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__NOTOC__
| + | =='''영문 원고 번역본'''== |
− | {{한국사의중요흐름
| + | 한반도에 처음 사람이 거주한 것은 약 50만 년 전부터였다. 구석기 시대의 유적지에서 사람의 뼈와 함께 발굴된 유물을 통해 석기의 초기 형태와 이후의 발전 형태를 추정할 수 있다. 이에 비해서 (기원전 6000년 이후인) 신석기 시대의 유적지에서는 반지하 움집들이 모여 작은 마을을 이루었음이 확인되며, 토기와 함께 뗀석기와 간석기가 발굴되고 있다. 한반도의 동부 해안 유적지에서는 덧무늬 토기가 발굴되는 데 비해, 그보다 다소 늦은 시기에 형성된 서부 해안의 유적지에서는 빗살무늬 토기가 발굴되었다. 두 유형의 토기는 대체로 기원전 8000년에서 1500넌에 걸쳐 한반도 전역으로 확산되었다. 이 시대에는 사람들이 수렵과 어로, 소규모 농경으로 생활하였다. |
− | |사진 = Korea-Ganghwado-Dolmen-02.jpg
| |
− | |국문 = 선사시대
| |
− | |영문 = Prehistoric Period
| |
− | |시작 = 500,000 BCE
| |
− | |끝 = 300 BCE
| |
− | |관련 장소 = Korean peninsula
| |
− | |관련 개념 = [[dolmen]] (northern style, southern style), [[semi-subterranean pit houses]], [[above-ground wooden houses]], [[ondol]] (underfloor heating system), [[raised design pottery]], [[comb-pattern pottery]], [[undecorated pottery]], [[slender daggers]], [[mandolin-shaped daggers]]
| |
− | |관련 물품 = UNESCO World Heritage - Gochang, Hwasun and Ganghwa Dolmen Sites
| |
− | |필드수 = 7
| |
− | }}
|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150px>
| |
− | Image:Korea-Neolithic.age-Pot-01.jpg
| |
− | Image:KoreanEarthenwareJar4000BCEAmsa-DongNearSeoul.jpg
| |
− | Image:Korea-Bronze.age-Jinju-Pot-01.jpg
| |
− | Image:화순_대곡리_청동기_일괄.jpg
| |
− | </gallery>
| |
− | =='''Draft'''== | |
− | Humans occupied the Korean peninsula from as early as 500,000 years ago. Paleolithic archaeological sites, with human bones and artifacts, give some clues as to the type of early stone tools and their development over time, while sites from the neolithic period (dating from 6,000 BCE) contain pottery, chipped and ground stone tools, and consist of semi-subterranean houses grouped into small villages<ref>Encyclopaedia of Korea</ref>. Sites on the east coast contained pottery with raised designs, while slightly later sites on the west coast contained comb-pattern pottery. These pottery styles spread prolifically across the peninsula from approximately 8,000-1,500 BCE. This period was a time of hunting, fishing, and small-scale plant cultivation.
| |
| | | |
− | The emergence of undecorated pottery is considered a marker for the next developmental period, which lasted from approximately 1,500 - 300 BCE. It was during this period that agriculture, rice cultivation in particular, developed. Settlements moved from riverbanks to hillsides to make better use of the flat land by the rivers for farming. Burial practices during this period became more advanced, with megalithic dolmens marking burial sites. Korean dolmens make up over 70 percent of the world's dolmens and some have been registered as [http://whc.unesco.org/en/list/977 UNESCO World Heritages]. Use of bronze began during this period, appearing in the form of slender daggers found only on the Korean peninsula and mandolin-shaped daggers which made their way from northwest China all the way to southwest Korea, indicative of widespread trade. However, bronze items were uncommon and reserved for the elite, usually utilized for weapons and ornaments.
