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고문헌에 담긴 조선시대의 맛

Encyves Wiki
이혜영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9월 11일 (월) 00:49 판 (새 문서: ==개요== 2016 장서각 특별전 '한글, 소통과 배려의 문자'의 전시에서 한글로 된 조리서 4건이 소개되었다. 조선시대 음식 조리는 나날의 식...)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개요

2016 장서각 특별전 '한글, 소통과 배려의 문자'의 전시에서 한글로 된 조리서 4건이 소개되었다. 조선시대 음식 조리는 나날의 식생활은 물론, 양반가 운영에 필요한 봉제사(奉祭祀)와 접빈객(接賓客)을 위해 중요한 일이었다. 그리하여 종가(宗家)를 비롯한 양반 사대부가에서는 각각 그 나름대로의 특유한 음식 조리법을 발전시켰고 전수(傳授)해왔다. 이를 위해 반가(班家)의 여인들은 집안에서 보고 배운 음식 조리법을 기록으로 남겨 집안 대대로 전하도록 한 것이 바로 한글 조리서이다. [1]

내용

한글 음식 조리서의 가치와 의의

한글 음식 조리서는 한국 전통음식의 정체성을 담고 있는 문화유산이다. 조선시대 양반가의 음식문화를 가장 잘 알려주는 자료이며, 조리법 뿐만 아니라 예법과 생활상식 등이 함께 실려있기 때문에 생활사 연구에도 중요한 자료가 된다. 더불어 조선시대 일상생활의 언어를 연구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당시의 일상생활 언어를 바로 한글 문장으로 쓴 것이기 때문에 언해서와 비교해서 훨씬 구어체에 가깝다. 더불어 조선시대 양반가의 음식문화를 가장 잘 알려주는 자료이다.[2]

한글 음식 조리서에 담긴 다른 내용

음식 조리서에 음식법과 양조법만 실려 있는 것은 아니다. 가정생활에 요긴한 여러 가지 생활 상식도 곁들여져 있다. 『규합총서』에는 염색법, 노비 다스리는 법, 장 담글 때의 금기일, 의복 관리법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음식법뿐만 아니라 부녀자들이 가정을 경영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덧붙인 것이다. 『주식시의』에는 염료가 아니라 각종 염색법이 색깔별로 설명되어 있다.

[3]

조선시대 의서 언해본의 편찬

조선 중종김순몽등에게 명하여 온역(溫疫)의 치료에 필요한 처방전을 모아 『간이벽온방(簡易辟瘟方)』을 간행하였고, 동시에 한글로 언해하였다. 홍귀달(洪貴達, 1438~1504)은 『구급이해방(救急易解方)』을 지어 부녀자나 아이들도 책을 보고 치료방법을 깨우칠 수 있도록 하였다. 조선 선조허준에게 명하여 한글로 된 의학서인 『언해태산집요』, 『언해두창집요』, 『언해구급방』 등을 편찬하도록 하였다. 이 언해본 의서들은 『동의보감』편찬의 밑거름이 되었다. 왕실 여성들이 사용하기 위해 『임산예지법』과 『동의보감내경편언해』 등이 편찬되었고, 백성들의 한약 제조 및 복용 지침서인 『언해납약증치방』도 편찬되었다. 이렇게 조선시대 의서의 언해는 의료 대중화라는 하나의 혁신이었다. [4]

언해두창집요

전시 자료 중 언해두창집요허준조선 선조의 명을 받아 두창과 관련된 치료법을 저술한 것이다. 임진왜란을 겪으며 의료 대중화에 고심했던 조선 선조의 애민의식을 엿볼 수 있다.

언해태산집요

전시 자료 중 언해태산집요허준조선 선조의 명을 받아 편찬한 산부인과 계열의 의학서이다. 기존에 산부인과 계통의 의학서들이 있었으나. 모두 한문으로 쓰여 부녀자가 보기에는 어려웠으므로 이 책을 편찬하게 되었다. 산부인과와 관련된 질병의 증세와 처방이 한문과 언해문으로 실려있다.

태교신기언해

전시 자료 중 태교신기언해유한규의 아내 사주당이씨가 한문을 짓고 아들인 유희가 언해를 한 태교 전문 의학서이다. 여타 언해본들과 마찬가지로 한 문장씩 떼어서 먼저 한글로 토를 달고, 이어서 우리말로 옮기는 방식을 취하였다. 이 책은 조선시대에 저술된 최초의 태교전문서로서 이론과 실제(사주당이씨의 경험)를 구비하여 태교의 중요성과 방법을 체계화한 저술로 평가된다.

