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복

Encyves Wiki
SEOYEON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8월 31일 (목) 23:03 판 (새 문서: {{개념정보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 성복 |한자표기= 成服 |영문명칭= |이칭= |유형= 의례 |관련개념= 흉례(상례) }} =='''정의'''=...)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성복
(成服)
대표명칭 성복
한자표기 成服
유형 의례
관련개념 흉례(상례)



정의

친소(親疏) 관계와 신분에 따라 각각 다른 상복(喪服)으로 갈아입는 의식으로, 국장(國葬)에서는 승하 6일째 되는 날 거행한다.[1]

내용

왕이 승하했을 경우, 당일 예조판서가 여차(廬次) 앞에 꿇어앉아 성복(成服)할 것을 고하여 청하고[贊請] 상의원(尙衣院) 관원이 최복(衰服)을 올리면 왕세자와 대군 이하는 갈아입는다. 왕비왕세자빈내명부외명부 이하, 종친백관도 최복으로 갈아입는다. 예찬(禮饌)을 올리면 내시가 이를 받들고 들어가 영좌(靈座) 앞에 진설한다. 향로(香爐)향합(香合), 초를 그 앞에 두고, 문[戶]밖 왼쪽에 준(尊)]]을 두고 준소(尊所)에는 잔[盞] 3개를 둔다. 1각 전 담당자들과 종친백관이 정한 자리로 나아간다. 왕세자지팡이[杖]을 짚고 자리로 나아가 무릎을 꿇고 엎드려 곡(哭)을 하고, 왕비왕세자빈내명부외명부 이하는 자리로 나아가 곡을 한다. 종친백관도 자리에 나아가 무릎을 꿇고 엎드려 곡을 한다.[2]

대전관(代奠官)이 손을 씻고 동편 계단으로 올라가 향안(香案) 앞에 북향하여 꿇어 앉아 세 번 향을 올리고, 술은 3잔 연속하여 올린 후 엎드렸다가 일어나 물러간다. 왕세자왕비왕세자빈내명부외명부 이하ㆍ종친백관은 곡을 해 슬픔을 다한다. 곡을 그치면, 왕세자를 비롯한 왕비왕세자빈내명부외명부 이하는 여차로 돌아가고, 종친백관은 반열을 동쪽 가까운 곳으로 옮겨 무릎을 꿇고 앉는다. 반수(班首)가 참석 인원의 이름을 아뢰고 위로하고, 끝나면 물러간다.[3]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왕세자 성복 A는 B에 참여하였다
왕세자빈 성복 A는 B에 참여하였다
종친 성복 A는 B에 참여하였다
백관 성복 A는 B에 참여하였다
성복 상례 A는 B의 부분이다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國朝五禮儀』 卷7, 「凶禮」 ‘成服’
  2. 『國朝五禮儀』 卷7, 「凶禮」 ‘成服’
  3. 『國朝五禮儀』 卷7, 「凶禮」 ‘成服’; 이현진, 『왕의 죽음, 정조의 국장』, 글항아리, 2015, 132~133쪽.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 『주자가례(朱子家禮)』
  • 이현진, 「영조대 왕실 喪葬禮의 정비와 『國朝喪禮補編』」, 『韓國思想史學』 37, 한국사상사학회, 2011.
  • 이현진, 「정조 초 영조의 國葬 절차와 의미」, 『泰東古典硏究』 27,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1.
  • 이현진, 『왕의 죽음, 정조의 국장』, 글항아리, 2015.
  • 이현진, 『조선왕실의 상장례』, 신구문화사, 2017.
  • 임민혁, 「조선초기 『國朝五禮儀』 흉례의 구조와 의례적 성격」, 『역사와 실학』 50 , 2013.
  • 鄭鐘秀, 『朝鮮初期 喪葬儀禮 硏究』,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4.
  • 최규순, 「傳統 喪禮에서의 復과 復衣에 나타난 多面的 성격」, 『한국학논총』 V.34,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0.
  • 최진덕, 「『주자가례』와 죽음의 유학적 이해」, 『정신문화연구』 제23권 제3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0.

더 읽을거리

유용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