| + | 민무늬 토기의 등장은 좀 더 발전된 다음 시대로 넘어감을 알리는 이정표 역할을 한다. 대략 기원전 1500년에서 300년 사이에 걸친 이 시대에는 농업, 특히 벼농사가 발달했다. 사람들은 주거지를 강기슭에서 언덕으로 옮기고 강변의 평지를 농토로 활용하였다. 또한 매장 풍습이 한층 진전되면서, 거석의 고인돌이 매장지의 표시로 설치되었다. 전 세계 고인돌의 70% 이상이 한국에 있는데, 그 중 일부는 유네스코 지정 세계 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다. 이 시대에는 청동기도 사용되었는데, 세형 동검은 한반도에서만 발견되고 있는 반면에 비파형 동검은 중국 북서부에서 한국 남서부에 걸쳐 분포하고 있어서, 당시에 교역이 폭넓게 이루어졌음을 짐작하게 한다. 하지만 청동기는 귀해서 지배층만이 가질 수 있었고, 주로 무기나 장신구에 사용되었다. |
| | | |
− | Iron is believed to have begun being produced in the 3rd century BCE. It was widely used for agriculture, weapons, and armor and may have contributed to wood-working tools which gave rise to above-ground wooden houses. Primitive forms of ''ondol'', the native Korean underfloor heating system, were used in advanced pit-houses<ref>The Korean House</ref> during this period.
| + | 철기는 기원전 3세기 들어 생산되기 시작하였을 것이다. 철기는 무기와 갑주뿐만 아니라 농경에도 널리 사용되었다. 또한 철재 목공 도구의 개발은 지상 목조 가옥이 등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 시기에는 한국 고유의 난방 수단으로 바닥 아래를 덥히는 온돌의 원시 형태가 수혈 주거에서 사용되고 있었다. |
− | | |
− | =='''Glossary'''==
| |
− | | |
− | * Concepts
| |
− | ** dolmen
| |
− | *** northern style
| |
− | *** southern style
| |
− | ** semi-subterranean pit houses
| |
− | ** above-ground wooden houses
| |
− | ** ondol (underfloor heating system)
| |
− | ** raised design pottery
| |
− | ** comb-pattern pottery
| |
− | ** undecorated pottery
| |
− | ** slender daggers
| |
− | ** mandolin-shaped daggers
| |
− | | |
− | * Places
| |
− | ** Korean peninsula
| |
− | | |
− | * Objects
| |
− | ** UNESCO World Heritage - Gochang, Hwasun and Ganghwa Dolmen Sites
| |
− | | |
− | =='''Media'''==
|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150px>
| |
− | Image:Korea-Neolithic.age-Pot-01.jpg|Classic Comb-pattern Vessel with a Wide Mouth, c. 3500 BC<ref>[https://en.wikipedia.org/wiki/File:Korea-Neolithic.age-Pot-01.jpg National Museum of Korea, Wikimedia Commons]</ref>
| |
− | Image:KoreanEarthenwareJar4000BCEAmsa-DongNearSeoul.jpg|Korean earthenware vessel in the classic comb-pattern style, c. 4000 BC, from Amsa-dong, Seoul<ref>[https://en.wikipedia.org/wiki/File:KoreanEarthenwareJar4000BCEAmsa-DongNearSeoul.jpg British Museum, Wikimedia Commons]</ref>
| |
− | Image:Korea-Bronze.age-Jinju-Pot-01.jpg|Undecorated Pottery from Jinju<ref>[https://en.wikipedia.org/wiki/File:Korea-Bronze.age-Jinju-Pot-01.jpg Mumun Pottery from Jinju, Korea, Wikimedia Commons]</ref>
| |
− | Image:Dolmensites.jpg|Locations of Dolmen and Other Artifacts<ref>[http://blog.naver.com/jm106so/220649997152 박풍, 한국사-구석기-신석기-청동기-철기]</ref>
| |
− | Image:Dolmentypes.jpg|Dolmen Structure<ref>[https://www.pinterest.com/pin/342766221613446852/ Pinterest]</ref>
