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인물초상화관 개관

서명응 초상

Encyves Wiki
AKS김지선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9월 28일 (목) 20:09 판 (새 문서: {{틀:역사인물초상화 Top icon}} {{역사인물초상화 |사진= 역사인물초상화_초상화_서명응 초상.jpg |사진출처= |대표명칭= 서명응 초상 |한자명...)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서명응 초상
한자명칭 徐命膺 肖像
작가 미상
제작시기 조선시대
소장처 일본 천리대
유형 초상
크기(세로×가로) 43.6×33.9㎝


정의

조선시대의 문신, 학자인 서명응(1716~1787)의 모습을 그린 초상

내용

초상의 제작 및 보관

<서명응 초상>은 화면 우측 상단에 ‘대총재 삼관대학사 내각학사 보한재공 육십칠세초상 명응(大冢宰 三官大學士 內閣學士 保晩齋公 六十六歲眞 命膺)’라고 쓴 제기가 있어 보한재 서명응의 초상임을 알 수 있다. 명응이라고 이름을 쓴 것은 나중에 기입한 것으로 보인다. 서명응의 나이 67세면 1782년이 된다. 18세기의 초상화로 보기에는 그 화풍이 이질적이어서 후대의 이모본으로 생각된다.
역사적 인물인 서명응의 모습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인물사적으로 중요한 자료가 되는 작품이다.

초상에 묘사된 모습

<서명응 초상>은 오사모단령 차림의 반신상으로 얼굴은 좌안팔분면으로 그려졌다. 사모는 모체가 낮고 양각의 끝이 둥글며 앞쪽으로 약간 굽은 모습이다. 흑단령은 전 시대보다 깃이 더욱 깊게 패이고 이중 고름을 매고 있어 조선 후기 단령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서명응은 정2품에 올랐으므로 당상관용 운학흉배를 착용하였다.[1] 얼굴은 선염으로 묘사되었다.
서명응의 얼굴에서는 오른쪽 눈 주위에 붉고 큰 반점이 있어 특징적이며 수염의 숱이 아주풍성하고 색이 짙은 모습이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서명응 초상 초상 A는 B에 해당한다 A dcterms:type B
서명응 초상 서명응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서명응 초상 일본 천리대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오사모 서명응 초상 A는 B에 나타난다 A ekc:depicts B
단령 서명응 초상 A는 B에 나타난다 A ekc:depicts B
운학흉배 서명응 초상 A는 B에 나타난다 A ekc:depicts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조선시대 서명응 초상이 제작되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4.594644 135.846311 서명응 초상일본 천리대에 소장되어 있다.

시각자료

주석

  1. 이강철, 『역사 인물 초상화 대사전』, 현암사, 2003, 390쪽.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단행본
    • 이강철, 『역사 인물 초상화 대사전』, 현암사,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