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역사 Top icon}}
| + | =='''영문 원고 번역본'''== |
− | __NOTOC__
| + | 병합에 이르기까지 일본은 조선에 대해 1876년에 항구를 개방하도록 한 불평등한 강제 조약부터 시작하여 30년 넘게 식민지로 만들기 위한 계획을 암암리에 추진하고 있었다. 1890년대에 일본은 청일전쟁에 이어 중국으로 하여금 조선과의 관계의 단절하도록 했으며, 민비를 시해하고, 대한제국을 빚더미에 올려놓았는가 하면, 밀정을 파견하여 조선 전국의 지도를 작성하도록 함으로써 병합 이후 식민지 기반 시설이 조속히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게 하였다. 한국은 1905년의 한일협상조약을 통해 일본의 피보호국으로 선포되었다. 조약은 황제인 고종이 아니라 한국의 내각 대신 5명이 죽음의 위협을 받고 서명을 강요당한 것이었다. 한국은 1910년 일본에 완전히 병합되었는데, 이 역시 황제인 순종이 서명한 것이 아니라 친일파 총리대신이 옥쇄를 훔쳐 날인한 조약을 통해서였다. |
− | {{한국사의중요흐름
| |
− | |사진 =
| |
− | |국문 = 일제강점기
| |
− | |영문 =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 |
− | |시작 = 1910
| |
− | |끝 = 1945
| |
− | |관련 인물 = [[King Gojong]], [[Queen Min]], [[King Sunjong]], [[foreign missionaries]]
| |
− | |관련 장소 = [[Gyeongseong]](present-day Seoul), [[Seodaemun Prison]]
| |
− | |관련 사건 = [[Sino-Japanese War]], [[Japan-Korea Treaty of 1905]], [[Annexation Treaty of 1910]]. [[March 1st Movement]], [[World War II]]
| |
− | |관련 개념 = [[Unit 731]], [[Shinto]], [[comfort women]]
| |
− | |관련 물품 = [[Governor-General's Building]], [[Gwanghwamun Gate]], [[Korean Declaration of Independence]]
| |
− | |관련 국가 = [[대한제국|The Korean Empir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United States]], [[Soviet Union]], [[China]]
| |
− | |필드수 = 10
| |
− | }}
| |
− | =='''Draft'''==
| |
− | Leading up to the annexation, Japan had been surreptitiously making plans for colonization for over 30 years, beginning with the unfair and forced treaty making Korea open its ports in 1876. In the 1890s, Japan made [[China]] sever its relationship with Korea following the [[Sino-Japanese War]], assassinated of [[Queen Min]], forced the [[Korean Empire]] into debt, and sent spies to map the country to facilitate quicker implementation of colonial infrastructure upon annexation. Korea was declared a protectorate of Japan in the [[Japan-Korea Treaty of 1905]], which was not signed by King Gojong himself, but rather five Korean ministers who were forced to do so at the threat of death. Korea was fully annexed in 1910, via a treaty that was again not signed by [[King Sunjong]], but a pro-Japanese minister who stole the royal seal.
| |
| | | |
− | Upon annexation, Japan began the rapid industrialization of Korea for the purposes of extracting resources, destroying over 90% of major cultural heritages like the city walls and gates as well as palace buildings in the process<ref>reference</ref>. A key symbol of such desecration was the [[Governor-General's Building]], which was built on the site of [[Gwanghwamun Gate]], the main gate of the official palace of the Joseon Dynasty. Other cultural artifacts were taken to Japan, over 30,000 of which remain there today<ref>reference</ref>. Industrialization led to a population boom along with urbanization around Seoul, although its economic benefits were largely restricted to the Japanese and pro-Japan collaborators. The colonial government defacto forced Koreans to take Japanese names, suppressed Korean-language media, and suppressed Korean culture. People were also forced to worship at [[Shinto]] shrines, and those who refused, including [[foreign missionaries]], were deported. During [[World War II]], the Japanese forced Koreans into labor, including as [[comfort women]], who were sex slaves for the Japanese military. Koreans also were experimented on and died in [[Unit 731]], a secret military medical experimentation unit. After World War II, Japanese were forced to surrender the Korean territory, which was temporarily divided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along the 38th parallel.