| |
− | Image:Korea-Ganghwado-Dolmen-02.jpg |Northern Type Dolmen from Ganghwado<ref>[https://en.wikipedia.org/wiki/File:Korea-Ganghwado-Dolmen-02.jpg Wikimedia Commons]</ref>
| |
− | Image:Gochang_Dolmen_Sites_-_3.JPG |Northern Type Dolmen from Gochang<ref>[https://en.wikipedia.org/wiki/File:Gochang_Dolmen_Sites_-_3.JPG Wikimedia Commons]</ref>
| |
− | Image:Dolmen_Hongseong_South_Korea.JPG|Southern Type Dolmen from Hongseong<ref>[https://en.wikipedia.org/wiki/File:Dolmen_Hongseong_South_Korea.JPG Wikimedia Commons]</ref>
| |
− | Image:화순_대곡리_청동기_일괄.jpg|Bronze Artifacts from Daegok-ri, Hwasun<ref>[https://en.wikipedia.org/wiki/File:화순_대곡리_청동기_일괄.jpg, Wikimedia Commons]</ref>
| |
− | </gallery>
| |
− | | |
− | =='''Further Reading'''==
| |
− | * [http://www.korea.net/NewsFocus/Culture/view?articleId=127044 ''Heritage & Relics of Korea, Part 1,'' Korea.net]
| |
− | | |
− | =='''Editor's Worksheet'''==
| |
− | | |
− | ==='''Items for Review'''===
| |
− | * dates for each time period
| |
− | ** humans living on the peninsula
| |
− | ** paleolithic
| |
− | ** neolithic
| |
− | ** raised design pottery
| |
− | ** comb-pattern pottery
| |
− | ** undecorated pottery
| |
− | ** use of bronze
| |
− | ** use of iron
| |
− | | |
− | ===Media Content to Be Produced===
| |
− | * locations of pottery sites
| |
− | * movement of pottery style over time
| |
− | * emergence of ondol heating
| |
− | * location of dolmens by type
| |
− | | |
− | =='''References'''==
| |
− | <references/>
| |
− | | |
− | {{역사 Top icon}}
| |
− | [[분류:한국사의 중요 흐름]]
| |
한반도에 처음 사람이 거주한 것은 약 50만 년 전부터였다. 구석기 시대의 유적지에서 사람의 뼈와 함께 발굴된 유물을 통해 석기의 초기 형태와 이후의 발전 형태를 추정할 수 있다. 이에 비해서 (기원전 6000년 이후인) 신석기 시대의 유적지에서는 반지하 움집들이 모여 작은 마을을 이루었음이 확인되며, 토기와 함께 뗀석기와 간석기가 발굴되고 있다. 한반도의 동부 해안 유적지에서는 덧무늬 토기가 발굴되는 데 비해, 그보다 다소 늦은 시기에 형성된 서부 해안의 유적지에서는 빗살무늬 토기가 발굴되었다. 두 유형의 토기는 대체로 기원전 8000년에서 1500넌에 걸쳐 한반도 전역으로 확산되었다. 이 시대에는 사람들이 수렵과 어로, 소규모 농경으로 생활하였다.
민무늬 토기의 등장은 좀 더 발전된 다음 시대로 넘어감을 알리는 이정표 역할을 한다. 대략 기원전 1500년에서 300년 사이에 걸친 이 시대에는 농업, 특히 벼농사가 발달했다. 사람들은 주거지를 강기슭에서 언덕으로 옮기고 강변의 평지를 농토로 활용하였다. 또한 매장 풍습이 한층 진전되면서, 거석의 고인돌이 매장지의 표시로 설치되었다. 전 세계 고인돌의 70% 이상이 한국에 있는데, 그 중 일부는 유네스코 지정 세계 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다. 이 시대에는 청동기도 사용되었는데, 세형 동검은 한반도에서만 발견되고 있는 반면에 비파형 동검은 중국 북서부에서 한국 남서부에 걸쳐 분포하고 있어서, 당시에 교역이 폭넓게 이루어졌음을 짐작하게 한다. 하지만 청동기는 귀해서 지배층만이 가질 수 있었고, 주로 무기나 장신구에 사용되었다.
철기는 기원전 3세기 들어 생산되기 시작하였을 것이다. 철기는 무기와 갑주뿐만 아니라 농경에도 널리 사용되었다. 또한 철재 목공 도구의 개발은 지상 목조 가옥이 등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 시기에는 한국 고유의 난방 수단으로 바닥 아래를 덥히는 온돌의 원시 형태가 수혈 주거에서 사용되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