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규(왕실남성)

Encyves Wiki
SEOYEON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1월 18일 (토) 22:31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圭)
국립고궁박물관(http://www.gogung.go.kr/) 소장
대표명칭
한자표기
구분 기타
착용신분 황제, 황태자, , 왕세자, 왕세손
착용성별 남성



정의

조선시대의 왕세자, 왕세손, 대한제국 황제황태자제례책례, 가례 등의 의례를 행할 때 손에 드는 길쭉한 모양의 옥기(玉器)이다.[1]

내용

천자로부터 받은 땅을 재고[圭] 다스린다 하여 붙여진 명칭이다. 전체적으로 세로로 긴 직사각형의 옥판에[2] 위는 뾰족한 삼각형으로, ‘사방을 안정시킨다’는 의미를 담은 산 무늬를 새겼다. 천자는 나라를 다스릴 권한을 하늘로부터 받는데, 이 천명(天命)은 실물로 존재하지 않으므로, 그 상징물로 를 받았다. 고종황제로 등극할 때 중국의 황제와 같은 1척 2촌의 백옥규를 들었다. 의 아랫부분은 비단으로 감싸는데, 조선시대에는 홍색을 썼고, 대한제국시대에는 황색을 사용한다. 조선시대에는 이를 ‘감이(甘伊)’라고 했는데, 우리말로 ‘싸개’이다.[3]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황제 규(왕실남성)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황태자 규(왕실남성)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규(왕실남성)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왕세자 규(왕실남성)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황제의 대례복 규(왕실남성)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황태자의 대례복 규(왕실남성)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왕의 대례복 규(왕실남성)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왕세자의 대례복 규(왕실남성)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규(왕실남성) 면복 상의 A는 B와 함께 착용하였다 A ekc:goesWith B
규(왕실남성) 면복 하상 A는 B와 함께 착용하였다 A ekc:goesWith B
규(왕실남성) 면관 A는 B와 함께 착용하였다 A ekc:goesWith B
규(왕실남성) 상의원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A dcterms:creator B
규(왕실남성) 면복각 A는 B에 보관되었다 A edm:formerLocation B
규(왕실남성) 의궤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A ekc:mentions B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1. 최연우,『면복』, 문학동네, 2015, 77쪽.
  2.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117쪽.
  3. 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77~80쪽.

영상

주석

  1. 국립고궁박물관(http://www.gogung.go.kr/) 소장.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고광림, 『한국의 관복』, 화성사, 1995.
  • 국립고궁박물관, 『대한제국, 잊혀진 100년 전의 황제국』, 민속원, 2011.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金明淑, 「朝鮮時代 王世子 冕服」, 『服飾』 18권, 한국복식학회, 1992.
  • 유희경, 「冕服에 關한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72.
  • 이민주, 『용을 그리고 봉황을 수놓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4.
  • 인윤실, 「조선왕조시대 금박에 관한 연구」, 『복식』 2권, 한국복식학회, 1978.
  • 전혜숙, 「면복의 십이장문에 관한 연구-상징의의를 중심으로」,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 최규순, 『中國歷代帝王冕服硏究』, 동화대학출판부, 2007.
  • 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 홍나영ㆍ신혜성ㆍ이은진 지음, 『동아시아 복식의 역사』, 교문사,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