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권도 종주국 한국의 전통 무예"의 두 판 사이의 차이

Korea100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인간 본성의 동작)
잔글 (스포츠로도 즐겼던 수박희)
13번째 줄: 13번째 줄:
 
[[고려]]에서는 [[삼국시대]]부터 해오던 [[택견]]이 체계화되어 자주 행해졌다. 또 『[[고려사|고려사(高麗史)]]』에는 “임금이 상춘정에 납시어 수박희를 보셨다”거나 수박희에 뛰어난 실력을 보이는 사람을 승진시켰다는 기록도 있다. 단지 무예로서만이 아니라 스포츠 경기로서 자주 행해지고 즐겼던 것으로 보인다.
 
[[고려]]에서는 [[삼국시대]]부터 해오던 [[택견]]이 체계화되어 자주 행해졌다. 또 『[[고려사|고려사(高麗史)]]』에는 “임금이 상춘정에 납시어 수박희를 보셨다”거나 수박희에 뛰어난 실력을 보이는 사람을 승진시켰다는 기록도 있다. 단지 무예로서만이 아니라 스포츠 경기로서 자주 행해지고 즐겼던 것으로 보인다.
  
[[조선]]에서는 무인들 뿐 아니라 일반 백성들 사이에서도 수박희가 성행했다. 『[[태종실록|태종실록(太宗實錄)]]』에는 군사 시험에서 수박희로 평가를 하고, 임금이 주최한 행사에서도 시행되었다. [[조선]] 말에 일제 탄압으로 무예 수련이 금지되었으나, 독립군들의 심신 수련 목적으로 수박희나 택견의 명맥이 유지되었다.
+
[[조선]]에서는 무인들 뿐 아니라 일반 백성들 사이에서도 수박희가 성행했다. 『[[태종실록|태종실록(太宗實錄)]]』에는 군사 시험에서 수박희로 평가를 하고, 임금이 주최한 행사에서도 시행되었다. [[조선]] 말에 일제 탄압으로 무예 수련이 금지되었으나, 독립군들의 심신 수련 목적으로 수박희나 택견을 하여 그 명맥이 유지되었다.
  
 
광복 후 우리 무예를 되찾고자 후진을 양성하고, [[태권도]]라는 이름 아래 수련 과정을 체계화하였으며, 태권도협회가 만들어져 지도자를 배출하였다. 그들은 전세계로 진출하여 [[태권도]]를 국제적인 스포츠의 반열에 올렸다.
 
광복 후 우리 무예를 되찾고자 후진을 양성하고, [[태권도]]라는 이름 아래 수련 과정을 체계화하였으며, 태권도협회가 만들어져 지도자를 배출하였다. 그들은 전세계로 진출하여 [[태권도]]를 국제적인 스포츠의 반열에 올렸다.
   
+
 
 
===태권도의 종주국===
 
===태권도의 종주국===
 
한국의 대표적 무술인 [[태권도]]는 [[택견]]과 수박희 등 여러 전통 무술을 계승 발전시켜 현대에 만들어진 것이다. [[태권도]] 수련 방법은 기본 동작으로부터 품세, 겨루기, 단련, 호신술 등으로 구별한다. 기본동작은 [[태권도]] 기술의 근간을 이루는 손과 발을 이용한 기술로, 주먹과 손날을 이용한 막기, 지르기, 찌르기, 치기와 발을 이용한 차기 기술이 있다. 품세는 혼자서 상대를 가상하여 공격과 방어의 동작을 합리적이고 효과적으로 숙달시켜 민첩성, 근력, 유연성 및 중심의 이동, 그리고 호흡 조절 및 동작의 완급 등을 발전시키는 것이다.  
 
한국의 대표적 무술인 [[태권도]]는 [[택견]]과 수박희 등 여러 전통 무술을 계승 발전시켜 현대에 만들어진 것이다. [[태권도]] 수련 방법은 기본 동작으로부터 품세, 겨루기, 단련, 호신술 등으로 구별한다. 기본동작은 [[태권도]] 기술의 근간을 이루는 손과 발을 이용한 기술로, 주먹과 손날을 이용한 막기, 지르기, 찌르기, 치기와 발을 이용한 차기 기술이 있다. 품세는 혼자서 상대를 가상하여 공격과 방어의 동작을 합리적이고 효과적으로 숙달시켜 민첩성, 근력, 유연성 및 중심의 이동, 그리고 호흡 조절 및 동작의 완급 등을 발전시키는 것이다.  

