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창락

Encyves Wiki
Nuri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9월 15일 (금) 14:39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틀:작가정보 김지선

작가 소개

경상북도 성주에서 출생하였다. 대구에서 중학교를 다닐 때 동경미술학교 출신인 서양화가 서진달(徐鎭達)로부터 그림공부를 했으며, 1950년 무렵 일본에 건너가 도쿄 무사시노미술대학(武藏野美術大學)에 입학하여 유화를 공부하였다. 졸업 후 수년간 도쿄에 머물면서 객관적이고 치밀한 사실주의 기법을 바탕으로 한 풍경화를 그리며 여러 전람회에 참가하고 개인전도 열었다.
귀국 후 대한민국미술전람회(국전)에 출품하여 1961년 <추경(秋景)>으로 특선하였고, 이듬해 오후의 햇빛 속에 앉아 있는 아버지를 그린 <사양(斜陽)>으로 대통령상을 수상하였다. 수상 특전으로 파리로 간 그는 아카데미 뒤 풰(Academie du Feu)에서 수학하는 동안 1963년과 1964년 ‘르 살롱’전에 출품하여 은상과 금상을 획득하였다. 이어 1964년 ‘살롱 도톤느’에 의 출품하고 개인전을 열기도 하였다.
비정형적인 회화방식은 한국적인 대상을 표현하는데 적합하지 않다고 생각한 그는 세밀하고 정확한 사실주의 화풍을 견지하여 한국적인 사실주의 화풍의 선구자로 평가받기도 한다. 그는 아카데믹한 사실주의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풍경을 평화롭고 고요한 정취 속에 포착하는 풍경화를 통하여 자연미를 깊이 있게 관조하는 태도를 보였다. 정물화나 인물화에 있어서도 단순히 대상을 있는 그대로 재현하기보다 차분한 분위기와 색채의 조화 속에서 대상의 조형적인 아름다움을 느끼도록 해준다.

학력

  • 1954 일본 무사시노미술대학교 졸업
  • 1964 파리 아카데미 뒤 풰(Academie du Feu) 수학

경력

  • 대한민국미술전람회(국전) 초대작가, 심사위원
  • 한국신미술협회 회장
  • 세종대학교 서양화 교수, 캘리포니아 아주사퍼시픽대학교 교환교수


전시

  • 1964 살롱 도톤느, 파리
  • 1973 한국현역화가 100인전, 국립현대미술관
  • 1977 한국현대미술대전: 서양화, 국립현대미술관
  • 1977 역대국전수상작가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1 한국의 자연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2 한중현대서화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5 현대미술 40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6 한국 현대미술 어제와 오늘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7 한국 인물화전, 호암갤러리
  • 1998 아름다운 성찬, 국립현대미술관

수상

  • 1961 제10회 대한민국 미술 전람회 특선
  • 1962 제11회 대한민국 미술전람회 대통령상
  • 1963 프랑스 르 살롱전 은상
  • 1964 프랑스 르 살롱전 금상


주요작품

민족기록화

관련 항목

A항목 B항목 관계
김창락 김창락-원양어업 A는 B를 그렸다
김창락 김창락-쌍용시멘트 A는 B를 그렸다
김창락 김창락-울주 반구대 암각도 A는 B를 그렸다

시간정보

중심 시간정보명 시간값
김창락 김창락-쌍용시멘트 제작연도 1973년
김창락 김창락-원양어업 제작연도 1975년
김창락 김창락-울주 반구대 암각도 제작연도 1978년

공간정보

중심 연결정보 공간정보이름 경도 위도

참고문헌

  • 사이트
    • "김창락",『월간미술』, 월간미술. (2017년 3월 27일 확인.)
    • "김창락",『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온라인 서비스. (2017년 3월 27일 확인.)
    • "<예술혼 산책> 김창락(金昌洛)",『굿뉴스피플』, 2010년 3월 8일. (2017년 3월 27일 확인.)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