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전복"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인용 및 참조)
66번째 줄: 66번째 줄:
 
* 문광희, 「조선 후기 甲胄 및 具軍服에 관한 연구-부산 忠烈祠 소장 유물을 중심으로-」, 『한복문화』 제7권 1호, 한복문화학회, 2004.
 
* 문광희, 「조선 후기 甲胄 및 具軍服에 관한 연구-부산 忠烈祠 소장 유물을 중심으로-」, 『한복문화』 제7권 1호, 한복문화학회, 2004.
 
* 박가영, 「조선시대의 갑주」,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 박가영, 「조선시대의 갑주」,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 박성실, 김향미, 「조선시대 기능적 馬上衣類의 실증적 고찰」, 『韓國服飾』 20호,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
* 박성실, 김향미, 「조선시대 기능적 馬上衣類의 실증적 고찰」, 『韓國服飾』 20호,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02.
 
* 李成熙, 「軍服飾의 記號學的 分析-舊韓末 期陸軍服을 中心으로-」, 상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5.
 
* 李成熙, 「軍服飾의 記號學的 分析-舊韓末 期陸軍服을 中心으로-」, 상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5.
 +
 
===더 읽을거리===
 
===더 읽을거리===
  

2017년 10월 2일 (월) 17:47 판


전복
(戰服)
국립민속박물관(http://www.nfm.go.kr/) 소장
대표명칭 전복
한자표기 戰服
구분 의복
착용신분 , 왕세자, 왕세손, 문무백관
착용성별 남성



정의

황제, 황태자, , 왕세자, 백관이 착용하는 조선 후기에 나타는 반소매 옷인 답호의 일종으로, 깃과 소매ㆍ섶이 없는 형태의 옷이다. [1]

내용

전복은 한자에서 볼 수 있듯이 전쟁과 관련이 있는데, 조선 중기 임진왜란을 전후로 백관 중 무관이 착용한 옷 중 소매가 좁은 협수(狹袖) 위에 덧입었던 소매 없는 옷이다. 왕실 남성들도 군사와 관련한 일이 있거나 능에 행차할 때 전복을 갖추어 착용하였다. 깃과 소매가 없이 양옆에 무가 달리고 앞길이 대금형으로 좌우대칭을 이루고 양 옆선 일부와 등솔기의 진동선 이하에 트임이 있어 활동적이다. 조선후기 두루마기, 도포 등 평상시에 착용하는 포(袍) 위에 착용한다.[2]

조선 말기인 1884년(고종 21) 갑신의제개혁 때 사복(私服) 제도를 고쳐 도포, 직령, 창의, 중치막처럼 소매 넓은 옷을 폐지하고 관리들은 소매가 좁은 두루마기전복을 입고 세조대를 띠도록 하여 관리들은 평상복으로 전복을 입게 되었다. 같은해 6월에는 전복의 명칭이 아름답지 못하다고 하여 답호로 명칭을 변경하라고 했 사람들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세속에서 부르는 전복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는데 전쟁터에서 입는 옷으로 오해하여 반발이 있자 답호로 바꾼 것이었다. 당시 전복과 답호가 동일한 복식을 지칭하는 용어임을 알 수 있다.[3]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전복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왕세자 전복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백관 전복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왕의 군복 전복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왕세자의 군복 전복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백관의 군복 전복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전복 도포 A는 B와 함께 착용하였다 A ekc:goesWith B
전복 동다리 A는 B와 함께 착용하였다 A ekc:goesWith B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홍나영ㆍ신혜성ㆍ이은진 지음, 『동아시아 복식의 역사』, 교문사, 2011, 329쪽.
  2.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208쪽.
  3.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626쪽.
  4. 문화재청, 「문화재대관-복식․자수편」, 문화재청, 2006, 135쪽.
  5. 국립고궁박물관(http://www.gogung.go.kr/) 소장.
  6. 문화재청, 문화재대관-복식․자수편, 문화재청, 2006, 140쪽.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권오선, 「조선후기 동다리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 金正子, 「韓國軍服의 變遷硏究」, 『대한가정학회지』 제24권 4호, 대한가정학회, 1986.
  • 金賢舜, 「軍服에 對한 硏究 -具軍服을 中心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0.
  • 문광희, 「조선 후기 甲胄 및 具軍服에 관한 연구-부산 忠烈祠 소장 유물을 중심으로-」, 『한복문화』 제7권 1호, 한복문화학회, 2004.
  • 박가영, 「조선시대의 갑주」,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 박성실, 김향미, 「조선시대 기능적 馬上衣類의 실증적 고찰」, 『韓國服飾』 20호,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02.
  • 李成熙, 「軍服飾의 記號學的 分析-舊韓末 期陸軍服을 中心으로-」, 상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5.

더 읽을거리

유용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