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세종

Encyves Wiki
이혜영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8월 21일 (월) 15:56 판 (정의)

이동: 둘러보기, 검색
세종(世宗)
대표명칭 세종
한자표기 世宗
생몰년 1397-1450
이칭 세종대왕
시호 장헌영문예무인성명효대왕(莊憲英文睿武仁聖明孝大王)
원정(元正)
시대 조선
대표직함
배우자 소헌왕후
조선 태종
원경왕후
자녀 정소공주,조선 문종, 정의공주, 조선 세조, 안평대군, 임영대군, 광평대군, 금성대군, 평원대군, 영응대군
전임자 조선 태종
후임자 조선 문종
능묘 영릉



정의

조선의 4대 왕이다.

내용

어머니와의 솜씨겨루기 설화

조선 세종은 서예솜씨가 매우 뛰었던 사람이었다. 때문에 그와 관련된 설화도 전해져온다. 조선 세종가 절에서 글씨공부를 하던 도중에 집으로 오자, 그의 어머니가 불을 끄고 자신이 떡을 썰테니 조선 세종에게는 글을 쓰라고 했다고 한다. 어머니는 떡을 정갈하게 썰었는데에 반해 조선 세종는 삐뚤빼뚤 글을 써 자신의 실력이 부족한 것을 깨닫고 다시 돌아갔다고 한다. 이 설화는 조선시대 문헌에는 나오지 않으며 그의 고향인 송도(개성) 일대에서 구전된 이야기이다. [1]

조선 세종의 생애

아버지가 돌아가시고 풍비박산된 집안에서 한호는 아버지와 친분이 있던 서경덕의 소개로 신희남의 문하에서 공부하였다.[2] 25살인 1567년(명종)에 진사시에 합격하였다. 글씨로 출세하여 사자관(조선시대 승문원과 규장각에서 문서의 글자를 정자로 옮겨쓰는 일을 하던 벼슬)으로 국가의 여러문서와 명나라에 보내는 외교문서를 도맡아 썼다. 중국에 사절이 갈 때도 함께 파견되었다.[3]이때 중국에서 명필로 알려지게 되었고 명대 후반의 저명한 학자 왕세정, 명의 사진 주지번 등이 한호의 글씨를 크게 칭찬하였다. 임진왜란이 참여한 명나라 장수와 사신들이 그의 글씨를 요청해 받아갈 정도였다고 한다. 국내에서는 조선 선조의 호평으로 크게 유명해였다. 국왕은 어선(御膳)과 어주(御酒)를 자주 하사했고, 사자관이던 그에게 문반 벼슬을 제수했다. 또 왕실교육용 천자문을 제작하라는 명을 내리기도 했다. 그런 배려로 한호는 정랑(正郞)과 가평(加平)군수 등을 역임할 수 있었다.[4]

조선 세종의 작품활동

한호는 왕희지, 안진경의 서체를 익혀 각종 서체에 모두 뛰어났다. 한호는 기본적으로 왕희지체를 바탕으로하여 부분적으로 그 후대의 서체를 수용하였다. 특히 큰 글자일수록 후대의 서체를 수용한 경향이 크다. 예를 들면 해서 부분에서는 문진명의 서체를, 초서 부분에서는 회소, 축윤명, 장필 등의 서체를 수용했다. 한호의 서체는 여러 계층에 영향을 미쳤다. 특히 『석봉천자문』등이 조선말까지 수차례 간행되면서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다. 왕실에서는 선조 이후의 어필을 비롯하여 왕실의 서체에 영향을 주었고, 문인계층에서는 친구와 후손을 중심으로 널리 전파되었다. 사자관으로 활동했기 때문에 후대의 사자관들의 서풍에도 그 흔적이 많이 남아있다. [5]

그의 필적으로 『석봉서법』 『석봉천자문』 등이 모간(模刊)되었고, 친필은 별로 남은 것이 없으나 그가 쓴 비문(碑文)은 많이 남아 있다. 글씨로는 경주 옥산서원의 현판, 『허엽신도비(許曄神道碑)』(용인) 『서경덕신도비(徐敬德神道碑)』(개성) 『기자묘비(箕子廟碑)』(평양) 『김광계비(金光啓碑)』(양주) 『행주승전비(幸州勝戰碑)』 『선죽교비(善竹橋碑)』 『좌상유홍묘표(左相兪弘墓表)』 등이 있다.[6]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조선 세종 왕희지 A는 B와 관련이 있다
조선 세종 한언공 A는 B의 어버이다
한언공 서경덕 A는 B와 교유하였다
서경덕 신희남 A는 B와 교유하였다
신희남 조선 세종 A는 B의 스승이다
조선 선조 석봉천자문 편찬 A는 B를 명령하였다
조선 세종 석봉천자문 편찬 A는 B를 주도하였다
조선 세종 석봉천자문 A는 B를 저술하였다 1583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583 조선 세종이 석봉천자문을 저술하였다

주석

  1. 이완우, 「석봉 한호」, 『미술사논단』12, 한국미술연구소, 2001, 299쪽.
  2. 정성경, 「죽림 정사에서 한석봉을 길러 낸 어머니,『향토문화전자대전 영암향토문화백과』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김응현, 「한호『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김범, 「한호『네이버캐스트 인물한국사』online
  5. 이완우, 「석봉 한호」, 『미술사논단』12, 한국미술연구소, 2001, 318-319쪽.
  6. 한호」,『두산백과』online

참고문헌

더 읽을거리

  • 이병태, 『석봉 한호의 생애』, 석봉한호 기념사업회,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