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복 상의
Encyves Wiki
면복 상의 (冕服 上衣) |
|
대표명칭 | 면복 상의 |
---|---|
한자표기 | 冕服 上衣 |
구분 | 의복 |
착용신분 | 왕실 |
착용성별 | 남성 |
목차
정의
조선시대의 왕과 왕세자, 왕세손, 대한제국 황제와 황태자가 종묘와 사직에 제사를 지내는 제례나 책봉을 받는 책례나 혼인의식인 가례 등의 중요한 의례를 행할 때 상체에 착용한다.[1]
내용
생식기만 가리던 인간은 사회가 발전하고 추위를 막을 필요가 생기면서 상의가 출현했다. 직물의 온폭을 사용해 만들어 바름[正]을 취한다. 소매도 둥글게 할 수 없어 거의 직각이 되고, 손이 나오는 곳인 수구는 1척 2촌을 남겨두고 가선을 두른다. 면복 상의는 검정색으로 하늘을 상징한다. 면복 상의는 양(陽)을 상징하기 때문에 그림[畵]을 그리고 면복 하상은 음(陰)을 상징하기 때문에 수(繡)를 놓았다.[2] 왕의 대례복의 면복 상의는 양어깨에 용(龍)이 그려져 있고, 등에는 산(山), 소매에는 화(火), 화충(華蟲), 종이(宗彝)를 그린다. 소매의 끝에 있는 무늬는 손을 앞으로 모으는 공수(拱手)를 했을 때 보이도록 뒷부분에 그려져 있다. 왕세자의 대례복의 면복 상의는 용(龍)이 어깨에 없고, 산(山)이 등 뒤에 없다. 화(火) 1개가 어깨 위에 있고, 나머지 화(火) 2개와 화충(華蟲) 3개, 종이(宗彝) 3개는 양쪽 소매의 뒤에 있다. 왕세손의 대례복의 면복 상의는 양어깨에 조(藻)가 하나씩 있고, 양쪽 소매 뒷면 끝에는 조(藻) 2개, 종이(宗彝) 3개, 분미(粉米) 3개가 그려져 있다.[3]
무늬
- 황제: 일(日), 월(月), 성신(星辰), 용(龍), 산(山), 화(火), 화충(華蟲)을 그림.
- 왕: 용(龍), 산(山), 화(火), 화충(華蟲), 종이(宗彝)를 그림.
- 왕세자: 화(火), 화충(華蟲), 종이(宗彝)를 그림.
- 왕세손: 조(藻), 종이(宗彝), 분미(粉米)를 그림.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황제 | 면복 상의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황태자 | 면복 상의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왕 | 면복 상의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왕세자 | 면복 상의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왕세자 | 면복 상의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면복 상의 | 황제의 대례복 | A는 B의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면복 상의 | 황태자의 대례복 | A는 B의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면복 상의 | 왕의 대례복 | A는 B의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면복 상의 | 왕세자의 대례복 | A는 B의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면복 상의 | 왕세손의 대례복 | A는 B의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면복 상의 | 의궤 |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 A ekc:mentions B |
면복 상의 | 상의원 | A는 B에서 제작되였다 | A dcterms:creator B |
면복 상의 | 면복각 | A는 B에 보관되었다 | }
시간정보공간정보시각자료갤러리영상주석
참고문헌인용 및 참조
더 읽을거리유용한 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