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황

Encyves Wiki
이혜영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8월 13일 (일) 22:57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이황(李滉)
"이황", 표준영정, 『한민족정보마당』online, 한국문화정보원.
대표명칭 이황
한자표기 李滉
생몰년 1501-1570
본관 진보(眞寶)
시호 문순(文純)
퇴계(退溪), 퇴도(退陶)
경호(景浩)
시대 조선
대표저서 성학십도, 심경후론, 주자서절요, 도산십이곡
대표직함 풍기군수, 성균관대사성, 단양군수, 대제학
배우자 이황 처 김해 허씨
이황 처 안동 권씨
이식
이식 처 춘천 박씨



정의

조선후기의 문신·학자로 연산군선조대의 인물이다. 인간 심성론에 대한 연구와 강학을 통해 조선 성리학(性理學)의 수준을 격상시킨 학자로 평가받고 있다.

내용

이황의 가정환경

이황은 무신 집안에서 태어났다. 이황의 할아버지인 이계양(李繼陽)은 소과에 합격하여 진사(進士)가 되었으나, 더 이상 과거 합격에 뜻을 두지 않고 시골에 은거하여 후손을 가르치는 것을 낙으로 삼았다. 이계양의 첫째아들이자 이황의 부친인 이식(李埴)도 학문이 뛰어났다. 동생 이우(李堣)와 함께 학자들에게 칭송받았으며, 특히 박학다식함으로 널리 알려졌다. 이우는 문과에 급제하여 이조좌랑(吏曹佐郞), 사간원 사간(司諫院 司諫) 등을 역임하였으며, 중종반정(中宗反正) 당시 분의정국공신(奮義靖國功臣)이 되었다. 이후 호조참판(戶曹參判), 강원도관찰사(江原道觀察使) 등을 역임하였다. 또한 이우는 아버지를 일찍 여읜 이황에게는 아버지이자 스승의 역할을 한 인물이기도 했다. [1]

이황의 생애

이황의 어린시절

이황은 1501년(연산군 7) 11월 25일 경상도 예안현 온계리에서 태어났다. 이황이 태어난지 7개월 만에 부친 이식이 세상을 떠나자, 그는 어머니 춘천 박씨의 손에서 자랐다. 12살부터 숙부인 이우에게 학문을 배우기 시작하였고 23살때 성균관에 입학하였다. 혼란스러운 분위기에 2달만에 성균관을 떠나게 되나, 여기서 김인후와의 친분을 쌓는다. 이황은 33세인 1533년(중종 28)에 다시 성균관에서 공부하였다. 그 해 가을 김안국과의 친분을 쌓는다. [2]

이황의 정계활동

이황은 1534년(중종 29) 문과에 급제하여 벼슬길에 올랐다. 사화가 이어지는 혼란스러운 시기였기 때문에, 이황의 벼슬길이 처음부터 순탄했던 것은 아니었다. 이황은 1521년(중종 16) 21세 때 결혼한 허씨가 1527년 세상을 떠나자 1529년 안동 권씨에게 다시 장가를 들었다. 이황의 장인인 권질(權礩)정언(正言) 권전(權磌)의 형이었는데, 권전은 기묘사림으로 기묘사화 당시 파직된 후 안처겸(安處謙)의 옥사(獄事)에 연루되어 죽었다. 1535년에는 호송관(護送官)에 임명되어 왜노(倭奴)를 동래(東萊)까지 이송하기도 했는데, 당시 여주(驪州)의 목사로 있던 이순(李純)신륵사(神勒寺)에서 노닐며 『황극경세서(皇極經世書)』와 『참동계(參同契)』에 대해 논하기도 하였다. 1548년(명종 3) 이황은 외직(外職)을 요청하여 단양군수(丹陽郡守)로 부임하였다. 10월 넷째 형 이해가 충청감사로 부임하면서 상피제(相避制)로 인해 풍기군수(豊基郡守)로 옮겨갔다. 1549년 12월에는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에 편액과 서적을 내려줄 것을 감사에게 청하였다.[3]

기대승과의 사단칠정논쟁

이황은 결국 고향에 은거하면서 지방에서 제자를 기르는 방법을 택하였다. 병으로 감사에게 수차례 사직 의사를 표명하고 답을 기다리지도 않은 채 고향으로 돌아왔다. 1550년에 신진학자 기대승에게 사단(四端)과 칠정(七情)에 대해 논변하는 편지를 보냈는데, 이것이 바로 유명한 ‘사단칠정논쟁’이다. [4]

성학십도

명종은 이황을 계속 중앙정계로 복귀시키려 하였지만, 한번 마음을 굳힌 이황은 좀처럼 다시 벼슬길에 나서지 않았다. 선조 또한 이황을 깊게 사모하여 수차례 벼슬을 내렸지만 이황은 나아가지 않았다. 대신 그는 1568년(선조 1) 8월 「무진육조소」를 올려 ‘계통을 중히 하여 인효(仁孝)를 온전히 할 것’, ‘참소하고 이간하는 것을 막아서 양궁을 친하게 할 것’, ‘성학(聖學)을 독실히 하시어 정치의 근본으로 삼을 것’, ‘도덕과 학술을 밝혀서 인심을 바르게 할 것’, ‘심복(心腹)에게 맡기셔서 이목(耳目)을 통하게 할 것’, ‘성심으로 몸을 닦고 살펴서 하늘의 사랑을 받게 할 것’을 간하였다. 이어 12월에는 성군이 되기 위한 학문의 원리를 열 가지 도설로 정리한 『 성학십도(聖學十圖)』를 올려 새로운 임금에게 거는 기대를 드러냈다. [5]

