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군위 인각사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참고문헌)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4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9번째 줄: 19번째 줄:
  
 
=='''정의'''==
 
=='''정의'''==
경상북도 군위군 고로면 화북리에 있는 고려시대 절터.<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6692 군위인각사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경상북도 군위군 고로면에 있는 절터.
  
 
=='''내용'''==
 
=='''내용'''==
===역사===
+
인각사(麟角寺)의 창건과 관련해서는 두 가지 설이 있다. 하나는 642년에 [[의상|의상(義湘, 625-702)]]이 창건했다는 것이고, 또 하나는 643년에 [[원효|원효(元曉, 617-686)]]가 창건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642년이면 [[의상]]이 불과 18세 때이고, [[원효]]가 648년에 [[경주 황룡사|황룡사(皇龍寺)]]에서 출가한 것으로 알려져있어 두 가지 설 모두 신빙성이 떨어진다.<ref>사찰문화연구원, 『전국사찰총서16 - 경북의 전통사찰Ⅲ』, 사찰문화연구원, 2001, 136쪽.</ref>1991년 말 경북대학 박물관에서 실시한 발굴조사를 통해 대웅전터로 추정되는 기단부에서 통일신라시대의 유구가 확인되어 신라 말기에는 이미 있었던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33742 군위 인각사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인각사의 창건과 관련해서는 두 가지 설이있다. 하나는 642년에 [[의상]]이 창건했다는 것이고, 또 하나는 643년에 [[원효]]가 창건했다는 것이다.<ref>642년이면 의상(625~702)이 불과 18세 때이고, 원효(617~686) 648년에 황룡사에서 출가한 것으로 알려져있어 두 가지 설 모두 신빙성이 떨어진다. 사찰문화연구원, 『전국사찰총서16 - 경북의 전통사찰Ⅲ』, 사찰문화연구원, 2001, 136쪽.</ref><ref>하지만
 
1991년 말 경북대학 박물관에서 실시한 발굴조사를 통해 대웅전터로 추정되는 기단부에서 통일신라시대의 유구가 확인되어 신라 말기에는 이미 있었던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33742 군위 인각사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이후 1307년에 크게 중건하였고, 1284년에는 인각사가 [[일연]]의 하산소<ref>왕사로 책봉되어 주석한 곳을 말한다.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4441 인각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사전 』<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로 지정되었다. 일연은 인각사에 5년간 머무르면서 나라의 후원을 받아 절을 크게 중창하였고<ref>김용검에게 절을 수리하게 한뒤 토지 백여경을 하사하였다. 박기용, 『문학:명저의 탐방; 삼국유사의 산실 인각사』, 선비문화 1권 0호, 2004, 58쪽.</ref>, 두 번에 걸쳐 구산선문회를 열면서 인각사가 [[구산선문]]의 중심사찰이 되도록 하였다.<ref>"[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4441 인각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또한 일연은 이곳에서 [[삼국유사]]를 저술하기도 하였다. 1362년(공민왕 11)에는 본당 뒤에 무무당이 건립되어 총림법회가 열리기도 했다.
 
1407년에는 인각사가 조계종의 자복사찰<ref>왕실의 기복을 비는 사찰이다. 당시 인각사가 의흥 지역을 대표하는 명찰이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사찰문화연구원, 『전국사찰총서16 - 경북의 전통사찰Ⅲ』, 사찰문화연구원, 2001, 136쪽.</ref>로 지정되었다. 하지만 이후 점점 사세가 기울어, 1555년에는 인각사의 토지가 [[임고서원]]에 이속되었다. [[임진왜란]] 때는 대부분의 전각이 불에 타서 폐사상태에 이르렀고, 1721년에 다시 중수하였다. 1890년경에는 일연선사 비와 전각이 파괴되었고 1934년과 1956년에는 대웅전과 요사채가 각각 붕괴되었다. 1992년부터는 인각사 복원을 위해 발굴작업이 진행되어 현재까지도 제 모습을 갖추지 못하고 있다.<ref>"[http://www.ggbn.co.kr/news/articleView.html?idxno=9551 ⑬군위 인각사]" 『금강신문』, 작성일: 2009년 3월 20일.</ref>
 
