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종묘의궤

Encyves Wiki
Wlghkwk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9월 8일 (금) 00:55 판 (정의)

이동: 둘러보기, 검색


종묘의궤
(宗廟儀軌)
규장각한국학연구원
대표명칭 종묘의궤
한자표기 宗廟儀軌
주제 길례(吉禮)
작성주체 종묘서(宗廟署)
의례담당자 서문중(徐文重)
작성지역 한성부
작성시기 1706(숙종 32년)
소장처(원소장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어람용)
판본 필사본
표기문자 한자, 이두
수량 총 4책 409장(제1책 57장, 제2책 111장, 제3책 120장, 제4책 121장)
크기 49.7×35.7
도설 91면



정의

1706년 종묘(宗廟)의 연혁과 제도, 각종 의식의 절차, 관련 행사 등에 대해 기록한 이다.

내용

종묘의궤는 『국조오례의』의 종묘의례를 바탕으로 새로운 사항을 첨가하여 작성되었다. 『국조오례의』는 의궤의 규정만을 서술하고 있으나, 종묘의궤는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 , 등록(謄錄) 및 문집(文集) 등에서 의례와 관계되는 논의를 채록하여 함께 싣고 있다. 조선 초기부터 행해진 종묘의 연혁과 각종 의식 등에 대해 자세히 알 수 있으며, 그림과 해설을 통해 종묘의 형태와 기물을 확인할 수 있다.

목록

1책: 범례(凡例), 목록(目錄), 종묘전도(宗廟全圖), 종묘일간도(宗廟一間圖), 대제설찬도설(大祭設饌圖設), 종묘속절삭망(宗廟俗節朔望), 칠사(七祀), 종묘시용등가도설(宗廟時用登歌圖說), 시용헌가도설(時用軒歌圖說), 종묘시용보태평지무도설(宗廟時用保太平之舞圖說), 시용정대업지무도설(時用定大業之舞圖說), 종묘등가도설(宗廟登歌圖設), 헌가도설(軒架圖說), 종묘문무도설(宗廟文舞圖說), 무무도설(武舞圖說), 종묘제기도설(宗廟祭器圖說), 종묘등헌가낙기도설(宗廟登軒架樂器圖說), 정대업지무의물도설(定大業之舞儀物圖說), 제복도설(祭服圖說)
2책: 묘제(廟制), 창건(創建), 중건(重建), 각실위판제식(各室位版題式), 주제(主制), 상시(上諡), 묘호(廟號), 각실위호서차(各室位號序次), 부묘(祔廟), 세실(世室), 조천(祧遷)
3책: 복위(復位), 추숭(追崇), 추부(追祔), 추상존호(追上尊號), 가상존호(加上尊號), 제향(祭享), 친제(親祭), 묘현(廟見), 삭망속절(朔望俗節), 악장(樂章)
4책: 이환안(移還安), 섭사의(攝事儀), 기고종묘의(祈告宗廟儀), 축폐(祝幣), 희생찬품(犧牲饌品), 철찬(撤饌), 천신(薦新), 봉심(奉審), 수개(修改), 수보의장(修補儀章), 책보(冊寶), 변례(變禮), 도변(盜變), 칠사(七祀), 배향(配享), 금벌(禁伐), 고사(故事), 관원(官員), 수직(守直), 수복(守僕), 제향진공각사물목(祭享進供各司物目), 수결(手決)

해제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해제

판본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어람용(奎 14220)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K2-2194)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종묘의궤 규장각한국학연구원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종묘의궤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종묘의궤 제례 A는 B를 기록하였다

시간정보

시간 내용
1706년 『종묘의궤』가 편찬되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603506 127.0559638 사적 제125호인 종묘(宗廟)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참고문헌

더 읽을거리

  • 김문식, 신병주 저, 『조선 왕실기록문화의 꽃 의궤』, 돌베개, 2005.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분류별의궤해설집』,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의궤 해제집(3)』,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신명호, 『조선 왕실의 의례와 생활 궁중문화』, 돌베개, 2002.
  • 한형주, 『종묘와 궁묘』, 민속원,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