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raft 청일전쟁과 러일전쟁(한반도에서 일어난 열강의 각축: 한국의 응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Korea100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판 1개를 가져왔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논의 Top icon}}
+
{{기본정보
==문제의식==
+
|제목= 한반도를 둘러싼 중국, 일본, 러시아의 쟁탈전
외국교과서에서 청일전쟁은 중국이 한국에 대한 종주권을 잃어버리고 일본이 침략의 발판을 마련했다는 데 중점을 두고 있음.
+
|집필자=이어라
러일전쟁 또한 일본과 러시아의 제국주의적 충돌로만 보는 관점이 지배적임.
+
|인물/기관/단체= [[조선 고종|고종]], [[이토 히로부미]], [[이홍장]]
이 전쟁을 통해 한국이 위기를 극복하고 자주국가로의 면모를 지키기 위한 노력했음에도 불구하고 이와 같은 내용은 거의 언급되고 있지 않음.
+
|장소/공간= [[인천]], [[평양]], [[봉천]], [[동해]], [[랴오둥반도]], [[압록강]]
 +
|사건= [[동학농민운동]], [[청일전쟁]], [[삼국간섭]], [[을미사변]], [[아관파천]], [[광무개혁]], [[러일전쟁]]
 +
|기록물= [[시모노세키조약]], [[포츠머스조약]], [[영일동맹]]
 +
|개념용어= [[제국주의]], [[청일전쟁]], [[러일전쟁]]
 +
|물품/도구/유물=
 +
}}
  
==오류사례==
+
=='''원고'''==
* 호주 교과서: Dorothy Minkoff(1998). ''Understanding Asia'', Marrickville: Science Press, pp. 323-324.
+
강화도 조약(조일수호조규) 이후 한반도에 일본의 영향력이 강화되자, 청은 1882년 임오군란을 구실로 군대를 조선에 주둔시키고 조선의 정치와 외교에 크게 간섭하기 시작했다. 이렇게 조선을 두고 청과 일본이 경쟁하던 1894년, 부패한 관리와 무거운 세금에 시달리던 농민들이 ‘외세를 몰아내고 잘못된 정치를 바로잡자’고 봉기하여 동학농민운동을 일으켰다.  
시모노세키조약에 따라 중국은 한국에 대한 권리를 포기하였고 일본은 한국의 독립을 보장하였다.
 
  
* 호주 교과서: Grant Miocevich(2004). ''Investigating Japan: Prehistory to post-war reconstruction'', Melbourne : Pearson education Australia, p. 36.
+
조선 정부는 농민군을 진압하기 위해 청에 군대 파견을 요청하였고, 청이 군사를 보내자 일본 또한 군대를 파병하여 두 나라의 군대는 거의 동시에 조선에 들어오게 되었다. 예상치 못한 일본군의 파병에 놀란 조선 정부는 농민군의 요구를 수용하는 조약(전주화약)을 맺어 농민군을 해산시키고, 청일 양군의 동시 철군을 요구하였다.  
일본은 어떠한 대가를 치르고서라도 한국을 차지하기로 했다. 1904년 2월 8일, 선전포고도 없이 일본 해군은 아더항에 정박해 있는 러시아 함대에 어뢰 공격을 가하여 큰 손실을 입혔다. 이틀 후 전쟁이 선포되었다.
 
  
삼 개월 이내에 러시아군이 한국 밖으로 쫓겨났다. 수많은 사상자를 내며 일본군은 압록강을 건너서 (포위 5개월만에) 아더항을 점령하고 봉천시(Mukden)를 차지하며 북으로 진격하여 만주로 들어갔다. 해전에서는 토고제독이 이끄는 일본 함대가 쓰시마해협에서 러시아 함대(7개월간 세계 일주를 한 뒤 유럽의 발틱해에서 막 돌아온 참이었다)를 패주시켰다.
+
그러나 일본은 조선의 철수 요청을 거부하고 ‘내정개혁’을 핑계 삼아 경복궁을 기습 점령한 후, 선전포고도 없이 청을 공격하여 청일 전쟁을 일으켰다. 순식간에 한반도는 청과 일본의 전쟁터로 변하였고 조선인들은 큰 피해를 입었다. 선제공격으로 승기를 잡은 일본은 조선의 내정간섭을 심화했고, 이에 해산했던 농민군은 일본을 몰아내자며 다시 봉기하였으나 일본군의 최첨단 무기에 처참히 무너졌다. 청일 전쟁은 청나라와 일본 간의 전쟁임과 동시에 한반도 내에서는 일본군과 동학 농민군과의 전쟁이기도 했다.  
  
