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raft 중동건설업진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연구원 검토) |
(→연구원 검토) |
||
45번째 줄: | 45번째 줄: | ||
{{검토의견 | {{검토의견 | ||
|의견1= | |의견1= | ||
− | 중동시장진출에 따라 오일쇼크로 받은 반사이익을 거두어들여 경제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재원을 확보했다는 점은 사실이다. 그러나 오늘날 한국이 건설강국이 되기까지 국민적 합의와 희생이 있었고 표면적으로는 인건비가 낮아서 한국인 근로자를 많이 채용하였으나 중동진출 성공은 강인한 한국인의 근성에 근거한 것이다. 한국인의 국민성을 해외에 알리는 기회였고, 기업과 근로자들이 해외 진출에 자신감을 갖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는 점을 부각시킬 필요가 있다. 객관적 사실과 함께 스토리텔링으로 엮을 필요가 있다. | + | 중동시장진출에 따라 오일쇼크로 받은 반사이익을 거두어들여 경제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재원을 확보했다는 점은 사실이다. 그러나 오늘날 한국이 건설강국이 되기까지 국민적 합의와 희생이 있었고 표면적으로는 인건비가 낮아서 한국인 근로자를 많이 채용하였으나 중동진출 성공은 강인한 한국인의 근성에 근거한 것이다. 한국인의 국민성을 해외에 알리는 기회였고, 기업과 근로자들이 해외 진출에 자신감을 갖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는 점을 부각시킬 필요가 있다. 객관적 사실과 함께 스토리텔링으로 엮을 필요가 있다. |
− | + | <br/> | |
− | |||
이 원고의 출처가 <박정희는 어떻게 경제강국 만들었나> 만 제시되어 있다. <박정희는 어떻게 경제강국 만들었나> 에 나와 있는 내용과 차별성이 있는 집필이 필요하며, <박정희는 어떻게 경제강국 만들었나> 의 내용을 발췌 인용하였다면 정확한 출처 표시가 필요하다. 첫 페이지의 표 내용을 누락되어 있으므로 이를 작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 이 원고의 출처가 <박정희는 어떻게 경제강국 만들었나> 만 제시되어 있다. <박정희는 어떻게 경제강국 만들었나> 에 나와 있는 내용과 차별성이 있는 집필이 필요하며, <박정희는 어떻게 경제강국 만들었나> 의 내용을 발췌 인용하였다면 정확한 출처 표시가 필요하다. 첫 페이지의 표 내용을 누락되어 있으므로 이를 작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 ||
− | + | <br/> | |
|의견2= | |의견2= | ||
− | - 국내의 기술로 건설한 세계적인 건축물 1-2건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곁들이는 것도 좋겠다. | + | - 국내의 기술로 건설한 세계적인 건축물 1-2건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곁들이는 것도 좋겠다. <br/> |
− | |||
− | |||
- 맨 마지막 멘트에 석유파동, 외화벌이, 한강의 기적에 더하여 현재 한국의 첨단 건설 기술에 대해서도 언급했으면 한다. | - 맨 마지막 멘트에 석유파동, 외화벌이, 한강의 기적에 더하여 현재 한국의 첨단 건설 기술에 대해서도 언급했으면 한다. | ||
2017년 7월 28일 (금) 01:14 판
제목 | 중동건설진출 |
---|---|
집필자 | 황정욱 |
인물/기관/단체 | 현대건설, 삼성건설 |
장소/공간 | 사우디아라비아, 말레이시아, 두바이, 인도네시아 |
원고
1973년의 1차 오일쇼크로 한국경제는 위기를 맞았다. 원유가격이 한꺼번에 4배나 오르자 국내 물가는 두 배로 올랐다. 국제적 경기침체로 수출이 줄자 달러 유입은 줄고 해외에 지불해야 할 원유대금은 급증하면서 외환위기마저 겪게 되었다. 반면 산유국들은 고유가에 힘입어 오일머니가 쌓이게 되자 이 돈을 경제건설과 도로, 항만, 공항 등 사회간접자본에 대대적으로 투자했다.
그러나 한국의 경제지도자들은 원유대금으로 중동으로 빠져나간 달러를 건설시장에 진출하여 되찾아 오자는 역발상을 했다. 이 정책은 적중했고, 위기는 기회가 되었다. 중동건설시장에서 벌어드린 오일머니로 한국은 경제위기를 극복하고 80년대와 90년대 고도성장을 이룰 자본을 축적할 수 있었다.
한국의 건설업체는 초기에는 공사전체를 맡은 해외유명회사의 하청으로 시작했지만, 점차 신용과 기술을 축적하면서 독자적으로 대형공사들을 맡게 되었다. 정부도 적극적으로 한국건설업체의 해외 진출을 도왔다.
