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종묘의궤

Encyves Wiki
복식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5월 30일 (화) 23:46 판 (참고문헌)

이동: 둘러보기, 검색


종묘의궤
(宗廟儀軌)
[[file:|360px|thumb|center|규장각한국학연구원]]
대표명칭 종묘의궤
한자표기 宗廟儀軌
주제 길례
작성주체 종묘서
의례담당자 서문중(徐文重)
작성지역 한성부
작성시기 1706(숙종 32년)
소장처(원소장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어람용)
판본 필사본
표기문자 한자, 이두
수량 총 4책 409장(제1책 57장, 제2책 111장, 제3책 120장, 제4책 121장)
도설 91면



정의

1706년 종묘(宗廟)의 연혁과 제도, 각종 의식의 절차, 관련 행사 등에 대해 기록한 의궤이다.

내용

종묘의궤는 『국조오례의』의 종묘의례를 바탕으로 새롭게 추가되어야 할 사항을 첨가하여 작성되었다. 『국조오례의』는 의궤의 규정만을 서술하고 있으나, 종묘의궤는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 , 등록(謄錄) 및 문집(文集) 등에서 의례와 관계되는 논의를 채록하여 싣고 있다. 조선 초기부터 행해진 종묘의 연혁과 각종 의식 등에 대해 자세히 알 수 있으며, 도설을 통해 종묘의 형태와 기물을 확인할 수 있다.

해제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해제

판본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어람용(奎 14220)>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K2-2194)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종묘의궤 규장각한국학연구원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종묘의궤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종묘의궤 제례 A는 B를 기록하였다

시간정보

시간 내용
1706년 『종묘의궤』가 편찬되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603506 127.0559638 사적 제125호인 종묘(宗廟)

시각자료

가상현실

반차도VR 추가 예정

주석


참고문헌

더 읽을거리

  • 김문식, 신병주 저, 『조선 왕실기록문화의 꽃 의궤』, 돌베개, 2005.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분류별의궤해설집』,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의궤 해제집(3)』,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신명호, 『조선 왕실의 의례와 생활 궁중문화』, 돌베개, 2002.
  • 한형주, 『종묘와 궁묘』, 민속원,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