  
 +
이후 고려 때 크게 중창하였고, [[일연|일연(一然)]]이 1284년(충렬왕 10)부터 5년간 이 절에서 머물며 『[[삼국유사|삼국유사(三國遺事)]]』를 지은 장소로 널리 알려져 있다. 1992년 이후 5차에 걸친 발굴조사를 마쳤고, 이를 토대로 2010년부터 2017년까지 8년간 국비 등 총 113억 원을 투입하여 인각사 복원사업을 추진중이다.<ref>"[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4441 인각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지금 인각사에는 법당과 두 채의 건물이 남아 있으며, 중요문화재로 인각사 보각국사 탑과 비가 있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3,03740000,37 군위 인각사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검색』<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지식 관계망'''==
 +
*'''보각국사 일연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74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D004/monk_bogak.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http://dh.aks.ac.kr/Encyves/Graph/D004/stele_bogak_gunwi.htm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비 지식관계망]
  
=='''지식 관계망'''==
 
 
===관련항목===
 
===관련항목===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군위 인각사지]] || [[군위 인각사]] || A는 B의 터이다 || A edm:isRelatedTo B
 +
|-
 +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비]] || [[군위 인각사지]] || A는 B에 있다 ||
 +
|-
 +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탑]] || [[군위 인각사지]] || A는 B에 있다 ||
 +
|-
 +
|[[군위 인각사 삼층석탑]] || [[군위 인각사지]] || A는 B에 있다 ||
 +
|-
 +
|[[군위 인각사 미륵당 석불좌상]] || [[군위 인각사지]] || A는 B에 있다 ||
 +
|-
 +
|[[군위 인각사 석불좌상]] || [[군위 인각사지]] || A는 B에 있다 ||
 +
|-
 +
|[[일연]] || [[군위 인각사지]]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
|-
 +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비]] || [[일연]]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
|-
 +
|[[삼국유사]] || [[군위 인각사지]] || A는 B와 관련있다 ||
 
|-
 
|-
 
|}
 
|}
42번째 줄: 64번째 줄: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
| ||  
+
|1284년 || [[일연]]이 [[군위 인각사]]에 주석하며 [[삼국유사]]를 저술하였다
 +
|-
 +
|1289년 || [[일연]]이 [[군위 인각사]]에서 입적하였다
 +
|-
 +
|1362년 || [[군위 인각사]]에 무무당이 건립되었다
 +
|-
 +
|1407년 || [[군위 인각사]]가 자복사찰로 지정되었다
 +
|-
 +
|1890년 ||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비]]가 훼손되었다
 +
|-
 +
|1992년 || [[군위 인각사지]]에 대한 발굴조사가 시작되었다
 +
|-
 +
|2010년 || [[군위 인각사지]]에 대한 복원사업이 시작되었다
 
|}
 
|}
  
49번째 줄: 83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
* 김진덕, 「군위 인각사지 5차발굴조사 개보」, 신라사학보 15호, 2009, 271~296쪽.
 
+
* 박기용, 『문학:명저의 탐방; 삼국유사의 산실 인각사』, 선비문화 1권 0호, 2004.
 +
* 사찰문화연구원, 『전국사찰총서16 - 경북의 전통사찰Ⅲ』, 사찰문화연구원, 2001.
 +
* 황원갑, 『고승과 명찰』, 바움, 2010.
 +
* 이민수(역), 『신증동국여지승람』제 27권 경상도 의흥현, 1969. 온라인 참조: "[http://db.itkc.or.kr/index.jsp?bizName=MK&url=/itkcdb/text/nodeViewIframe.jsp?bizName=MK&seojiId=kc_mk_g012&gunchaId=av027&muncheId=01&finId=005&NodeId=&setid=453558&Pos=32&TotalCount=49&searchUrl=ok 의흥현]", 신증동국여지승람 제 27권 경상도 의흥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고전종합DB』<sup>online</sup></online></html>, 한국고전번역원.
 +
* "[http://www.ggbn.co.kr/news/articleView.html?idxno=9551 ⑬군위 인각사]" 『금강신문』, 작성일: 2009년 3월 20일.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6692 군위인각사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4441 인각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사전 』<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33742 군위 인각사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
  
 
{{승탑비문 Top icon}}
 
{{승탑비문 Top icon}}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사찰]] [[분류:승탑/작성중]]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사찰]] [[분류:승탑/사진]]