2018년 1월 25일 (목) 23:17 판

Eng icon.JPG


태권도 종주국 한국의 전통 무예

인간 본성의 동작

인간은 누군가로부터 공격을 받으면 자기 방어를 위한 자연발생적인 동작을 취하게 된다. 이를 놀이처럼 행하다가 서로 겨뤄보면서 점차 어떤 형식을 갖추게 되며 체계화한 것이 태권도의 기원이라 할 수 있다. 그래서 태권도는 어떤 도구 없이 손과 발을 주로 사용하는 전신운동으로 발전하였으며, 기술 단련으로 자신을 방어하는 호신 무술이기도 하다.

고대 한반도 부족국가에서는 제사를 지내면서 춤을 추고 신체를 단련하기 위한 무술을 연마하였다. 고대에는 씨름, 택견, 활쏘기 등으로 명확하게 분류되지 않은 종합 무예의 형태를 띠고 있었다. 무예는 전쟁 준비를 위한 훈련으로서만이 아니라 교양으로서의 놀이나 무용의 요소까지 함께 갖추었던 것이다. 가무와 유희의 몸짓이 대결 구도를 갖추게 되면서 수박(手搏), 수박희(手搏戱), 택견 등 전통무술로 계승되었고, 이를 한층 발전시킨 것이 오늘날의 태권도이다.

스포츠로도 즐겼던 수박희

고구려 고분인 무용총 벽화에는 씨름을 하거나 말을 타고 활을 쏘는 등의 무예 장면과 태권도의 대련(두 사람이 마주하여 공격과 방어 기술을 연습하는 것)과 유사한 모습도 그려져 있다. 『일본서기(日本書紀)』에 백제에서 대좌평 지적이란 사람을 초청하여 상박(相撲)을 겨뤘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백제인들 역시 맨손 무예를 했던 것을 알 수 있다.

고려에서는 삼국시대부터 해오던 택견이 체계화되어 자주 행해졌다. 또 『고려사(高麗史)』에는 “임금이 상춘정에 납시어 수박희를 보셨다”거나 수박희에 뛰어난 실력을 보이는 사람을 승진시켰다는 기록도 있다. 단지 무예로서만이 아니라 스포츠 경기로서 자주 행해지고 즐겼던 것으로 보인다.

조선에서는 무인들 뿐 아니라 일반 백성들 사이에서도 수박희가 성행했다. 『태종실록(太宗實錄)』에는 군사 시험에서 수박희로 평가를 하고, 임금이 주최한 행사에서도 시행되었다. 조선 말에 일제 탄압으로 무예 수련이 금지되었으나, 독립군들의 심신 수련 목적으로 수박희나 택견을 하여 그 명맥이 유지되었다.

광복 후 우리 무예를 되찾고자 후진을 양성하고, 태권도라는 이름 아래 수련 과정을 체계화하였으며, 태권도협회가 만들어져 지도자를 배출하였다. 그들은 전세계로 진출하여 태권도를 국제적인 스포츠의 반열에 올렸다.

태권도의 종주국

한국의 대표적 무술인 태권도택견과 수박희 등 여러 전통 무술을 계승 발전시켜 현대에 만들어진 것이다. 태권도 수련 방법은 기본 동작으로부터 품세, 겨루기, 단련, 호신술 등으로 구별한다. 기본동작은 태권도 기술의 근간을 이루는 손과 발을 이용한 기술로, 주먹과 손날을 이용한 막기, 지르기, 찌르기, 치기와 발을 이용한 차기 기술이 있다. 품세는 혼자서 상대를 가상하여 공격과 방어의 동작을 합리적이고 효과적으로 숙달시켜 민첩성, 근력, 유연성 및 중심의 이동, 그리고 호흡 조절 및 동작의 완급 등을 발전시키는 것이다.

