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2번째 줄: | 2번째 줄: | ||
==='''주제 Topics'''=== | ==='''주제 Topics'''=== | ||
− | # [[한국사의 중요 흐름]] An Overview of Korean History | + | # [[한국사의 중요 흐름]] [[An Overview of Korean History]] |
− | # [[한국에 대한 제논의]] Debates on Korea | + | # [[한국에 대한 제논의]] [[Debates on Korea]] |
− | # [[문화로 이해하는 한국]] Understanding Korea through Culture | + | # [[문화로 이해하는 한국]] [[Understanding Korea through Culture]] |
− | # [[한국의 중요 사건]] Key Events of Korea | + | # [[한국의 중요 사건]] [[Key Events of Korea]] |
− | # [[한국의 중요 인물]] Key Figures of Korea | + | # [[한국의 중요 인물]] [[Key Figures of Korea]] |
− | # [[지도로 보는 한국]] Korea as Seen through Maps | + | # [[지도로 보는 한국]] [[Korea as Seen through Maps]] |
2017년 7월 27일 (목) 15:51 판
History and Culture of Korea in 100 Topics
주제 Topics
- 한국사의 중요 흐름 An Overview of Korean History
- 한국에 대한 제논의 Debates on Korea
- 문화로 이해하는 한국 Understanding Korea through Culture
- 한국의 중요 사건 Key Events of Korea
- 한국의 중요 인물 Key Figures of Korea
- 지도로 보는 한국 Korea as Seen through Maps
집필의 목적 및 배경
현재 한국에는 한국의 역사 문화를 소개하는, 특히 스토리텔링 기법을 활용한 다양한 형태의 자료들이 있다. 그러나 그 자료들은 한국인의 입장에서 일방적인 시각만을 반영하거나, 텍스트 중심의 국문으로만 제작되어 있기도 하고, 근거자료가 미약한데도 재미만 추구하여 학교 교육현장에서 교육자료로 활용하기에는 신뢰하기 어려운 자료들이 많이 있다. 또한 번역 자료의 경우 한국어로 집필한 후, 이를 단순 번역함에 따라 한국학 및 한국문화에 대한 기초가 미약한 외국인들이 문화적 환경이 다른 상황에서 이해하기 어려운 문맥과 단어사용 등으로 한국역사문화에 입문하기도 전에 흥미를 잃게 되는 제약요인들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학교 및 교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한국 역사문화 이야기 자료를 개발하고, 각각의 주제를 스토리텔링 형식으로 집필하며, 풍부한 시각자료와 동영상 자료를 포함시킴으로써 기존 자료와는 차별된 한국역사문화 이야기 자료를 개발하고자 한다. 특히 국내 학교 및 교육현장만을 겨냥한 이야기 자료 개발이 아니라, 해외의 학교 및 교육현장에서 한국을 이해할 수 있도록 세계인의 시각에서 고려된 주제 설정, 집필 방식, 자료 개발 등의 기법들을 충분히 검토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책자 간행뿐만 아니라 온라인 콘텐츠로도 개발하여 국내외의 학교 및 교양교육현장에서 교육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특히 한국역사문화를 이해하기 쉽게 원고외의 시청각 자료를 충분히 활용함으로써 보고 듣고 느낄 수 있는 한국역사문화 이야기를 개발하고자 한다. 또한 해외에서 한국역사문화 교육을 위한 시청각 콘텐츠 확보가 어려운 상황(저작권 사용 허가 등의 문제)임을 고려하여, 이 연구를 통해 한국학중앙연구원이 저작권을 갖는 한국역사문화의 텍스트 및 시청각자료 콘텐츠를 확보함으로써 향후 국내외 학교, 출판사에서 학국학 교재 개발시 용이하게 활용될 수 있는 교육 자원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