* 싱가포르 교과서: R. Arasumani, et al.(2007). ''Crisis and conflict: An enquiry approach to modern world history'', Singapore: Marshall cavendish education. p. 138.
+
1895년 청일 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은 청과 시모노세키 조약을 맺고, 청으로부터 막대한 배상금과 랴오둥 반도와 타이완을 넘겨받았으며 조선에 대한 우월한 지위도 인정받았다. 청일 전쟁 이후 중국을 중심으로 했던 동아시아의 전통적인 국제질서는 사실상 무너졌고, 청은 열강의 침략이 강화되어 반식민지 상태로 전락하였다.  
일본은 러시아를 패망시켰다. 이는 처음으로 아시아의 국가가 유럽의 주요 국가를 무찌른 사건이기도 했다. 양국간의 포츠머스 조약이 1905년 9월 5월 맺어진다.  
 
  
* 미국 교과서: Elisabeth Gaynor Ellis, et al.(2007). ''World History: Connections to Today''. Upper saddle river: Prentice hall, p. 789.
+
일본의 승리는 만주와 조선 침략을 노리던 러시아를 자극하였다. 러시아는 독일과 프랑스를 끌어들여 일본에게 랴오둥 반도를 청에 반환하라고 압력을 가해 일본의 랴오둥 반도 점령을 저지하였다(삼국간섭). 이를 지켜본 고종은 일본을 견제하기 위해 친러 정책을 추진하였고, 위기를 느낀 일본은 깡패와 군대를 동원해 민비를 살해하고(을미사변), 단발령과 같은 강압적인 정책을 실시하였다. 이에 대한 반발로 조선에서 항일 의병운동이 일어나자, 고종은 경복궁에서 러시아 공사관으로 처소를 옮기는 아관파천을 단행하였고, 이를 계기로 한반도에서 러시아의 영향력이 증대되었다.  
러일전쟁 동안 일본군은 만주에서 러시아 군대를 패배시켰고 러시아 해군은 거의 전멸했다. 초기 근대에 아시아의 힘은 유럽 국가들의 자존심을 약화시켰다. 1905년의 포츠머스 조약에서 일본은 만주 일부지역에 대한 이권뿐만 아니라 한국에 대한 지배권을 얻었다.
+
 
 +
아관파천 일 년 후 고종은 경운궁으로 환궁하여 황제에 즉위하고 대한제국을 선포했다. 황제 칭호는 일본이 중국의 간섭으로부터 조선을 벗어나게 한다는 명분으로 착안한 것이었지만 조선에 있어 그것은 중국과 일본, 러시아의 간섭에서 벗어나 자주독립을 성취하겠다는 의지의 표명이었다. 대한 제국은 광무개혁을 추진하여 국방력을 강화하고 교육과 상공업을 진흥시켰으며 근대적 토지 소유 제도를 확립하여 근대적인 국가를 건설하려 하였다. 그러나 자주독립을 위한 대한 제국의 노력은 러일 전쟁으로 좌절되고 말았다.  
 +
 
 +
청일전쟁 이후 러시아는 청으로부터 철도 부설권을 획득하고 뤼순항을 조차하며 만주에서 입지를 강화해갔다. 또 러시아는 의화단 운동(1899-1901)을 빌미로 파견하였던 군대 일부를 철수하지 않고 압록강 주변에 주둔시켰다. 이러한 러시아의 움직임은 한반도를 사이에 두고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던 일본 뿐 아니라 영국을 자극하였다. 영국은 일본과 제1차 영일동맹(1902)을 맺어 일본을 지지하였고, 러시아가 압록강 입구의 용암포를 조차하자 미국도 일본을 지지하기 시작했다. 
 +
 
 +
영국과 미국의 강력한 후원을 얻게 된 일본은 1904년 2월 인천항에 정박 중인 러시아군을 기습 공격하여 러일 전쟁을 일으켰다. 대한제국은 전쟁의 소용돌이를 피하기 위해 중립국화를 시도하였지만 열강에 의해 묵살 당했다. 러시아가 쉽게 이길 것이라 예상했던 서양 열강들의 전망과 달리 일본은 1905년 초 뤼순을 함락하고, 동해에서 러시아의 발틱 함대를 격파함으로써 승기를 잡았다. 그 결과 1905년 9월 일본과 러시아 사이에 포츠머스 조약이 체결되어 일본은 한국에 대한 지배권을 보장받고, 만주 남부의 철도 부설권을 인정받았다.
 +
 
