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해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내용)
(인용 및 참조)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2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인물정보
 
{{인물정보
|사진= KadhLogo2.gif
+
|사진= joseon_mugwan_mid.png
|사진출처=
+
|사진출처=
 
|대표명칭= 최해산
 
|대표명칭= 최해산
 
|한자표기= 崔海山
 
|한자표기= 崔海山
30번째 줄: 30번째 줄:
 
}}
 
}}
 
=='''정의'''==
 
=='''정의'''==
조선 초기 무신이자, [[최무선]]의 아들.
+
조선 초기 무신이자, [[최무선]]의 아들이다.
  
 
=='''내용'''==
 
=='''내용'''==
아버지인 [[최무선]]의 저서인 [[화약수련법|『화약수련법』]]과 [[화포법|『화포법』]]을 통해 [[화포]]와 [[화약]]에 관련된 비법을 전수받아 무기 제조사에 큰 업적을 남겼다.
+
아버지 [[최무선]]의 저서인 [[화약수련법|『화약수련법』]]과 [[화포법|『화포법』]]을 통해 [[화포]]와 [[화약]]에 관련된 비법을 전수받아 무기 제조사에 큰 업적을 남겼다.
 
{{Blockquote| ...아들이 있으니 [[최해산]]이다. [[최무선|무선]]이 임종할 때에 책 한 권을 그 부인에게 주고 부탁하기를, "아이가 장성하거든 이 책을 주라."하였다. 부인이 잘 감추어 두었다가 [[최해산|해산]]의 나이 15세에 약간 글자를 알게 되어 내어주니, 곧 [[화약]]을 만드는 법이었다.
 
{{Blockquote| ...아들이 있으니 [[최해산]]이다. [[최무선|무선]]이 임종할 때에 책 한 권을 그 부인에게 주고 부탁하기를, "아이가 장성하거든 이 책을 주라."하였다. 부인이 잘 감추어 두었다가 [[최해산|해산]]의 나이 15세에 약간 글자를 알게 되어 내어주니, 곧 [[화약]]을 만드는 법이었다.
 
|출처=『태조실록』 7권, 태조 4년(1395) 4월 19일(임오) 1번째 기사. 온라인 참조: '[http://sillok.history.go.kr/id/kka_11212013_002 명 홍무(洪武) 28년 검교 참찬문하부사 최무선의 졸기]',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  
 
|출처=『태조실록』 7권, 태조 4년(1395) 4월 19일(임오) 1번째 기사. 온라인 참조: '[http://sillok.history.go.kr/id/kka_11212013_002 명 홍무(洪武) 28년 검교 참찬문하부사 최무선의 졸기]',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  
 
}}
 
}}
[[최무선]]은 1401년(태종 1) [[권근]]의 상소로 [[군기시]]에 등용되어 주부(注簿)에 올랐으며,
+
[[최무선]]은 1401년(태종 1) [[권근]]의 상소로 [[군기시]]에 등용되어 주부(注簿)에 올랐다.
 
{{Blockquote| ...[[최해산]]으로 군기 주부(軍器注簿)를 삼았다. 참찬(參贊) [[권근]]이 상서하기를, "...고(故) 지문하부사(知門下府事) [[최무선]]은 처음으로 [[화약|화약(火藥)]]을 제조하여 능히 해구(海寇)를 제어하였으니, 실로 국가에 공(功)이 있습니다. 그 아들 [[최해산|해산]]도 또한 마땅히 서용(敍用)하여야 합니다." 하였으므로, 그대로 따른 것이었다.<br/>
 
{{Blockquote| ...[[최해산]]으로 군기 주부(軍器注簿)를 삼았다. 참찬(參贊) [[권근]]이 상서하기를, "...고(故) 지문하부사(知門下府事) [[최무선]]은 처음으로 [[화약|화약(火藥)]]을 제조하여 능히 해구(海寇)를 제어하였으니, 실로 국가에 공(功)이 있습니다. 그 아들 [[최해산|해산]]도 또한 마땅히 서용(敍用)하여야 합니다." 하였으므로, 그대로 따른 것이었다.<br/>
 
|출처=『태종실록』 1권, 태종 1년(1401) 윤3월 1일(경인) 2번째 기사. 온라인 참조: '[http://sillok.history.go.kr/id/kca_10103101_002 문익점의 아들 중용과 최무선의 아들 해산에게 벼슬을 내리다]',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  
 