태권도는 무예에 경기적 요소를 더해 스포츠로서 자리를 확고히 하게 되었다. 1971년 대한태권도협회에서 예의 규범을 제정하여 태권도인의 예의와 자세, 도장에서나 일상 생활에서 지켜야 할 사항, 타인과 대화를 나누거나 방문하였을 때의 복장과 용모, 의식 등에 관하여 규정하였다. 1972년에는 태권도 중앙도장 겸 시합장으로서 ‘국기원’을 개원하였다.

1980년 7월 17일 모스크바에서 열린 국제올림픽위원회 총회에서는 태권도를 올림픽 경기 종목으로 채택하였다. 1988년 서울올림픽과 1992년 바르셀로나올림픽에서 시범 경기 종목으로, 2000년 시드니올림픽 정식 경기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이에 따라 태권도는 세계의 스포츠로서 확고한 위치를 굳히게 되었다.

한국은 태권도의 종주국이다. 세계태권도연맹의 본부는 서울에 있으며, 현재 전 세계의 태권도 도장에는 태극기를 전면에 게양하여 예의를 표시하도록 하고 있다. 또 수련생에게는 한국어 구령으로 지도함으로써 종주국으로서의 한국의 얼을 세계에 떨치고 있다.

관련항목

참고문헌

  • 전통무예에 대해 더 알고 싶다면...
임동규, 『한국의 전통 무예』, 학민사, 1990.
김부찬, 『한국 전통무예의 체육철학』, 신아출판사, 2006.
최형국, 『무예 인문학』, 인물과사상사, 2017.


『한국의 전통무예』는 전통무예에 대한 기초 입문서로써, 무예란 무엇인가, 무예의 발전, 무예 수련의 궁극적 목표, 24반 무예의 형성과 구성, 24반 무예의 문화·역사적 의미, 24반 무예의 보호와 육성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국 전통무예의 체육철학』은 한국 전통무예 속에 담긴 체육철학을 종합적으로 정리한 책이다. 저자는 전통무예가 인류의 생활 속에서 발원해 온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우리의 고유한 무예체육철학을 도출하여, 정신으로 사유하고 몸으로 체험하면서 얻어지는 기쁨들을 통해 현재의 삶의 질적 변화를 추구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했다. 이 책에서는 한국 전통무예의 흐름과 그 특징에서부터 현대적 의의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다루고 있다.

『무예 인문학』은 우리나라 전통 무예에 담긴 역사, 문화, 철학 등 인문학을 소개한 책이다. 직접 말을 타고 활을 쏘며 검술을 수련해온 전통 무예 전문가이자 무예사 전문가가 무예에 담긴 인문학적 의미, 한국 무예의 특징과 가치를 알려준다.


  • 궁술, 택견, 태권도에 대해 더 알고 싶다면...
이중화, 『조선의 궁술』, 한국학술정보, 2010.
정재성, 『전통무예와 택견』, 한국학술정보, 2008.
김진해 외, 『전통 무예 태권도』, 홍경, 2001.


『조선의 궁술』은 우리 전통의 활과 활쏘기에 대한 종합적인 책이다. 조선의 활과 화살, 궁술의 장려, 궁시의 종류, 궁술의 교범, 옛 활쏘기 풍속 및 역사적으로 활쏘기에 뛰어난 인물들에 대한 소개 등의 내용이 담겨 있다.

『전통무예와 택견』은 전통무예에 대한 의미와 정체성에 대해 설명한 것으로, 전통무예를 바라보는 올바르고 적절한 시각과 인식의 틀을 제시하였다. 주목해서 볼 부분은 4장과 5장으로, 4장에서는 택견의 역사적 특성을 설명하였고, 5장에서는 택견의 무예 철학적인 특성을 설명하였다.

『전통 무예 태권도』는 태권도의 이론과 실제를 정리한 책이다. 태권도의 기원과 역사 및 이론적 배경을 시작으로 태권도의 구성과 경기규칙에 이어 태권도의 차기 기술을 수록했다. 또한 태권도 트레이닝 방법의 이론과 실제 프로그램을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실었다. 1장에서는 태권도의 기원과 역사를 다루었다. 2장에서는 태권도의 철학, 정신, 교육적 가치, 연구, 운동역학적 이해 등 이론적 배경을 담고 있다. 3장 이하에서는 경기 규칙 및 기술 등에 대한 실제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