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인물초상화관 개관

원효 진영(고잔지)

Encyves Wiki
AKS김지선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1월 4일 (토) 17:29 판 (새 문서: {{틀:역사인물초상화 Top icon}} {{역사인물초상화 |사진= 역사인물초상화_초상_원효 진영(고잔지).jpg |사진출처= |대표명칭= 원효 진영(고잔지...)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원효 진영(고잔지)
역사인물초상화 초상 원효 진영(고잔지).jpg
한자명칭 元曉 眞影
작가 미상
제작시기 무로마치 시대
소장처 교토국립박물관
유형 진영
크기(세로×가로) 102.1×52.6cm


정의

신라시대의 고승 원효(617년~ 686)의 모습을 그린 진영.

내용

진영의 제작 및 보관

통일신라 시대의 고승 원효의 상은 입적 후 아들인 설총이 소상塑像을 만들어 봉안한 뒤로 주로 소상으로 만들어져 각 사찰에 봉안되었다. 이후 고려시대에 들어서 화상이 제작되기 시작했는데, 의천의 건의로 화쟁국사和諍國師라는 시호가 추증되면서 활발히 제작되기 시작했다. 1096년 현화사에서는 원효를 비롯한 해동 육도상을 모셨고 이규보의 『소성거사영찬』이라는 글은 머리에 두건을 쓴 거사 모습의 원효 그림을 보고 쓴 것이다. 원효의 진영은 부안의 원효방, 상주 백련사 등에도 모셔졌음이 고려시대의 기록에 남아있다.[1]

이 <원효 진영>은 일본 교토 고산사高山寺에 소장되어 있던 작품으로 현재는 국립교토박물관에 기탁되어 있다. 현존하는 원효 진영 가운데 가장 오래된 작품으로 추정되며 이모본으로 보인다.[2]일본의 화승이 조선에 와서 베껴간 것인지 우리나라의 화가가 그린 것인지 확실치 않지만 초상화의 양식이 일본풍이 아닌 우리나라의 초상 양식을 따르고 있어 원본을 충실하게 이모한 것으로 보인다. 족자 뒤 쪽에는 대승정 유증宥證이 1761년 보수했다는 기록이 있다.

고산사의 <원효 진영>은 비록 일본 무로자치 시대의 이모본으로 전해지지만 남아있는 가장 오래된 원효의 진영으로서 고식의 풍모를 보이며 그 필치나 묘사에서도 도식적인 부분이 적은 뛰어난 작품이다.

진영에 묘사된 모습

<원효 진영>은 우안칠분면가사를 입은 모습의 좌상으로 그려졌다. 두 손은 가지런히 모아서 배꼽 부분에 대고 있으며 신발은 답대 위에 두고 높은 의자 위에서 가부좌를 하고 있다. 의자의 비단보에는 연화원문이 대칭으로 그려졌으며 그 바탕에는 연화문, 당초문이 표현되었다. 장삼가사는 전체적으로 색을 칠하고 가볍게 양감을 주었고 얼굴은 갈색의 선묘로 그려졌다.
원효의 얼굴에는 콧수염과 턱수염, 구레나룻이 표현되어 있고 머리카락도 짧지만 남아있는 모습으로 원효의 세속적인 특징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요소는 후대의 원효 진영에도 계속 이어져 나타난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유정 진영(동화사) 진영 A는 B에 해당한다 A dcterms:type B
유정 진영(동화사) 유정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유정 진영(동화사) 교토국립박물관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기유록 유정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김정중 기유록 A는 B를 썼다 A dcterms:creator B
좌안칠분면 유정 진영(동화사)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불자 유정 진영(동화사) A는 B에 나타난다 A ekc:isShownOn B
장삼 유정 진영(동화사) A는 B에 나타난다 A ekc:isShownOn B
가사 유정 진영(동화사) A는 B에 나타난다 A ekc:isShownOn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2006년 12월 29일 유정 진영(동화사)이 보물 제1505호로 지정되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5.9930620 128.7041820 유정 진영(동화사)대구 동화사에 소장되어 있다.

시각자료

주석

  1. 국립경주박물관, 『원효대사』, 국립경주박물관, 2010, 98쪽.
  2. 유홍준, 「국내 첫 공개된 일본 고산사 소장 원효,의상 진영」, 『중앙일보』, 2009년 9월 27일.

참고문헌

유용한 정보

  1. "압곡사선사영정", 우리지역문화재,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더 읽을거리

  1. 단행본
    • 문명대, 『한국의 불화』, 열화당, 1977.
    • 김형우, 『고승 진영』, 대원사, 1990.
    • 조선미, 『한국의 초상화, 形과 影의 예술』, 돌베게,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