|출처=『태종실록』 1권, 태종 1년(1401) 윤3월 1일(경인) 2번째 기사. 온라인 참조: '[http://sillok.history.go.kr/id/kca_10103101_002 문익점의 아들 중용과 최무선의 아들 해산에게 벼슬을 내리다]',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  
 +
}}
 +
1409년 10월 [[조선 태종]]이 지켜보는 가운데 [[화차|최해산화차]]를 만들어 [[해온정|해온정(解慍亭)]]에서 발사실험을 하였다.
 +
{{Blockquote|...전하께서 [[최해산]]에게 명하여 그것을 주조하라 하니, 최군이 물러나와 대ㆍ중ㆍ소 20개를 만들어 올리자, 이것을 해온정(解慍亭)에 나가서 발사 시험을 하니, 화석포(火石炮)가 1백 50보의 거리까지 나갔으므로 최군은 내승마(內乘馬)를 상으로 받았다...
 +
|출처=『신증동국여지승람』 제2권 경도 하 군기시(軍器寺). 온라인 참조: '[http://db.itkc.or.kr/dir/item?itemId=BT#/dir/node?dataId=ITKC_BT_1299A_0030_010_0010&solrQ=query%E2%80%A0%EC%B5%9C%ED%95%B4%EC%82%B0%20%ED%95%B4%EC%98%A8%EC%A0%95$solr_sortField%E2%80%A0%EA%B7%B8%EB%A3%B9%EC%A0%95%EB%A0%AC_s%20%EC%9E%90%EB%A3%8CID_s$solr_sortOrder%E2%80%A0$solr_secId%E2%80%A0BT_AA$solr_toalCount%E2%80%A01$solr_curPos%E2%80%A00$solr_solrId%E2%80%A0BD_ITKC_BT_1299A_0030_010_0010 군기시(軍器寺)]',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고전종합DB』<sup>online</sup></online></html>, 한국고전번역원.
 +
}}
 +
1424년(세종 6) 12월에는 군기판사로서 [[조선 세종]]을 모시고 [[광연루|광연루(廣延樓)]] 밑에서 [[화포]]를 발사하였다.<ref>『세종실록』 26권, 세종 6년(1424) 12월 14일(을묘) 3번째 기사. 온라인 참조: '[http://sillok.history.go.kr/id/WDA_10612014_003 군기 판사 최해산에게 명령하여 광연루에서 화포를 쏘게 하다]',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br/>
 +
그는 아버지인 [[최무선]]으로부터 전수받은 화약 제조 비법으로 화약병기와 화포 발전에 기여하였다.
 +
{{Blockquote|...아, 최군은 위로는 융숭한 위임을 저버리지 않았고, 아래로는 그 아버지가 비밀리에 남겨 준 기술을 잃지 않아, 아버지가 앞에서 시작한 것을 아들이 뒤에서 계승하였으니, 참 유능한 신하라 하겠고, 또한 유능한 아들이라 하겠다...
 +
|출처=『신증동국여지승람』 제2권 경도 하 군기시(軍器寺). 온라인 참조: '[http://db.itkc.or.kr/dir/item?itemId=BT#/dir/node?dataId=ITKC_BT_1299A_0030_010_0010&solrQ=query%E2%80%A0%EC%B5%9C%ED%95%B4%EC%82%B0%20%ED%95%B4%EC%98%A8%EC%A0%95$solr_sortField%E2%80%A0%EA%B7%B8%EB%A3%B9%EC%A0%95%EB%A0%AC_s%20%EC%9E%90%EB%A3%8CID_s$solr_sortOrder%E2%80%A0$solr_secId%E2%80%A0BT_AA$solr_toalCount%E2%80%A01$solr_curPos%E2%80%A00$solr_solrId%E2%80%A0BD_ITKC_BT_1299A_0030_010_0010 군기시(軍器寺)]',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고전종합DB』<sup>online</sup></online></html>, 한국고전번역원.
 
}}
 
}}
  
1409년 10월 [[조선 태종]]이 지켜보는 가운데 [[화차]]를 만들어 [[해온정|해온정(解慍亭)]]에서 발사실험을 하였다. 1424년(세종 6) 12월에는 군기판사로서 [[조선 세종]]을 모시고 [[광연루|광연루(廣延樓)]]에서 [[화포]] 발사연습을 주관하였다.
+
=='''지식 관계망'''==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25/C025.htm '''"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최대섭) 지식관계망''']
 