임산예지법

전시 자료 중 임산예지법은 임신한 여인이 출산 전후에 숙지해야 할 사항들을 정리한 자료이다. 왕실의 출산은 국가의 명운을 짊어질 왕위 계승자를 생산하는 의식이므로 왕실여성의 삶 중에서 큰 비중을 차지한다. 임산예지법은 조선 왕실의 출산 지침을 알려주는 유일한 자료라는 점에서 귀중한 가치를 지닌다.

동의보감내경편언해

전시 자료 중 동의보감내경편언해허준이 편찬한 동의보감내경편을 언해하여 필사한 책이다. 의녀 등 왕실에서 동의보감을 습득하고 활용하려는 목적으로 편찬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구급간이방

전시 자료 중 구급간이방윤호 등이 조선 성종의 명을 받아 편찬한 구급 관련 의학서이다. 일반 백성들도 활용해 병을 치료할 수 있도록 방문마다 한글로 언해를 덧붙였다. 이 책은 구급방서 중에서 가장 완비된 것으로 질병을 중풍과 두통 등 127종으로 나누어 그 치료 방문을 모아 엮었다. 조선 초기의 현존하는 몇 안 되는 의서 중 하나로 그 가치가 매우 높다.

언해납약증치방

전시 자료 중 언해납약증치방납약(臘藥)의 효능 및 납약을 복용할 때 피해야 하는 사항 등을 기록한 책이다. 이 책에는 우황청심원(牛黃淸心元), 구미청심원(九味淸心元), 소합원(蘇合元), 지보단(至寶丹) 등 37종의 납약이 소개되어 있다. 각각의 납약 이름 아래에 약의 효능과 복용법을 한문으로 기술한 뒤, 언해문을 덧붙였다. 한문 뒤에 언해문을 병기한 것은 뜻밖의 다급한 상황에 여인들이 납약을 제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배려한 것이다.

지식 관계망

중심요소

문맥요소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의서를 언해하여 백성의 목숨을 구하다 언해두창집요 A는 B를 포함하는 기획기사이다 A dcterms:hasPart B
의서를 언해하여 백성의 목숨을 구하다 언해태산집요 A는 B를 포함하는 기획기사이다 A dcterms:hasPart B
의서를 언해하여 백성의 목숨을 구하다 태교신기언해 A는 B를 포함하는 기획기사이다 A dcterms:hasPart B
의서를 언해하여 백성의 목숨을 구하다 임산예지법 A는 B를 포함하는 기획기사이다 A dcterms:hasPart B
의서를 언해하여 백성의 목숨을 구하다 동의보감내경편언해 A는 B를 포함하는 기획기사이다 A dcterms:hasPart B
의서를 언해하여 백성의 목숨을 구하다 구급간이방 A는 B를 포함하는 기획기사이다 A dcterms:hasPart B
의서를 언해하여 백성의 목숨을 구하다 언해납약증치방 A는 B를 포함하는 기획기사이다 A dcterms:hasPart B

시간정보

시간 내용
1434년 노중례태산집을 저술하였다.
1445년 임원준의방유취를 저술하였다.
세조시기 임원준창진집을 저술하였다.
1466년 임원준구급방을 저술하였다.
1489년 임원준, 윤호 등이 구급간이방을 저술하였다.
1601년 조선 선조언해태산집요 편찬을 명령하였다.
1601년 조선 선조언해두창집요 편찬을 명령하였다.
1608년 허준언해두창집요를 저술하였다.
1608년 허준언해태산집요를 저술하였다.
17세기 언해납약증치방이 저술되었다.
1800년 사주당이씨태교신기언해를 저술하였다.
조선후기 임산예지법이 저술되었다.
19세기 동의보감내경편언해가 필사되었다.

시각자료

주석

  1. 백두현, 「한글 음식 조리서: 전통 음식 문화를 담은 우리말의 보물 창고」『새국어생활』24, 2014, 국립국어원, 20쪽.
  2. 백두현, 「한글 음식 조리서: 전통 음식 문화를 담은 우리말의 보물 창고」『새국어생활』24, 2014, 국립국어원, 33-34쪽.
  3. 백두현, 「한글 음식 조리서: 전통 음식 문화를 담은 우리말의 보물 창고」『새국어생활』24, 2014, 국립국어원, 31-32쪽.
  4.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84쪽.

참고 자료

더 읽을거리

  • 단행본
    • 신동원, 『동의보감과 동아시아 의학사』, 들녘, 2015.

유용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