올림픽에 대해 더 알고 싶다면...
● 안진태, 독일 제3제국의 비극, 까치글방, 2010. ● 한국체육인동우회, 겨레와 함께 뛰었다 손기정, 그 힘찬 발걸음 :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 제패 60주년 기념집, 한국체육인동우회, 1996.
독일 제3제국의 비극은 히틀러와 나치 독일에 의해 수립된 독일 제3제국의 영광의 무대로 기획된 베를린 올림픽의 적나라한 면면들을 상세하게 살피고 있는 책이다. 이 책은 제1장에서 베를린 올림픽에 대한 다양한 평가가 있다는 점을 전제로 나치 독일이 내세운 국가사회주의의 선언과는 다르게 베를린 올림픽이 파시스트에 의한 정치적 도구로 전락했다는 점을 살펴보고 있다. 나아가 저자는 히틀러에 의해 올림픽의 이념이 왜곡됨으로써 그 성과와 의의가 많이 손상될 수밖에 없었던 비극의 올림픽이었다고도 분석하였다. 올림픽 역사상 최초로 성화점화와 같은 많은 이벤트들을 만들어 내기도 하였지만, 이 역시 나치 독일의 위대함과 체제의 우월함을 과시하기 위한 의도에 기인한 것이었으며, 결과적으로 올림픽의 꽃인 마라톤에서 동양의 식민지 지배민족인 한국인 손기정에게 금메달이 돌아감으로써 그러한 의도가 결국 반감될 수밖에 없었다는 점도 함께 강조하고 있다. 겨레와 함께 뛰었다 손기정, 그 힘찬 발걸음 :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 제패 60주년 기념집은 1936년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에서 손기정 선수가 금메달을 차지한지 60주년이 되는 해를 맞아 그 날을 기념하고 기억하기 위한 내용으로 저술된 책이다. 당시 베를린 올림픽은 일본 제국주의의 식민지배를 당하던 피지배 민족의 입장에서 우리 민족의 자긍심을 확인해야 했던 절박한 무대였다. 특히 같은 군국주의 국가로써 일본과 동맹관계에 있던 나치 독일의 체제 선전에 도구로 강조되었던 베를린 올림픽에서 전세계를 제패하고 금메달을 차지한 영광의 무대였음을 이 책은 담담하게 추억해 내었다. 당시 화보 사진과 다양한 기록들, 생존자들의 인터뷰와 회상들을 담아내면서 우리에게 당시 베를린 올림픽이 어떤 의미였는지를 살펴보고, 손기정 선수의 금메달이 얼마나 많은 기쁨과 희망을 제공해 주었었는지를 이 책은 생생하게 기록해 내고 있다.
3. 일장기 말소 사건에 대해 더 알고 싶다면...
● 채백, 사라진 일장기의 진실 : 일제 강점기 일장기 말소 사건 연구, 커뮤니케이션북스, 2008. ● 이길용, 이길용 : 일장기 말소의거 기자, 한국체육기자연맹, 1993. ● 이해용, 비무장지대(DMZ)를 찾아서: 정전50년, 휴전선 분단현장 보고서, 눈빛, 2003.
사라진 일장기의 진실 : 일제 강점기 일장기 말소 사건 연구는 1936년 민족사에서 엄청난 파장을 불러 일으켰던 동아일보 일장기 말소 사건의 전말에 대해 상세하게 다루고 있는 책이다. 저자는 동아일보와 조선일보에서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에서 금메달과 동메달을 따낸 손기정과 남승룡의 가슴에서 일장기를 지운 것은 다양한 배경에서 검토가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그는 1930년대 전반적인 언론의 상황을 검토해야 일장기 말소 사건의 전말을 정확하게 알 수 있다고 보고, 일제의 언론 통제와 3개의 민간 언론지의 상업적 경쟁이 이러한 상황을 부추겼다고 분석하고 있다. 이에 대해 저자는 이미 그 이전 1932년 LA올림픽에서 동아일보의 보도에 유사한 사례가 있었으며, 베를린 올림픽 당시에도 8월 13일자 조간에 두 가지 판이 있었다는 점에 주목하고 이러한 일련의 상황을 종합하여 그 의미를 도출해 내고 있다. 이길용 : 일장기 말소의거 기자는 1936년 베를린 올림픽 당시 마라톤에서 금메달과 동메달을 따낸 손기정과 남승룡의 가슴에서 일장기를 지워 화재가 되었던 실제 취재기자 이길용의 이야기를 담아낸 책이다. 이길용은 당시 체육기자로써 베를린 올림픽의 동정을 취재하여 기사화 하는 과정에서 가슴에 일장기를 지우고 내보네 많은 파장을 야기했던 인물이다. 일종의 개인사의 측면에서 저술된 이 책은 기자 이길용의 일대기와 일장기 말소 사건을 계기로 그가 겪어야 했던 고난과 시련, 이후 체육기자의 사표로써 그가 걸어왔던 여정 등을 담담하게 담아내고 있다. 일장기 말소 사건 당사자의 생생한 이야기를 통해 사건을 충실히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을 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