 +
러일 전쟁은 일본과 러시아의 국내 상황도 변화시켰다. 일본은 전쟁의 승리로 전쟁을 숭배하는 분위기가 고조되어 군국주의의 길을 걸어갔다. 러시아는 전쟁으로 생활이 빈곤해진 국민들 사이에 전쟁을 반대하는 민중봉기가 일어났고, 이는 러시아 혁명이 일어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또 동아시아로의 세력 확장이 막힌 러시아가 중앙아시아와 발칸 반도로 침략의 방향을 옮기면서 1차 세계대전의 불씨를 촉진시켰다.  
 +
 
 +
러일 전쟁 이후 일본은 고종과 대신들을 위협해 을사늑약을 체결하고 한반도의 식민지화에 박차를 가하여 1910년 한국의 국권을 박탈했다. 청일전쟁과 러일전쟁, 한반도를 둘러싼 두 차례의 전쟁은 일본이 청나라와 러시아로부터 한국에 대한 지배권을 확립하는 과정에서 일으킨 것이었다. 이 쟁탈전의 최종 피해자는 일본의 식민지로 전락하게 된 한국이었다.
  
* 미국 교과서: Jerry H. Bentley(2006). ''Traditions & encounters: A global perspective on the past''. New York: Mcgraw-hill, p. 929.
 
1905년에 러.일 전쟁은 끝났고, 일본은 한국과 요동 반도에 대한 식민지 지배권에 대한 국제적 인정을 받았다.
 
  
 
[[분류:한국에 대한 제논의]]
 
[[분류:한국에 대한 제논의]]

2017년 7월 14일 (금) 11:30 판

제목 한반도를 둘러싼 중국, 일본, 러시아의 쟁탈전
집필자 이어라
인물/기관/단체 고종, 이토 히로부미, 이홍장
장소/공간 인천, 평양, 봉천, 동해, 랴오둥반도, 압록강
사건 동학농민운동, 청일전쟁, 삼국간섭, 을미사변, 아관파천, 광무개혁, 러일전쟁
기록물 시모노세키조약, 포츠머스조약, 영일동맹
개념용어 제국주의, 청일전쟁, 러일전쟁



원고

강화도 조약(조일수호조규) 이후 한반도에 일본의 영향력이 강화되자, 청은 1882년 임오군란을 구실로 군대를 조선에 주둔시키고 조선의 정치와 외교에 크게 간섭하기 시작했다. 이렇게 조선을 두고 청과 일본이 경쟁하던 1894년, 부패한 관리와 무거운 세금에 시달리던 농민들이 ‘외세를 몰아내고 잘못된 정치를 바로잡자’고 봉기하여 동학농민운동을 일으켰다.

조선 정부는 농민군을 진압하기 위해 청에 군대 파견을 요청하였고, 청이 군사를 보내자 일본 또한 군대를 파병하여 두 나라의 군대는 거의 동시에 조선에 들어오게 되었다. 예상치 못한 일본군의 파병에 놀란 조선 정부는 농민군의 요구를 수용하는 조약(전주화약)을 맺어 농민군을 해산시키고, 청일 양군의 동시 철군을 요구하였다.

그러나 일본은 조선의 철수 요청을 거부하고 ‘내정개혁’을 핑계 삼아 경복궁을 기습 점령한 후, 선전포고도 없이 청을 공격하여 청일 전쟁을 일으켰다. 순식간에 한반도는 청과 일본의 전쟁터로 변하였고 조선인들은 큰 피해를 입었다. 선제공격으로 승기를 잡은 일본은 조선의 내정간섭을 심화했고, 이에 해산했던 농민군은 일본을 몰아내자며 다시 봉기하였으나 일본군의 최첨단 무기에 처참히 무너졌다. 청일 전쟁은 청나라와 일본 간의 전쟁임과 동시에 한반도 내에서는 일본군과 동학 농민군과의 전쟁이기도 했다.