2017년 12월 14일 (목) 16:52 판

군위 인각사지
(軍威 麟角寺址)
대표명칭 군위 인각사지
한자 軍威 麟角寺址
주소 경상북도 군위군 고로면 삼국유사로 250(화북리 612)
문화재 지정번호 사적 제374호
문화재 지정일 1992년 05월 28일
교구정보 대한불교조계종
건립시기 642년
경내문화재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비,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탑, 군위 인각사 삼층석탑, 군위 인각사 미륵당 석불좌상, 군위 인각사 석불좌상



정의

경상북도 군위군 고로면에 있는 절터.

내용

인각사(麟角寺)의 창건과 관련해서는 두 가지 설이 있다. 하나는 642년에 의상(義湘, 625-702)이 창건했다는 것이고, 또 하나는 643년에 원효(元曉, 617-686)가 창건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642년이면 의상이 불과 18세 때이고, 원효가 648년에 황룡사(皇龍寺)에서 출가한 것으로 알려져있어 두 가지 설 모두 신빙성이 떨어진다.[1]1991년 말 경북대학 박물관에서 실시한 발굴조사를 통해 대웅전터로 추정되는 기단부에서 통일신라시대의 유구가 확인되어 신라 말기에는 이미 있었던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2]

이후 고려 때 크게 중창하였고, 일연(一然)이 1284년(충렬왕 10)부터 5년간 이 절에서 머물며 『삼국유사(三國遺事)』를 지은 장소로 널리 알려져 있다. 1992년 이후 5차에 걸친 발굴조사를 마쳤고, 이를 토대로 2010년부터 2017년까지 8년간 국비 등 총 113억 원을 투입하여 인각사 복원사업을 추진중이다.[3] 지금 인각사에는 법당과 두 채의 건물이 남아 있으며, 중요문화재로 인각사 보각국사 탑과 비가 있다.[4]

지식 관계망

  • 보각국사 일연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군위 인각사지 군위 인각사 A는 B의 터이다 A edm:isRelatedTo B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비 군위 인각사지 A는 B에 있다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탑 군위 인각사지 A는 B에 있다
군위 인각사 삼층석탑 군위 인각사지 A는 B에 있다
군위 인각사 미륵당 석불좌상 군위 인각사지 A는 B에 있다
군위 인각사 석불좌상 군위 인각사지 A는 B에 있다
일연 군위 인각사지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비 일연 A는 B를 위한 비이다
삼국유사 군위 인각사지 A는 B와 관련있다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284년 일연군위 인각사에 주석하며 삼국유사를 저술하였다
1289년 일연군위 인각사에서 입적하였다
1362년 군위 인각사에 무무당이 건립되었다
1407년 군위 인각사가 자복사찰로 지정되었다
1890년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비가 훼손되었다
1992년 군위 인각사지에 대한 발굴조사가 시작되었다
2010년 군위 인각사지에 대한 복원사업이 시작되었다

주석

  1. 사찰문화연구원, 『전국사찰총서16 - 경북의 전통사찰Ⅲ』, 사찰문화연구원, 2001, 136쪽.
  2. "군위 인각사지", 『두산백과』online.
  3. "인각사", 『조선왕조실록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군위 인각사지, 『문화재검색』online, 문화재청.

참고문헌

  • 김진덕, 「군위 인각사지 5차발굴조사 개보」, 신라사학보 15호, 2009, 271~296쪽.
  • 박기용, 『문학:명저의 탐방; 삼국유사의 산실 인각사』, 선비문화 1권 0호, 2004.
  • 사찰문화연구원, 『전국사찰총서16 - 경북의 전통사찰Ⅲ』, 사찰문화연구원, 2001.
  • 황원갑, 『고승과 명찰』, 바움, 2010.
  • 이민수(역), 『신증동국여지승람』제 27권 경상도 의흥현, 1969. 온라인 참조: "의흥현", 신증동국여지승람 제 27권 경상도 의흥현, 『한국고전종합DB』online, 한국고전번역원.
  • "⑬군위 인각사" 『금강신문』, 작성일: 2009년 3월 20일.
  • "군위인각사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인각사", 『조선왕조실록사전 』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군위 인각사지", 『두산백과』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