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곡

Encyves Wiki
김사현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1월 10일 (금) 23:54 판 (새 문서: {{인물정보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이곡 |한자표기=李穀 |영문명칭= |본관=한산(韓山) |이칭=운백(芸白) |시호= |호=가정(稼亭) |자=중보...)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이곡(李穀)
대표명칭 이곡
한자표기 李穀
생몰년 1298-1351
본관 한산(韓山)
이칭 운백(芸白)
가정(稼亭)
중보(仲父)
시대 고려
대표저서 죽부인전, 가정집
대표직함 예문관검열, 밀직부사, 정당문학
이자성(李自成)
자녀 이색(李穡)
성격 학자
유형 인물



정의

고려 후기의 학자.

내용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중보(仲父), 호는 가정(稼亭). 초명은 운백(芸白). 한산 출생. 한산이씨 시조인 이윤경(李允卿)의 6대손이다. 찬성사 이자성(李自成)의 아들이며, 이색(李穡)의 아버지이다.[1] 이제현(李齊賢)의 문인이다.[2]

1333년(충숙왕 복위 2) 원나라 정동성 향시에 수석을로 급제하였다. 정동행중서성 좌우사원외랑(征東行中書省左右司員外郞)이 되었고, 원나라 황제(元帝)에게 건의하여 고려에서의 처녀 징발을 중지하게 했다. 1344년 귀국, 이듬해 도첨의찬성사(都僉議贊成事)와 한산군(韓山君)에 봉해졌다.[3]

이곡은 이제현(李齊賢) 등과 함께 민지(閔漬)가 편찬한 『편년강목(編年綱目)』을 증수하고 충렬·충선·충숙 3조(三朝)의 실록을 편수하였다. 한때는 시관이 되었으나 사정(私情)으로 선발하였다는 탄핵을 받았다. 다시 원나라에 가서 중서성감창(中書省監倉)으로 있다가 귀국하였다. 공민왕의 옹립을 주장하였으므로 충정왕이 즉위하자 신변에 불안을 느껴 관동지방으로 주유(周遊)하였다. 1350년(충정왕 2) 원나라로부터 봉의대부 정동행중서성좌우사낭중(征東行中書省左右司郎中)을 제수 받았고, 그 이듬해에 죽었다.[4]

동문선』에는 100여 편에 가까운 이곡의 작품들이 수록되어 있다. 「죽부인전(竹夫人傳)」은 가전체문학으로 대나무를 의인화하였다. 그밖에 많은 시편들은 고려 말기 중국과의 문화교류의 구체적인 단면을 보여주고 있다. 한산의 문헌서원(文獻書院), 영해의 단산서원(丹山書院) 등에 배향되었다. 저서로는 『가정집』 4책 20권이 전한다. 시호는 문효(文孝)이다.[5]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이세필 이항복 A는 B의 후손이다 A ekc:hasDescendant B
송시열 이세필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악원고사 이세필 A는 B가 저술하였다 A dcterms:creator B
이세필 이태좌 A는 B의 아버지이다 A ekc:hasSon B
이세필 영광 백산서원 A는 B에 제향되었다 A ekc:isEnshrinedIn B
이세필 김제 용암서원 A는 B에 제향되었다 A ekc:isEnshrinedIn B
박문수 이세필 A는 B의 사위이다 A ekc:isSonInLawOf B
이세필 박세채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주석

  1. 이신복, "이곡",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이곡",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3. 두산
  4. 민백
  5. 민백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이동희, "이세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이세필",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더 읽을 거리

  •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편집부, 『국역 국조인물고 1』,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9. 온라인 참조: "이세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