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양주 회암사

Encyves Wiki
김현규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7월 20일 (목) 21:07 판 (정청(正廳)의 위치)

이동: 둘러보기, 검색
양주 회암사
(楊州 檜巖寺)
대표명칭 양주 회암사
한자 楊州 檜巖寺
주소 경기도 양주시 회암동 산14
문화재 지정번호 사적 제 128호
문화재 지정일 1964년 6월 10일
건립시기 1328년(충숙왕 15)
창건자 지공
경내문화재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 양주 회암사지 무학대사탑, 양주 회암사지 무학대사탑 앞 쌍사자 석등



정의

경기도 양주시 회암동 천보산(天寶山)에 있는 절.


내용

역사

회암사(檜巖寺)가 정확히 언제 창건되었는지는 기록에 남아있지 않으나,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보면, 1174년(고려 명종 4) 금나라의 사신이 회암사에 왕래했다는 이야기가 나오는 것으로 미루어보아 12세기쯤 창건된 것으로 추정한다.[1] 그 뒤 1328년(충숙왕 15) 인도에서 원나라를 거쳐 들어온 지공이 인도의 나란타사(羅爛陀寺)를 본떠서 266칸의 대규모 사찰로 중창하였으며, 1378년(우왕 4) 나옹(懶翁)이 중건하였다 한다.[2][3]

조선 태조나옹의 제자인 무학(無學)을 회암사에 머무르게 하여 불사가 있을 때마다 대신을 보내 찬례토록 하였으며, 왕 위에서 물러난 뒤에는 친히 회암사에 머물면서 수도생활을 했다. 그 뒤로도 회암사는 조선 왕실과 지속적인 인연을 맺어오다가 명종보우(普雨)가 머물면서 다시 번창하게 된다. 하지만 명종의 어머니인 문정왕후의 후원으로 기세를 올리던 보우는 문정왕후가 죽은 뒤로 제주도로 유배되어 살해되었고, 문정왕후와 보우에 대한 유생들의 반감이 회암사를 폐사시켰다.[4] 대사찰이 폐사되면서 1821년(순조 21)에 이응준이란 자가 술사 조대진의 말을 듣고 이 곳 법당자리에 선친의 묘소를 옮기기 위하여 절터에 남아있던 지공(指空)무학의 비를 철거하였다. 하지만 이후 이 사실이 알려지자 나라에서 두 사람을 섬으로 유배하고 1828년(순조 28)에 비를 원래의 위치에 다시 세우면서 옛터의 오른쪽에 작은 절을 짓고 회암사의 절 이름을 계승하였다.[5]

1922년에는 봉선사 주지 홍월초(洪月初)가 새로 보전을 지어 불상을 봉안하고 지공, 나옹, 무학의 세 화상의 진영을 모셨다고 한다. 이후 1977년에 호선이 서북쪽에 큰 법당을 지었다. 1964년 이곳을 국가지정 사적 제128호로 지정하여 보존·관리해오다가 1996년부터 우회도로 개설과 사지에 대한 장기적인 조사·발굴 계획을 수립하여 현재 경기도 박물관에서 조사·발굴하고 있다.[6]

회암사와 왕실불교

정청(正廳)의 위치

풍수지리적인 관점에서 보면 회암사(檜巖寺)의 가장 중요한 혈처에는 정청(正廳)이 위치한다. 정청은 왕실사찰로서 회암사의 성격을 잘 드러내주는 건축물이다. 공민왕공양왕은 남경(南京) 행차에서 돌아가는 길에 정청에 머무르며 불사를 베풀고 많은 물품을 하사하였다. 또 왕은 탄신 축하를 이곳에서 받기도 했는데, 동행한 왕세자와 왕세자비가 정청에서 철야 예불을 올렸다. 조선이 개국한 이후에 정청은 조선 태조가 회암사에 방문하면 머무르는 공간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지식 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 양주 회암사 A는 B에 있다
양주 회암사지 무학대사탑 양주 회암사 A는 B에 있다
양주 회암사지 무학대사탑 앞 쌍사자 석등 양주 회암사 A는 B에 있다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 나옹 A는 B를 위한 비이다
나옹 양주 회암사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이색 양주 회암사 A는 B와 관련있다
무학 양주 회암사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보우 양주 회암사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지공 양주 회암사 A는 B를 창건하였다
조선 태조 양주 회암사 A는 B와 관련있다
공민왕 양주 회암사 A는 B와 관련있다
공양왕 양주 회암사 A는 B와 관련있다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328년 원나라에서 온 지공이 인도의 나란타사를 본떠서 양주 회암사를 중창했다.
1378년 나옹양주 회암사를 중건했다.
1821년 이응준이 양주 회암사에서 지공무학의 비를 철거하였다
1828년 양주 회암사지공무학의 비를 원래 위치에 다시 세웠다
1964년 양주 회암사가 국가지정 사적 제128호로 지정되었다
1996년 경기도 박물관에서 양주 회암사에 대한 조사, 발굴을 시작했다

시각 자료

영상

주석

  1. 국내관광진흥팀, "조선 불교의 흥망성쇠 현장으로- 양주 회암사지" 『대한민국 구석구석』online, 한국관광공사, 작성일: 2016년 9월 19일.
  2. 한정수, "회암사",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이 같은 내용은 고려 말에 목은 이색(李穡)이 쓴 《천보산회암사수조기(天寶山檜巖寺修造記)》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총 262칸에 전각들로 이루어진 회암사의 가람은 동방에 제일이며 법당에는 15척(4.5m)의 불상 7구와 10척(3m)의 관음상이 봉안되어 있다고 적혀있다. 국내관광진흥팀, "조선 불교의 흥망성쇠 현장으로- 양주 회암사지", 『대한민국 구석구석』online, 한국관광공사, 작성일: 2016년 9월 19일.
  4. 국내관광진흥팀, "조선 불교의 흥망성쇠 현장으로- 양주 회암사지" 『대한민국 구석구석』online, 한국관광공사, 작성일: 2016년 9월 19일.
  5. "회암사", 『두산백과』online.
  6. 국내관광진흥팀, "양주 회암사지" 『대한민국 구석구석』online, 한국관광공사.

참고문헌

  • 박정해, 「회암사 입지의 풍수환경과 해석」, 동북아문화연구 제40집, 2014, 143~158쪽.
  • 조유선,"양주 회암사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정수, "회암사",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국내관광진흥팀, "조선 불교의 흥망성쇠 현장으로- 양주 회암사지" 『대한민국 구석구석』online, 한국관광공사.
  • 국내관광진흥팀, "양주 회암사지" 『대한민국 구석구석』online, 한국관광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