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숙주 공신도상
신숙주 공신도상 | |
한자명칭 | 申叔舟 功臣圖像 |
---|---|
작가 | 미상 |
제작시기 | 1453년 무렵 |
소장처 | 고령신씨문중 구봉영당 |
문화재지정사항 | 보물 제613호 |
유형 | 공신도상 |
크기(세로×가로) | 167.0×109.5㎝ |
목차
정의
조선시대 문신인 신숙주(申叔舟, 1414-1475)의 모습을 그린 공신도상(功臣圖像)
내용
공신도상의 제작 및 보관
이 그림은 현재 전해오는 신숙주 공신도상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으로 충북 청원군의 구봉영당(구봉영당)에 봉안되어 있다.
이 초상화는 조선 초기의 전형적인 공신도상을 따르고 있어 신숙주가 네 번에 걸쳐 공신에 책록되었을 때 중의 한 시기에 그려졌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문관3품에 해당하는 백한흉배(백한흉배)와 삽은대(삽은대)의 도상이 그림에 등장하고 있다. 신숙주가 문관3품의 직위에 있었을 때는 1453년 정3품 부승지로서 단종을 퇴위시킨 계유정난의 공으로 정난공신에 책훈되었을 시기로 이 초상화는 1453년 무렵이나 그 직후에 그려진 정난공신도상이 된다.[1]
화면의 우상단에는 "조선 영의정 고령부원군 시호 문충 호 보한재 신숙주 자 범옹 진(조선영의정고령부원군시호문충호보한재신숙주자범옹진)"이라는 제기가 있고 왼쪽에는 "성묘을미 공졸후칠십년 을사개장(성묘을미공졸후칠십년을사개장)"이라는 글이 있어서 신숙주 사후 70년 후인 1545년에 그림의 장황을 다시 했음을 알 수 있다.[2]
신숙주의 초상화는 이 공신도상 외에 1749년(영조25)에 제작된 충북 묵정영당 소장본과 1890년(고종 27)에 제작된 평택 고령신씨 사당본이 전하는데 모두 구봉영당의 신숙주 공신도상의 이모본이다. 신숙주 공신도상은 조선 초기 공신도상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작품이며 조선시대 초상화 중 흉배가 그려진 가장 이른 예로도 주목된다.
문헌에 기록된 외모
신숙주의 외모에 관해서는 성현(성현)의 『용재총화(용재총화)』에 짧은 언급이 있다.
공신도상에 묘사된 모습
신숙주 공신도상은 좌안팔분면(좌안팔분면)의 전신교의좌상(전신교의좌상)으로 공수자세를 취한 채 의자에 앉아 있는 모습을 그려졌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신숙주 공신도상 | 공신도상 | A는 B에 해당한다 | |
신숙주 공신도상 | 신숙주 | A는 B를 묘사하였다 | |
신숙주 공신도상 | 구봉영당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
신숙주 공신도상 | 충북 묵정영당 소장본 신숙주 초상 | A는 B로 이모되었다 | |
신숙주 공신도상 | 평택 고령신씨 사당본 신숙주 초상 | A는 B로 이모되었다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493년 무렵 | 신숙주 공신도상이 제작되었다. |
1977년 | 신숙주 공신도상이 보물 제613호로 지정되었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6.561718 | 127.557204 | 신숙주 공신도상은 구봉영당에 봉안되어 있다. |
시각자료
주석
참고문헌
유용한 정보
더 읽을거리
- 전시도록
- 문화체육부, 『표준영정도록-역사를 빛낸 선현』, 문화체육부, 1993.
- 문화체육부, 『표준영정도록-역사를 빛낸 선현』, 문화체육부, 1999.
- 이천시립월전미술관, 『월전의 붓끝, 한국화 100년의 역사』, 이천시립월전미술관, 2012.
- 단행본
- 장우성, 『월전회고록-화단풍상칠십년』, 미술문화, 2003.
- 논문
- 조인수, 「월전 장우성의 초상화」, 『제2회 월전학술포럼』발표자료집, 월전학술포럼, 2014, 1-12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