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두건-종합우수새마을(묵현리)
Encyves Wiki
종합우수새마을(묵현리) | |
작가 | 장두건 |
---|---|
제작연도 | 1973년 |
규격 | 300호(197x290.9cm) |
유형 | 새마을 |
분류 | 유화 |
소장처 | 미상 |
정의
이 작품의 배경은 경기도 남양주 화도읍 묵현리로, 박정희 정권 시기 추진된 새마을 운동으로 개간된 자연의 모습을 담았다.
내용
작품 소재
박정희 정권시기 전개되었던 새마을운동 중 핵심적인 부분을 차지한 농어민 소득 증대 사업은 소득증대를 위하여 농로개설, 농지정리, 종자개량, 계·품앗이 장려 등 농업기반시설 확충 및 협동영농이 전개되었으
며, 이를 통하여 비록 단기적이고 제한적이었지만 1960년대 초래된 도농격차의 심화가 완화되고 실질적인 농가소득 증대의 효과가 나타나게 되었다.[1]
해당 작품은
이 작품은 초기 새마을운동의 주요 성과인 바둑판처럼 질서정연하게 정리된 농지와 농촌주택개량사업, 지붕개량사업으로 교체된 원색의 슬레이트 지붕, 기계화된 농업현장을 묘사하고 있다. 또한, 전원생활의 목가적이고 향토적인 이미지 대신 개간된 땅과 기계화된 노동과정을 담고 있다.[2]
작품 배경
작품의 배경은 묵현리로, 묵현리에 위치한 천마산을 트랙터로 개간하는 장면이 그려져 있다.
시각적 안내
관련 민족기록화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장두건 | 장두건-종합우수새마을(묵현리) | A는 B를 그렸다 | 년 |
장두건-종합우수새마을(묵현리) | 유인우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 |
장두건-종합우수새마을(묵현리) | 쌍성총관부 |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 |
전쟁기념관 | 장두건-종합우수새마을(묵현리) | A는 B를 소장하고 있다 | @ |
제11기계화보병사단 | 장두건-종합우수새마을(묵현리) | A가 B를 대여하였다 | 1991년 11월 30일-1992년 11월 29일 @ |
쌍성총관부 | 동녕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973년 | 장두건이 장두건-종합우수새마을(묵현리)을 그렸다 |
1991년 11월 30일-1992년 11월 29일 | 제11기계화보병사단이 장두건-종합우수새마을(묵현리)을 대여하였다 @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6959064 | 127.853384 | 제11기계화보병사단이 장두건-종합우수새마을(묵현리)을 대여하였다 @ |
37.532103 | 126.914133 | 전쟁기념관이 장두건-종합우수새마을(묵현리)을 소장하고 있다 @ |
그래프
참고문헌
- 박혜성, 「1960-1970년대 민족기록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논문, 2003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