+
<html>
1425년 군기감사를 지내고, 1431년 6월 좌군동지총제(左軍同知摠制)가 되었다. 그 해 10월에는 그가 오랜 군기감 근무로 옳지 못한 일이 많았다 하여 조정 신하들이 그의 체직(遞職)을 품신했지만 세종의 두터운 신임으로 허락되지 않았고, 오히려 이듬해 공조우참판으로 승임되었다. 1개월 후 판경성군사(判鏡城郡事)로 전보되었을 때도 세종은 그가 외직으로 나갈 경우 군기감의 업무가 부실해진다 하여 중추원부사를 제수하였다.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1433년 좌군절제사로 도원수 최윤덕(崔潤德)과 함께 파저강(婆猪江) 토벌작전에 참전했을 때도 군기(軍機)를 이행하지 않은 관계로 사헌부의 탄핵을 받았지만, 세종은 "그가 20여 년 동안 오로지 화포를 맡았으니 어찌 공이 없다고 하겠는가. 벼슬만 거두도록 하라."고 하여 용서하였다.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그 뒤에도 제주안무사·중추원부사·강계절제사 등을 지냈다. 그는 전수받은 화약수련비법과 타고난 재능으로 성과 열을 다하여 화약병기를 비롯한 군장비 보강, 발전에 기여한 바 크다.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C025/C025.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최무선]] ||[[최해산]] || A는 B의 아버지이다 || 
+
| [[최해산]] || [[최무선]] || A는 아버지 B가 있다 || A ekc:hasFather B
|-
 
|[[염초]] || [[이원]]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class="wikitable"
 
! 노드 || 관계 || 노드
 
 
|-
 
|-
|[[최무선]]||~의 아버지다||[[최해산]]
+
| [[최해산화차]] || [[최해산]] ||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최해산]]||~과 관련된다||[[권근]]
+
| [[최해산화차]] || [[화차]] || A의 유형은 B이다 ||  A dcterms:type B
 
|-
 
|-
|[[최해산]]||~를 제조했다||[[화차]]
+
| [[최해산화차]] || [[철령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최해산]]||~와 관련된다||[[군기시]]
+
| [[권근]] || [[최해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
 
|-
|[[최해산]]||~에 기록되어 있다||[[신증동국여지승람]]
+
| [[군기시]] || [[최해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최해산]]||~에 기록되어 있다||[[조선왕조실록]]
 
|-
 
|}
 
 
 
===시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공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
99번째 줄: 88번째 줄:
 
===인용 및 참조===
 
===인용 및 참조===
 
#사료
 
#사료
#* 『高麗史』 禑王 3년(1377) 10월. 온라인 참조: '[http://db.history.go.kr/KOREA/search/searchResult.do?sort=levelId&dir=ASC&limit=20&page=1&codeIds=PERIOD-0-3&searchKeywordType=BI&searchKeywordMethod=EQ&searchKeyword=%EC%B5%9C%EB%AC%B4%EC%84%A0&searchKeywordConjunction=AND#searchDetail/kr/kr_133_0050_0100_0010/10/4/10/o 최무선의 건의로 화통도감을 설치하다]',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데이터베이스』<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  
+
#*『태조실록』 7권, 태조 4년(1395) 4월 19일(임오) 1번째 기사. 온라인 참조: '[http://sillok.history.go.kr/id/kka_11212013_002 명 홍무(洪武) 28년 검교 참찬문하부사 최무선의 졸기]',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  
#* 『신증동국여지승람』 제2권 경도 하. 온라인 참조: '[http://db.itkc.or.kr/dir/item?itemId=BT#/dir/node?dataId=ITKC_BT_1299A_0030_010_0010&solrQ=query%E2%80%A0%EC%9D%B4%EC%9B%90%20%EC%97%BC%EC%B4%88$solr_sortField%E2%80%A0%EC%84%9C%EB%AA%85%EA%B2%80%EC%83%89_s%20%EC%9E%90%EB%A3%8CID_s$solr_sortOrder%E2%80%A0$solr_secId%E2%80%A0BT_AA$solr_toalCount%E2%80%A041$solr_curPos%E2%80%A019$solr_solrId%E2%80%A0BD_ITKC_BT_1299A_0030_010_0010 경도 하]',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고전종합DB』<sup>online</sup></online></html>, 한국고전번역원.  
+
#* 『신증동국여지승람』 제2권 경도 하 군기시(軍器寺). 온라인 참조: '[http://db.itkc.or.kr/dir/item?itemId=BT#/dir/node?dataId=ITKC_BT_1299A_0030_010_0010&solrQ=query%E2%80%A0%EC%B5%9C%ED%95%B4%EC%82%B0%20%ED%95%B4%EC%98%A8%EC%A0%95$solr_sortField%E2%80%A0%EA%B7%B8%EB%A3%B9%EC%A0%95%EB%A0%AC_s%20%EC%9E%90%EB%A3%8CID_s$solr_sortOrder%E2%80%A0$solr_secId%E2%80%A0BT_AA$solr_toalCount%E2%80%A01$solr_curPos%E2%80%A00$solr_solrId%E2%80%A0BD_ITKC_BT_1299A_0030_010_0010 군기시(軍器寺)]',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고전종합DB』<sup>online</sup></online></html>, 한국고전번역원.  
[[분류:민족기록화]][[분류:인물]][[분류: 민족기록화 인물]]
+
#* 『세종실록』 26권, 세종 6년(1424) 12월 14일(을묘) 3번째 기사. 온라인 참조: '[http://sillok.history.go.kr/id/WDA_10612014_003 군기 판사 최해산에게 명령하여 광연루에서 화포를 쏘게 하다]',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
 +
#웹 자원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0549 최해산]",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0549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최해산"]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인물]]

