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왕실남성)
Encyves Wiki
규 (圭) |
|
대표명칭 | 규 |
---|---|
한자표기 | 圭 |
구분 | 기타 |
착용신분 | 왕실 |
착용성별 | 남성 |
목차
정의
손에 드는 길쭉한 모양의 옥기(玉器)이다.
내용
복식구성
착용신분
착용상황
황제, 왕, 황태자, 왕세자, 왕세손이 대례복을 착용할 때 사용한다.
형태
직사각형의 옥판에 위는 삼각형이고, ‘사방을 안정시킨다’는 의미를 담은 산 무늬를 새겼다.[1]
기타
상징 천자는 나라를 다스릴 권한을 하늘로부터 받는데, 이 천명(天命)은 실물로 존재하지 않으므로, 천명을 상징하는 규를 받았다.[2]고종은 황제로 등극할 때 중국 황제와 동격인 1척 2촌의 백옥규를 들었다. 규의 아랫부분은 비단으로 감싸는데, 조선시대에는 홍색을 썼고, 대한제국시대에는 황색을 사용 한다. 조선시대에는 이를 ‘감이’라고 했는데, 이는 우리말인 ‘싸개’를 표현한 것이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
황제 | 규(왕실남성) | A는 B를 착용하였다 |
왕 | 규(왕실남성) | A는 B를 착용하였다 |
왕세자 | 규(왕실남성) | A는 B를 착용하였다 |
규(왕실남성) | 책례 | A는 B에 착용하였다 |
규(왕실남성) | 가례 | A는 B에 착용하였다 |
규(왕실남성) | 제례 | A는 B에 착용하였다 |
규(왕실남성) | 의궤 |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
규(왕실남성) | 왕의 대례복 | A는 B의 일습으로 갖춘다 |
규(왕실남성) | 왕세자의 대례복 | A는 B의 일습으로 갖춘다 |
규(왕실남성) | 상의원 | A는 B에서 제작되었다 |
규(왕실남성) | 왕의 대례복 | A는 B의 구성요소이다 |
규(왕실남성) | 면복각 | A는 B에서 보관되었다 |
규(왕실남성) | 국립고궁박물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 궁중기록화 복식 규 02.jpg
영친왕의 규.[1]
영상
주석
- ↑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고광림, 『한국의 관복』, 화성사, 1995.
- 金明淑, 「朝鮮時代 冕服의 考察-國葬都監儀軌 服玩圖說을 中心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3.
- 金明淑, 「朝鮮時代 王世子 冕服」, 『한국복식학회지』 18권, 1992.
- 金明淑, 「朝鮮後期 冕服의 變遷-國葬都監儀軌 服玩圖設을 통한 考察-」, 『한국복식학회지, 7권, 1983.
- 金明淑, 「한국과 중국의 袞冕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4.
- 석주선, 『한국복식사』, 보진재, 1971.
- 유희경, 「冕服에 關한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72
- 임명미, 「韓·中·日 3국의 圭·笏에 관한 연구」, 『한국복식학회지』 V.51, N.2. 한국복식학회, 2001.
- 최규순, 「이 시대의 진정한 ‘紳士’를 위하여」, 『전통 의생활 연구』, 제 2집, 단국대학교 전통복식연구소, 2008.
- 최규순, 「황제와 황후의 복식 어떻게 변화했나」, 『대한제국, 잊혀진 100년 전의 황제국』, 민속원, 2011.
- 최규순, 『中國歷代帝王冕服硏究』, 동화대학출판부, 2007.
- 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