1895년 청일 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은 청과 시모노세키 조약을 맺고, 청으로부터 막대한 배상금과 랴오둥 반도와 타이완을 넘겨받았으며 조선에 대한 우월한 지위도 인정받았다. 청일 전쟁 이후 중국을 중심으로 했던 동아시아의 전통적인 국제질서는 사실상 무너졌고, 청은 열강의 침략이 강화되어 반식민지 상태로 전락하였다.

일본의 승리는 만주와 조선 침략을 노리던 러시아를 자극하였다. 러시아는 독일과 프랑스를 끌어들여 일본에게 랴오둥 반도를 청에 반환하라고 압력을 가해 일본의 랴오둥 반도 점령을 저지하였다(삼국간섭). 이를 지켜본 고종은 일본을 견제하기 위해 친러 정책을 추진하였고, 위기를 느낀 일본은 깡패와 군대를 동원해 민비를 살해하고(을미사변), 단발령과 같은 강압적인 정책을 실시하였다. 이에 대한 반발로 조선에서 항일 의병운동이 일어나자, 고종은 경복궁에서 러시아 공사관으로 처소를 옮기는 아관파천을 단행하였고, 이를 계기로 한반도에서 러시아의 영향력이 증대되었다.

아관파천 일 년 후 고종은 경운궁으로 환궁하여 황제에 즉위하고 대한제국을 선포했다. 황제 칭호는 일본이 중국의 간섭으로부터 조선을 벗어나게 한다는 명분으로 착안한 것이었지만 조선에 있어 그것은 중국과 일본, 러시아의 간섭에서 벗어나 자주독립을 성취하겠다는 의지의 표명이었다. 대한 제국은 광무개혁을 추진하여 국방력을 강화하고 교육과 상공업을 진흥시켰으며 근대적 토지 소유 제도를 확립하여 근대적인 국가를 건설하려 하였다. 그러나 자주독립을 위한 대한 제국의 노력은 러일 전쟁으로 좌절되고 말았다.

청일전쟁 이후 러시아는 청으로부터 철도 부설권을 획득하고 뤼순항을 조차하며 만주에서 입지를 강화해갔다. 또 러시아는 의화단 운동(1899-1901)을 빌미로 파견하였던 군대 일부를 철수하지 않고 압록강 주변에 주둔시켰다. 이러한 러시아의 움직임은 한반도를 사이에 두고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던 일본 뿐 아니라 영국을 자극하였다. 영국은 일본과 제1차 영일동맹(1902)을 맺어 일본을 지지하였고, 러시아가 압록강 입구의 용암포를 조차하자 미국도 일본을 지지하기 시작했다.

영국과 미국의 강력한 후원을 얻게 된 일본은 1904년 2월 인천항에 정박 중인 러시아군을 기습 공격하여 러일 전쟁을 일으켰다. 대한제국은 전쟁의 소용돌이를 피하기 위해 중립국화를 시도하였지만 열강에 의해 묵살 당했다. 러시아가 쉽게 이길 것이라 예상했던 서양 열강들의 전망과 달리 일본은 1905년 초 뤼순을 함락하고, 동해에서 러시아의 발틱 함대를 격파함으로써 승기를 잡았다. 그 결과 1905년 9월 일본과 러시아 사이에 포츠머스 조약이 체결되어 일본은 한국에 대한 지배권을 보장받고, 만주 남부의 철도 부설권을 인정받았다.

러일 전쟁은 일본과 러시아의 국내 상황도 변화시켰다. 일본은 전쟁의 승리로 전쟁을 숭배하는 분위기가 고조되어 군국주의의 길을 걸어갔다. 러시아는 전쟁으로 생활이 빈곤해진 국민들 사이에 전쟁을 반대하는 민중봉기가 일어났고, 이는 러시아 혁명이 일어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또 동아시아로의 세력 확장이 막힌 러시아가 중앙아시아와 발칸 반도로 침략의 방향을 옮기면서 1차 세계대전의 불씨를 촉진시켰다.

러일 전쟁 이후 일본은 고종과 대신들을 위협해 을사늑약을 체결하고 한반도의 식민지화에 박차를 가하여 1910년 한국의 국권을 박탈했다. 청일전쟁과 러일전쟁, 한반도를 둘러싼 두 차례의 전쟁은 일본이 청나라와 러시아로부터 한국에 대한 지배권을 확립하는 과정에서 일으킨 것이었다. 이 쟁탈전의 최종 피해자는 일본의 식민지로 전락하게 된 한국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