2017년 11월 27일 (월) 03:45 기준 최신판

최해산(崔海山)
Joseon mugwan mid.png
대표명칭 최해산
한자표기 崔海山
생몰년 1380년-1443년
시대 고려~조선
국적
대표직함 좌군절제사, 중추원부사
성격 무신


정의

조선 초기 무신이자, 최무선의 아들이다.

내용

아버지 최무선의 저서인 『화약수련법』『화포법』을 통해 화포화약에 관련된 비법을 전수받아 무기 제조사에 큰 업적을 남겼다.

Quote-left.png ...아들이 있으니 최해산이다. 무선이 임종할 때에 책 한 권을 그 부인에게 주고 부탁하기를, "아이가 장성하거든 이 책을 주라."하였다. 부인이 잘 감추어 두었다가 해산의 나이 15세에 약간 글자를 알게 되어 내어주니, 곧 화약을 만드는 법이었다. Quote-right.png
출처: 『태조실록』 7권, 태조 4년(1395) 4월 19일(임오) 1번째 기사. 온라인 참조: '명 홍무(洪武) 28년 검교 참찬문하부사 최무선의 졸기', 『조선왕조실록』online, 국사편찬위원회.


최무선은 1401년(태종 1) 권근의 상소로 군기시에 등용되어 주부(注簿)에 올랐다.

Quote-left.png ...최해산으로 군기 주부(軍器注簿)를 삼았다. 참찬(參贊) 권근이 상서하기를, "...고(故) 지문하부사(知門下府事) 최무선은 처음으로 화약(火藥)을 제조하여 능히 해구(海寇)를 제어하였으니, 실로 국가에 공(功)이 있습니다. 그 아들 해산도 또한 마땅히 서용(敍用)하여야 합니다." 하였으므로, 그대로 따른 것이었다.
Quote-right.png
출처: 『태종실록』 1권, 태종 1년(1401) 윤3월 1일(경인) 2번째 기사. 온라인 참조: '문익점의 아들 중용과 최무선의 아들 해산에게 벼슬을 내리다', 『조선왕조실록』online, 국사편찬위원회.


1409년 10월 조선 태종이 지켜보는 가운데 최해산화차를 만들어 해온정(解慍亭)에서 발사실험을 하였다.

Quote-left.png ...전하께서 최해산에게 명하여 그것을 주조하라 하니, 최군이 물러나와 대ㆍ중ㆍ소 20개를 만들어 올리자, 이것을 해온정(解慍亭)에 나가서 발사 시험을 하니, 화석포(火石炮)가 1백 50보의 거리까지 나갔으므로 최군은 내승마(內乘馬)를 상으로 받았다... Quote-right.png
출처: 『신증동국여지승람』 제2권 경도 하 군기시(軍器寺). 온라인 참조: '군기시(軍器寺)', 『한국고전종합DB』online, 한국고전번역원.


1424년(세종 6) 12월에는 군기판사로서 조선 세종을 모시고 광연루(廣延樓) 밑에서 화포를 발사하였다.[1]
그는 아버지인 최무선으로부터 전수받은 화약 제조 비법으로 화약병기와 화포 발전에 기여하였다.

Quote-left.png ...아, 최군은 위로는 융숭한 위임을 저버리지 않았고, 아래로는 그 아버지가 비밀리에 남겨 준 기술을 잃지 않아, 아버지가 앞에서 시작한 것을 아들이 뒤에서 계승하였으니, 참 유능한 신하라 하겠고, 또한 유능한 아들이라 하겠다... Quote-right.png
출처: 『신증동국여지승람』 제2권 경도 하 군기시(軍器寺). 온라인 참조: '군기시(軍器寺)', 『한국고전종합DB』online, 한국고전번역원.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최해산 최무선 A는 아버지 B가 있다 A ekc:hasFather B
최해산화차 최해산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최해산화차 화차 A의 유형은 B이다 A dcterms:type B
최해산화차 철령전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권근 최해산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군기시 최해산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1. 『세종실록』 26권, 세종 6년(1424) 12월 14일(을묘) 3번째 기사. 온라인 참조: '군기 판사 최해산에게 명령하여 광연루에서 화포를 쏘게 하다', 『조선왕조실록』online, 국사편찬위원회.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사료
  2. 웹 자원
    • "최해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