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화엄종

Encyves Wiki
최한샘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0월 16일 (월) 13:39 판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화엄종
(華嚴宗)
대표명칭 화엄종
한자표기 華嚴宗
유형 단체


정의

불교의 한 종파.

내용

화엄경(華嚴經)』을 근본 경전으로 불교의 한 종파이다. 두순(柱順)을 시조로 하고, 제 2조 지엄(智嚴)을 거쳐, 제 3조인 법장(法藏)에 이르러 대성하였다. 그 뒤를 이어 징관(澄觀)종밀(宗密)이 종단을 선양하여 두순, 지엄, 법장, 징관(4조), 종밀(5조)을 화엄 5조라고 한다. 또 인도의 마명(馬嗚)과 용수(龍樹)를 화엄의 비조(鼻祖)로 보고 화엄 7조라고 말하기도 한다. 그 후 선종(禪宗)과 가까워지다가 점차 쇠퇴했다.[1]

한국에서는 화엄사상을 신라의 원효(元曉), 의상(義湘) 등이 크게 선양하였는데, 원효의 『화엄경소(華巖經疏)』는 법장의 『탐현기(探玄記)』에 인용될 만큼 영향을 끼쳤다. 특히 의상지엄에게서 화엄 교학을 배운 적이 있고, 부석사(浮石寺)를 창건하여 화엄의 종지(宗旨)를 널리 편 이래 해동화엄종을 개창한 사람으로 숭앙되고 있다. 그의 『화엄일승법계도(華嚴一乘法界圖)』는 『화엄경』을 요약한 것으로 화엄학 연구에 큰 영향을 끼쳤다.[2]

또한 신라의 심상(審祥)은 당나라 도선(道璿)과 함께 일본으로 건너가 화엄학을 전달하기도 하였다. 통일신라시대에는 ‘화엄십찰(華嚴十刹)’이라 하여 화엄학 연구의 중요한 사찰을 헤아리기도 하였다. 통일신라 말 화엄학은 부석사(浮石寺)를 중심으로 하는 희랑(希朗)과, 화엄사(華嚴寺)를 중심으로 하는 관혜(觀惠)의 두 파로 갈라져 논쟁이 치열하였다. 고려에 이르러 균여(均如)는 이를 조화시켰으며, 의천(義天)은 고려 불교의 통합이라는 관점에서 화엄(華嚴)·선(禪)·천태(天台)를 융합하였다.[3]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화엄종 두순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A ekc:founder B
화엄종 지엄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화엄종 법장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화엄종 원효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화엄종 의상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화엄종 의천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화엄종 영주 부석사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화엄종 구례 화엄사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주석

  1. 한국사전연구사 편집부, 『종교학대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 참조: "화엄종", 종교학대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2. "화엄종", 『두산백과』online.
  3. "화엄종", 『두산백과』online.

참고문헌

  • 한국사전연구사 편집부, 『종교학대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 참조: "화엄종", 종교학대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화엄종", 『두산백과』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