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묘의궤
Encyves Wiki
종묘의궤 (宗廟儀軌) |
|
[[file:|360px|thumb|center|규장각한국학연구원]] | |
대표명칭 | 종묘의궤 |
---|---|
한자표기 | 宗廟儀軌 |
주제 | 종묘(宗廟) |
작성주체 | 종묘서(宗廟署) |
의례담당자 | 서문중(徐文重) |
작성지역 | 한성부 |
작성시기 | 1706(숙종 32년) |
소장처(원소장처) | 규장각한국학연구원(어람용) |
판본 | 필사본 |
표기문자 | 한자, 이두 |
수량 | 4책 409장(제1책 57장, 제2책 111장, 제3책 120장, 제4책 121장) |
도설 | 91면 |
정의
1706년(숙종32) 종묘(宗廟)의 연혁과 제도, 각종 의식의 절차, 관련 행사 등에 대해 기록한 의궤이다.
기본 정보
- 간략한 내용
- 목차
- 1책: 범례(凡例), 목록(目錄), 종묘전도(宗廟全圖), 종묘일간도(宗廟一間圖), 대제설찬도설(大祭設饌圖設), 종묘속절삭망(宗廟俗節朔望), 칠사(七祀), 종묘시용등가도설(宗廟時用登歌圖說), 시용헌가도설(時用軒歌圖說), 종묘시용보태평지무도설(宗廟時用保太平之舞圖說), 시용정대업지무도설(時用定大業之舞圖說), 종묘등가도설(宗廟登歌圖設), 헌가도설(軒架圖說), 종묘문무도설(宗廟文舞圖說), 무무도설(武舞圖說), 종묘제기도설(宗廟祭器圖說), 종묘등헌가낙기도설(宗廟登軒架樂器圖說), 정대업지무의물도설(定大業之舞儀物圖說), 제복도설(祭服圖說).
- 2책: 묘제(廟制), 창건(創建), 중건(重建), 각실위판제식(各室位版題式), 주제(主制), 상시(上諡), 묘호(廟號), 각실위호서차(各室位號序次), 부묘(祔廟), 세실(世室), 조천(祧遷).
- 3책: 복위(復位), 추숭(追崇), 추부(追祔), 추상존호(追上尊號), 가상존호(加上尊號), 제향(祭享), 친제(親祭), 묘현(廟見), 삭망속절(朔望俗節), 악장(樂章).
- 4책: 이환안(移還安), 섭사의(攝事儀), 기고종묘의(祈告宗廟儀), 축폐(祝幣), 희생찬품(犧牲饌品), 철찬(撤饌), 천신(薦新), 봉심(奉審), 수개(修改), 수보의장(修補儀章), 책보(冊寶), 변례(變禮), 도변(盜變), 칠사(七祀), 배향(配享), 금벌(禁伐), 고사(故事), 관원(官員), 수직(守直), 수복(守僕), 제향진공각사물목(祭享進供各司物目), 수결(手決).
- 어람용 종묘의궤 기본정보
- 가치
- 종묘와 관련된 의궤 중 최초이며, 종묘에 관한 방대한 정보를 종합적으로 수집하여 정리한 책으로 조선 시기 종묘의 중요성에 대해 확인할 수 있는 자료이다.
- 조선 초기부터 종묘의 연혁과 각종 의식 등에 대해 자세히 알 수 있으며, 각종 도설을 통해 종묘의 형태와 기물에 대해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 왕실의 전례와 관련된 논의까지도 포함하고 있어, 당시의 예학 사상에 대해서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 판본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어람용(奎 14220)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K2-2194)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종묘의궤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A는 B에 소장한다 | |
종묘의궤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A는 B에 소장한다 | |
종묘의궤 | 제례복 | A는 B를 보여준다 | |
종묘의궤 | 제례 | A는 B를 기록한다 | |
제례 | 종묘서 | A는 B에서 주관한다 | |
왕 | 면복 | A는 B를 착용한다 | |
문무백관 | 제복 | A는 B를 착용한다 |