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변 안심사
Encyves Wiki
영변 안심사 (寧邊 安心寺) |
|
대표명칭 | 영변 안심사 |
---|---|
한자 | 寧邊 安心寺 |
주소 | 평안북도 영변군 북신현면 |
정의
평안북도 영변군 북신현면 묘향산에 있는 사찰.
내용
일제강점기에는 보현사(普賢寺)의 산내말사(山內末寺)였다. 968년(광종 19)에 창건되었다는 안심사는 1028년(현종 19)에 탐밀(探密)이 개창하였다.[1] 인도 승려 지공(指空)의 사리가 봉안된 곳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지공은 고려 말의 고승인 나옹(懶翁)·무학(無學)과 함께 고려시대의 삼화상으로 추앙받았다.[2]
지공이 입적하자 그의 몸에서는 많은 사리가 나왔는데, 그 중 9개와 나옹의 두골 한 조각과 사리 5개를 함께 모셔 석종(石鐘) 속에 간직하였다. 이로 보아 이 사찰은 고려 말 이전에 창건된 것임을 알 수 있다.[3]
또 안심사라는 사명(寺名)은 중국의 소림사(少林寺)에서 중국 선종(禪宗)의 초조(初祖)인 달마대사(達磨大師)가 2조(二祖) 혜가대사(慧可大師)의 마음을 편안하게 하여주었다는 고사에서 기인되었다고 한다. 이 절의 사격(寺格)과 그 배경은 전혀 알 수 없으나 이로 미루어 이 절은 선종의 사찰로 추정된다.[4]
안심사 부도밭에는 총 44기의 부도와 19기의 비석이 남아있다. 이곳에는 지공과 나옹의 부도를 포함해 1632년에 세워진 서산대사(西山大師)의 부도도 있다.[5]
관련문화유산
지식 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영변 안심사 | 탐밀 | A는 B가 창건하였다 | A ekc:founder B |
영변 안심사 | 지공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영변 안심사 | 혜근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안심사부도군 | 휴정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각자료
주석
- ↑ 이지범, "묘향산의 붉은 승려, 서산의 후예들", 『불교닷컴』, 이지범의 북녘 땅과 스님들, 작성일:2017년 6월 21일.
- ↑ 정병조, "안심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정병조, "안심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정병조, "안심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정락인, "서산대사 사리가 안치된 안심사 부도밭",
『정락인닷컴』online , 작성일:2009년 10월 25일.
참고문헌
- 이지범, "묘향산의 붉은 승려, 서산의 후예들", 『불교닷컴』, 이지범의 북녘 땅과 스님들, 작성일:2017년 6월 21일.
- 정병조, "안심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정락인, "서산대사 사리가 안치된 안심사 부도밭",
『정락인닷컴』online , 작성일:2009년 10월 2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