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장각
규장각(奎章閣) | |
대표명칭 | 규장각 |
---|---|
한자표기 | 奎章閣 |
이칭 | 내각 |
유형 | 관청 |
창립자 | 정조 |
창립시대 | 조선 |
창립일 | 1776 |
해체일 | 1910 |
관련기관 | 장서각, 조선총독부, 교서관, 홍문관, 예문관, 검서관 |
목차
정의
규장각은 조선 후기 장서의 인쇄, 보관 및 언론의 역할을 담당하던 관청이다.
내용
설립
규장각은 정조 즉위년인 1776년 3월, 궐내에 설치되었다.정조는 즉위 후 외척 및 환관들의 역모와 횡포를 누르기 위한 혁신 정치의 중추로서 규장각의 서립을 추진하였다. 정조는 규장각신을 가장 가까운 신하로 둠으로써 관료기강을 쇄신하고자 하였고, 이에 따라 즉위 5년 2월 규장각의 기능이 본격적으로 정비되기 시작했다.[1]
역할
- 장서의 보관 및 간행
정서의 보관을 위해 1781년(정조 5) 약 3만여 권의 국내외 책을 분류한『규장총목(奎章總目)』, 『누판고』와 『군서표기』 등이 서호수(徐浩修)에 의해 작성되었다.[2] 또한 어제와 서적의 소장만을 담당하던 규장각은 원년 12월 제학 서명응(徐命膺)의 건의로 교서관(校書館)을 외각(外閣)으로 귀속함에 따라 그 업무가 확대되었다. [3] 이때부터 규장각은 역대 국왕 관련 기록 및 각종 서적의 인쇄부터 반포‧소장에 이르기까지 여러 가지 문화적 기능을 담당하게 되었다. [4] 대표적인 규장각 간행 저서로는 일성록, 홍재전서 등이 있다.
- 초계문신의 교육
초계문신제는 과거를 거친 문신(文臣) 가운데 37세 이하의 사람을 의정부에서 선발하여 40세가 될 때까지 교육하는 제도였다. 이렇듯 관료의 재교육을 실시한 목적은 경학(經學)과 역사(歷史)에 밝은 인재를 주축으로 개혁정치를 실현하고자 함이었다. 정조 때의 초계문신중 반 이상이 이후 높은 관직에 진출했으며, 정조 사후에도 김조순(金祖淳), 김재찬(金載瓚), 서유구(徐有榘) 등 많은 초계문신 출신 인사들이 19세기의 주도적 인물로 성장하였다. [5]
역할 및 기능의 축소
정조 사후 세도정치기가 시작되면서 규장각은 도서를 수장하고 관리하는 기관 정도로 그 역할이 축소되었다. 이후 1894년(고종 31) 갑오개혁 때 궁내부(宮內府)의 부속기관이 되었으며, 1910년 일제의 한국병합으로 규장각이 폐지되었다.[6]
시각자료
갤러리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속삼강행실도 | 규장각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규장각 | 조선 정조 | A는 B에 의해 건립되었다 | A ekc:founder B |
규장각 | 서유구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규장각 | 서명응 | A는 B에 의해 건립되었다 | A ekc:founder B |
규장각 | 홍문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규장각 | 승정원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규장각 | 예문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의궤 | 규장각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일성록 | 규장각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홍재전서 | 규장각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규장각 | 교서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규장각 | 갑오개혁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간정보
시간 | 내용 |
---|---|
1674-1720년 | 시중사 내부에 규장각을 처음 설치하였다 |
1776년 | 정조가 규장각을 설립하였다 |
1777년 | 교서관이 규장각에 편입되었다 |
1894년 | 갑오개혁 이후 궁내부의 부속기관으로 변경되었다 |
1895년 | 규정원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
1897년 | 명칭이 규장각으로 다시 변경되었다 |
1910년 | 규장각이 폐지되었다 |
1930년 | 규장각이 경성대학교 부속도서관으로 이관되었다 |
1945년 | 규장각이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으로 이관되었다 |
주석
- ↑ 이민아, "규장각",
『한국사컨텐츠』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 ↑ 김용덕, "규장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이민아, "규장각",
『한국사컨텐츠』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 ↑ 이민아, "규장각",
『한국사컨텐츠』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 ↑ 이민아, "규장각",
『한국사컨텐츠』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 ↑ 이민아, "규장각",
『한국사컨텐츠』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논문
- 강문식, 「규장각 西庫의 운영과 서적 관리 」, 『한국문화』vol.70,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015
- 배제총, 「조선(朝鮮) 정조대(正祖代) 규장각(奎章閣) 검서관(檢書官)」, 『조선사연구』vol.5, 조선사연구회, 1996.
유용한 정보
- 역사저널 그날, "부용지에 규장각을 세운 정조|작성자 역사저널 그날",
『네이버 블로그 - KBS <역사저널 그날> 공식 블로그』online , 작성일:2016.11.29. - 문화재청, "찬란하신 정조, 그리고 정조시대의 규장각",
『네이버 블로그 - 문화재청 공식 블로그』online , 작성일:2017.0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