중동 진출 첫해인 1974년 수주액은 2억6000만 달러였으나 다음해에는 그 세배인 7억5000만 달러였고, 1980년에는 다시 10배 이상으로 늘어 82억 달러가 되었다. 1975-1980 기간 한국 외화수입액의 85.3%가 중동건설에서 번 달러였다. 1981년과 1982년 해외건설 수주 총액은 각각 137억 달러와 133억 달러로 미국에 이어 2위를 기록했다.
근로자 수도 급증했다. 1975년 6000명이던 것이 1978년 10만 명에 육박했고 한때 20만 명에 달했다. 성취욕이 강하고 근로기강이 엄정한 한국 근로자들은 해외 건설업체와 중동 현지인들에게 높은 신망을 받았다. 한국의 건설 업체는 공기(工期)를 맞추는 데 만족하지 않고 늘 완공 일정을 단축해 명성을 쌓았다.
해외건설은 수입 유발 효과가 거의 없으므로 외화 가득률이 매우 높다. 당시에는 한국은 인건비가 낮아서 한국인 근로자를 많이 고용했기 때문에, 시공 관리 수익뿐만 아니라 노무 인건비도 고스란히 국내에 유입되었다.
중동에서 벌어온 오일머니 덕분에 오일쇼크로 위축되었던 한국 경제가 다시 활력을 찾았다. 수출입국을 국가적 목표로 추진해온 한국은 1977년에는 수출 100억 달러를 돌파하고 경상수지 흑자까지 기록했다. 내수시장도 활성화되어 자동차 냉장고 등 고가 소비재 수요가 크게 늘었고, 주택시장도 활기를 띄게 되었다.
중동 특수로 세계적인 기업으로 성장한 대표적 기업이 현대건설이다. 현대는 1975년 10월 바레인 아랍수리조선소 건설공사 수주를 시작으로 12월 사우디 해군기지 해상공사를 따냈다.. 76년에는 기술적으로 난공사인 사우디아라비아의 주베일 산업항공사를 9억3000만 달러에 수주했다. 현대는 이런 공사에 필요한 초대형 철구조물을 울산조선소에서 제작하여 대형 바지선에 실어 대양을 항해하여 현지로 보냈다.
중동건설시장은 1986년부터 1992년까지는 이 지역의 전쟁과 정정불안으로 침체기를 겪었다. 한국의 업체들은 동남아지역으로 진출을 모색하여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등에서 각종 공사를 수주했다.
초기의 중동건설진출에는 한국의 건설근로자가 대거 참여했으나 90년대부터는 동남아와 서남아 지역의 근로자를 쓰고 있다. 수주내역도 초기의 단순건설에서 이제는 원자력발전소, 대형교량, 댐, 초고층빌딩, 지하철, 복합주택단지, 항만과 물류센터 등 기술적으로 고도화되고 규모에서 대형화되고 있다.
그 실례로, 삼성건설은 세계 최고층 빌딩인 두바이의 부르즈할리파를 시공했으며, 현대건설은 세계최장 교량인 말레이지아의 페낭대교를 건설했다.
2000년 이후 중동시장의 건설경기도 서서히 회복되어 매년 수십억 달러 수준의 수주를 받고 있다. 2016년 해외건설 수주액은 중동이 107억 달러, 동남아는 127억 달러로 동남아의 비중이 더 높았다.
석유파동으로 잃은 돈을 산유국에 가서 다시 벌어 오자는 발상을 한 정부의 적극성과 아무도 가지 않으려는 열사의 사막에서 모래 섞인 밥을 먹으며 가족과 나라를 위해 외화벌이에 나선 국민이 힘을 합쳐 한강의 기적이 이루어진 것이다.
출처 및 관련자료
출처
- 오원철, 『박정희는 어떻게 경제강국 만들었나』, 오원철 ,2006
관련자료
연구원 검토
검토의견 | |
• 중동시장진출에 따라 오일쇼크로 받은 반사이익을 거두어들여 경제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재원을 확보했다는 점은 사실이다. 그러나 오늘날 한국이 건설강국이 되기까지 국민적 합의와 희생이 있었고 표면적으로는 인건비가 낮아서 한국인 근로자를 많이 채용하였으나 중동진출 성공은 강인한 한국인의 근성에 근거한 것이다. 한국인의 국민성을 해외에 알리는 기회였고, 기업과 근로자들이 해외 진출에 자신감을 갖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는 점을 부각시킬 필요가 있다. 객관적 사실과 함께 스토리텔링으로 엮을 필요가 있다.
|
|
• - 국내의 기술로 건설한 세계적인 건축물 1-2건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곁들이는 것도 좋겠다. - 맨 마지막 멘트에 석유파동, 외화벌이, 한강의 기적에 더하여 현재 한국의 첨단 건설 기술에 대해서도 언급했으면 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