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시책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시책(諡冊)
국립중앙박물관 외규장각 의궤(http://uigwe.museum.go.kr)
대표명칭 시책
한자표기 諡冊
유형 의례 물품
시대 조선
용도 흉례(凶禮)-상례(喪禮)에 사용



정의

조선시대 왕실 장례에서 시책문(諡冊文)을 옥이나 죽간에 새긴 후 책(冊)으로 엮은 의례용 문서이다.

내용

왕·왕비·상왕·대왕대비·왕대비·선왕·선왕비의 책은 옥책으로 제작되었고, 왕세자·왕세자빈·왕세제·왕세제빈·왕세손·왕세손빈 및 정1품 후궁인 빈(嬪)은 죽책으로 제작되었으며 이 경우 시죽책(諡竹冊)이라고 하였다.
시책에 새기는 글을 시책문(諡冊文)이라고 하며, 시호에 관련된 내용과 생전의 업적과 덕행을 칭송하는 내용을 담는다.
시책을 담는 가장 안쪽 상자를 시책내궤(諡冊內樻) 혹은 시책내함(諡冊內函)이라 하며, 이를 담는 바깥쪽 상자를 시책외궤(諡冊外樻)라고 한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시책내함(諡冊內函) 시책(諡冊) A는 B를 담는다 A ekc:goesWith B
시책외궤(諡冊外樻) 시책내함(諡冊內函) A는 B를 담는다 A ekc:goesWith B
시책(諡冊) 시보(諡寶) A는 B와 같이 사용되었다 A ekc:goesWith B
시책(諡冊) 『숙종국장도감의궤(肅宗國葬都監儀軌)』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시책(諡冊) 『인현왕후국장도감의궤(仁顯王后國葬都監儀軌)』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시책(諡冊) 『경종국장도감의궤(景宗國葬都監儀軌)』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시책(諡冊) 『선의왕후국장도감의궤(宣懿王后國葬都監儀軌)』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시책(諡冊) 『정조국장도감의궤(正祖國葬都監儀軌)』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시책(諡冊) 『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孝懿王后國葬都監儀軌)』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시책(諡冊) 『순조국장도감의궤(純祖國葬都監儀軌)』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시책(諡冊) 『단의빈예장도감의궤(端懿嬪禮葬都監儀軌)』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시책(諡冊) 『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懿昭世孫禮葬都監儀軌)』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순조국장도감의궤삼(純祖國葬都監儀軌三)』
  2. 『정조국장도감의궤(正祖國葬都監儀軌)』
  3. 『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삼(孝懿王后國葬都監儀軌三)』
  4. 『숙종국장도감의궤하(肅宗國葬都監儀軌下)』
  5. 『인현왕후국장도감의궤하(仁顯王后國葬都監儀軌下)』
  6. 『경종국장도감의궤하(景宗國葬都監儀軌下)』
  7. 『선의왕후국장도감의궤하(宣懿王后國葬都監儀軌下)』
  8. 『단의빈예장도감의궤하(端懿嬪禮葬都監儀軌下)』
  9. 『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하(懿昭世孫禮葬都監儀軌下)』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박봉주, "시책(諡冊)", 『외규장각 의궤』online, 국립중앙박물관.
  • 박봉주, "시죽책(諡竹冊)", 『외규장각 의궤』online, 국립중앙박물관.
  • 이민아, "시책(諡冊)", 『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online,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박봉주, "시죽책(諡竹冊)", 『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online, 규장각한국학연구원.

더 읽을거리

  • 이현진, 「정조 초 영조의 국장 절차와 의미」, 『태동고전연구』제27호,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1.
  • 이현진, 『왕의 죽음, 정조의 국장』, 글항아리, 2015.
  • 이현진, 『조선왕실의 상장례』, 신구문화사,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