은퇴와 도산서원

1550년(명종 5) 2월 비로소 퇴계(退溪) 서쪽에 자리를 잡았다. 1559년(명종 14)에는 도산서당(陶山書堂)을 짓고 강학에 본격적으로 힘쓰기 시작하였다. 이황은 도산서당을 중심으로 강학활동을 계속하다 1570년(선조 3) 12월 지병이 악화되자 주변을 정리한 후 세상을 떠났다. 선조는 이황이 병환 중이라는 이야기를 듣고 내의원으로 하여금 약을 보내 구원하게 하였으나 이루지 못하였다. 이황의 죽음이 전해지자 애도하는 뜻으로 3일 동안 정사를 폐할 것을 명하였으며, 영의정의 예에 따라 장사지내도록 하였다. 1572년에 이황의 위패를 상덕사에 모실 것을 결정하였으며, 그 2년 뒤에는 지방 유림의 공의로서 사당을 지어 위패를 봉안하였고, 이황이 강학활동을 하던 도산서당에 전교당과 동·서재를 지어 서원으로 완성하였다. 이 서원은 1575년(선조 8)에 한호(韓濩)가 쓴 ‘ 도산서원(陶山書院)’이란 편액을 하사받았으며, 이후 영남유학의 총본산으로 인정받았다. [6]

이황의 학문의 영향과 계승

이황의 학풍을 따른 자는 당대의 유성룡(柳成龍)·정구(鄭逑)·김성일(金誠一)·조목·이덕홍·기대승·김부륜(金富倫)·금응협(琴應夾)·이산해(李山海)·정탁(鄭琢)·정유일(鄭惟一)·구봉령(具鳳齡)·조호익(曺好益)·황준량(黃俊良)·이정(李楨) 등을 위시한 260여 인에 이르렀다. 나아가 그는 성혼(成渾)·정시한(丁時翰)·이현일(李玄逸)·이재(李栽)·이익(李瀷)·이상정(李象靖)·유치명(柳致明)·이진상(李震相)·곽종석(郭鍾錫)·이항로(李恒老)·유중교(柳重敎)·기정진(奇正鎭) 등을 잇는 영남학파 및 친영남학파를 포괄한 주리파 철학을 형성하게 했으니, 이는 실로 한국 유학 사상의 일대장관이 아닐 수 없다. [7] 임진왜란 후 이황의 문집은 일본으로 반출되어, 도쿠가와가 집정(執政)한 에도(江戶)시대에 그의 저술 11종 46권 45책이 일본각판으로 복간되어 일본 근세 유학의 개조(開祖) 후지와라(藤原惺窩) 이래로 이 나라 유학 사상의 주류인 기몬학파 및 구마모토학파에게 깊은 영향을 끼쳤고, 이황은 이 두 학파로부터 대대세세(代代世世)로 신명(神明)처럼 존숭을 받아 왔다.[8]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이황 이식 A는 아버지 B가 있다
이황 이식 처 춘천 박씨 A는 어머니 B가 있다
이식 처 춘천 박씨 이식 A는 B의 아내이다
이우 이식 A는 형제 B가 있다
이우 이황 A는 B의 스승이다
성균관 이황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이황 김인후 A는 B와 교유하였다
이황 이황 처 김해 허씨 A는 B의 아내이다 1521년
이황 이황 처 안동 권씨 A는 B의 아내이다 1529년
이황 처 안동 권씨 권질 A는 아버지 B가 있다
권질 권전 A는 형제 B가 있다
권전 기묘사화 A는 B와 관련이 있다
이황 이순 A는 B와 교유하였다
이황 여주 신륵사 A는 B와 관련이 있다
이황 이해 A는 형제 B가 있다
이황 백운동서원 A는 B와 관련이 있다 1549년
이황 기대승 A는 B와 교유하였다
이황 성학십도 A는 B를 저술하였다 1568년
이황 도산십이곡 A는 B를 저술하였다 1565년
이황 도산서원 A는 B에 의해 건립되었다 1559년
이황 상덕사 A는 B와 관련이 있다 1572년
한호 도산서원 편액 A는 B를 제작하였다 1575년

시간정보

시간 내용
1521년 이황이 이황 처 김해 허씨와 혼인하였다.
1529년 이황이 이황 처 안동 권씨와 혼인하였다.
1549년 이황이 백운동서원에 편액과 서적을 내려 줄 것을 청하였다.
1559년 이황이 도산서원을 건립하였다.
1569년 이황이 도산십이곡을 창작하였다.
1572년 이황의 위패가 상덕사에 봉안되었다.
1575년 한호도산서원 편액을 제작하였다

주석

  1. 이민정, "이황", 『한국사콘텐츠』online, 국사편찬위원회
  2. 이민정, "이황", 『한국사콘텐츠』online, 국사편찬위원회
  3. 이민정, "이황", 『한국사콘텐츠』online, 국사편찬위원회
  4. 이민정, "이황", 『한국사콘텐츠』online, 국사편찬위원회
  5. 이민정, "이황", 『한국사콘텐츠』online, 국사편찬위원회
  6. 이민정, "이황", 『한국사콘텐츠』online, 국사편찬위원회
  7. 전두하, "이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8. 전두하, "이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유용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