| + | 병합을 기화로 일본은 자원 착취를 목적으로 한국을 급속히 산업화하기 시작했는데, 그 과정에서 궁궐 건물과 함께 성벽과 성문 등과 같은 주요 문화 유산을 90% 이상 파괴하였다. 이같은 모독을 여실히 상징하는 것이 조선 왕조의 정궁의 정문인 광화문을 헐고 그 자리에 세운 총독부 청사였다. 다른 문화 유물들은 일본으로 반출되어, 오늘날 일본에 남아 있는 것만도 30,000점이 넘는다. 산업화는 서울 주변의 도시화와 함께 인구 증가를 자극하였는데, 그에 따른 경제적 이득은 대부분 일본인들과 친일 부역자들이 차지하였다. 식민 정부는 한국인들로 하여금 일본 이름으로 개명하도록 강요했으며, 한국어로 발행되는 언론을 탄압하고 한국 문화를 억눌렀다. 또한 한국인들은 신사 참배도 강요당했는데, 외국인 선교사를 포함하여 이를 거부하는 사람들은 강제 추방당하였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일본인들이 한국인들을 일본 군대의 성노예인 위안부의 경우처럼 노역에 강제 징발하였다. 한국인들은 또한 비밀 의료 실험 부대인 731부대에서 실험을 당하며 죽어갔다. 2차 대전 후 일본인들은 한국을 포기해야 했고, 한국은 위도 38도선을 경계로 하여 일시적으로 미국과 소련에 분할되었다. |
| | | |
− | Throughout the occupation, Koreans engaged in many efforts for independence. Prior to Korea's annexation, ordinary citizens started the [[National Debt Repayment Movement]] in an attempt to pay back the debts Japan had forced on Korea. The most famous independence movement began on March 1, 1919, when the [[Korean Declaration of Independence]] was signed by 33 activists. Following this declaration, over 2,000,000 Koreans participated in more than 1,500 independence demonstrations<ref>reference</ref>. The movement was met with harsh suppression,with tens of thousands killed, injured, or arrested sent without trial to the [[Seodaemun Prison]]. It was also at this time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was established, a government in exile which moved around various cities in China throughout the remaining duration of the occupation.
| + | 일본 강점 하에서 한국인들은 독립을 위한 많은 노력을 경주하였다. 일본에 병합되기 전만 해도 일반 시민들이 국채보상운동을 시작하여 일본이 한국에 안긴 부채를 상환하는 데 힘을 모았다. 가장 유명한 독립 운동은 1919년 3월 1일에 시작되었다. 그날 독립선언서에 33명의 운동가들이 서명하였고, 그 선언에 이어 200만 명이 넘는 한국인들이 1,500회 이상의 독립을 요구하는 시위에 참가하였다. 이 운동은 가혹한 탄압을 받았으니, 수십만 명이 살해되거나 부상당하거나 체포되어 재판도 없이 서대문 교도소에 투옥되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된 것도 바로 이때였다. 그 후 이 망명 정부는 중국의 여러 도시를 옮겨 다니며 남은 강점 시기를 견디었다. |
− | | |
− | =='''Glossary'''==
| |
− | *People
| |
− | **[[King Gojong]]
| |
− | **[[Queen Min]]
| |
− | **[[foreign missionaries]]
| |
− | | |
− | *Places
| |
− | **[[Gyeongseong ]] (capital during the occupation; present-day Seoul)
| |
− | **[[Seodaemun Prison]]
| |
− | | |
− | *Events
| |
− | **[[Sino-Japanese War]]
| |
− | **[[Japan-Korea Treaty of 1905]]
| |
− | **[[National Debt Repayment Movement]]
| |
− | **[[Annexation Treaty of 1910]]
| |
− | **[[March 1st Movement]]
| |
− | **[[World War II]]
| |
− | | |
− | *Concepts
| |
− | **[[Unit 731]]
| |
− | **[[Shinto]]
| |
− | **[[Comfort women]]
| |
− | | |
− | *Objects
| |
− | **[[Governor-General's Building]]
| |
− | **[[Gwanghwamun Gate]]
| |
− | **[[Korean Declaration of Independence]]
| |
− | | |
− | *Related States
| |
− | **[[대한제국|The Korean Empire]]
| |
− |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 |
− | **[[United States]]
| |
− | **[[Soviet Union]]
| |
− | **[[China]]
| |
− | | |
− | =='''Media'''==
| |
− | | |
− | =='''Further Reading'''==
| |
− | | |
− | =='''Editor's Worksheet'''==
| |
− | | |
− | ===Issues to Resolve===
| |
− | * Are there issues with tone?
| |
− | * References for numbers??
| |
− | | |
− | ===Media to be Produced===
| |
− | * Building of Infrastructure (경부선 등)
| |
− | * Changes to Gyeongseong
| |
− | * Movement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 |
− | * Sino-Japanese War
| |
− | | |
− | ===Samples===
| |
− | '''Center for International Affairs, ''Korea in the World'', Academy of Korean Studies, 2015, p.11.'''
| |
− | | |
− | '''March 1st Movement'''
| |
− | | |
− | The dawn of the modern era did not bode well for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first rumblings of Japanese imperialism, Japan annexed Korea in 1910, and the Korean people struggled hard to regain their sovereignty.
| |
− | | |
− | On March 1, 1919, the Korean Declaration of Independence, which was signed by 33 prominent Korean leaders, was announced. This precipitated a national uprising against the Japanese occupation, and political and armed resistance occurred both at home and abroad. The <span style="color:green">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span> was established in Shanghai, China.
| |
− | | |
− | | |
− | '''Korean Culture and Information Service, ''Facts about Korea'', Korean Culture and Information Service, 2009, pp.31-32.'''
| |
− | | |
− | '''Japanese Occupation and Independence Movement'''
| |
− | | |
− | In the 19th century, Korea remained a "Hermit Kingdom," adamantly opposed to Western demands for diplomatic and trade relations. Over time, a few Asian and European countries with imperialistic ambitions competed with each other for influence over the Korean Peninsula. Japan, after winning wars against China and Russia, forcibly annexed Korea and instituted colonial rule in 1910.
| |
− | | |
− | Colonial rule stimulated the patriotism of Koreans. Korean intellectuals were infuriated by Japan's official assimilation policy, which even banned Korean-language education in Korean schools. On March 1, 1919, <span style="color:green">a peaceful demonstration calling for independence spread nationwide</span>. The Japanese authorities ruthlessly repressed the demonstrators and their supporters, slaughtering thousands.
| |
− | | |
− | Although it failed, the March 1 Independence Movement created strong bonds of national identity and patriotism among Koreans. The movement led to the establishment of a Provisional Government in Shanghai, China, as well as an organized armed struggle against the Japanese colonists in Manchuria. The Independence Movement is still commemorated among Koreas every March 1, which is designated a national holiday.
| |
− | | |
− | During the colonial period, Japan's economic exploitation of Korea continued. The lives of Koreans deteriorated under colonial rule until the end of World War II in 1945.
| |
− | | |
− | * '''[http://asianhistory.about.com/od/southkorea/ig/Korea-in-Photos/ Korea in the Imperial Era and Japanese Occupation]''' - about.com
| |
− | * '''[http://afe.easia.columbia.edu/main_pop/kpct/kp_koreaimperialism.htm Korea as a Colony of Japan, 1910-1945]''' - Asia for Educators (Columbia University)
| |
− | * '''[https://openresearch-repository.anu.edu.au/handle/1885/10445 History - Colonial Period, 1910-1945 (K. Wells)]''' - Encyclopaedia of Korea, p. 518-529
| |
− | | |
− | ==References==
| |
− | <references/>
| |
− | | |
− | [[분류:한국사의 중요 흐름]]
| |
병합에 이르기까지 일본은 조선에 대해 1876년에 항구를 개방하도록 한 불평등한 강제 조약부터 시작하여 30년 넘게 식민지로 만들기 위한 계획을 암암리에 추진하고 있었다. 1890년대에 일본은 청일전쟁에 이어 중국으로 하여금 조선과의 관계의 단절하도록 했으며, 민비를 시해하고, 대한제국을 빚더미에 올려놓았는가 하면, 밀정을 파견하여 조선 전국의 지도를 작성하도록 함으로써 병합 이후 식민지 기반 시설이 조속히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게 하였다. 한국은 1905년의 한일협상조약을 통해 일본의 피보호국으로 선포되었다. 조약은 황제인 고종이 아니라 한국의 내각 대신 5명이 죽음의 위협을 받고 서명을 강요당한 것이었다. 한국은 1910년 일본에 완전히 병합되었는데, 이 역시 황제인 순종이 서명한 것이 아니라 친일파 총리대신이 옥쇄를 훔쳐 날인한 조약을 통해서였다.
병합을 기화로 일본은 자원 착취를 목적으로 한국을 급속히 산업화하기 시작했는데, 그 과정에서 궁궐 건물과 함께 성벽과 성문 등과 같은 주요 문화 유산을 90% 이상 파괴하였다. 이같은 모독을 여실히 상징하는 것이 조선 왕조의 정궁의 정문인 광화문을 헐고 그 자리에 세운 총독부 청사였다. 다른 문화 유물들은 일본으로 반출되어, 오늘날 일본에 남아 있는 것만도 30,000점이 넘는다. 산업화는 서울 주변의 도시화와 함께 인구 증가를 자극하였는데, 그에 따른 경제적 이득은 대부분 일본인들과 친일 부역자들이 차지하였다. 식민 정부는 한국인들로 하여금 일본 이름으로 개명하도록 강요했으며, 한국어로 발행되는 언론을 탄압하고 한국 문화를 억눌렀다. 또한 한국인들은 신사 참배도 강요당했는데, 외국인 선교사를 포함하여 이를 거부하는 사람들은 강제 추방당하였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일본인들이 한국인들을 일본 군대의 성노예인 위안부의 경우처럼 노역에 강제 징발하였다. 한국인들은 또한 비밀 의료 실험 부대인 731부대에서 실험을 당하며 죽어갔다. 2차 대전 후 일본인들은 한국을 포기해야 했고, 한국은 위도 38도선을 경계로 하여 일시적으로 미국과 소련에 분할되었다.
일본 강점 하에서 한국인들은 독립을 위한 많은 노력을 경주하였다. 일본에 병합되기 전만 해도 일반 시민들이 국채보상운동을 시작하여 일본이 한국에 안긴 부채를 상환하는 데 힘을 모았다. 가장 유명한 독립 운동은 1919년 3월 1일에 시작되었다. 그날 독립선언서에 33명의 운동가들이 서명하였고, 그 선언에 이어 200만 명이 넘는 한국인들이 1,500회 이상의 독립을 요구하는 시위에 참가하였다. 이 운동은 가혹한 탄압을 받았으니, 수십만 명이 살해되거나 부상당하거나 체포되어 재판도 없이 서대문 교도소에 투옥되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된 것도 바로 이때였다. 그 후 이 망명 정부는 중국의 여러 도시를 옮겨 다니며 남은 강점 시기를 견디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